• 제목/요약/키워드: 0.9 V to 5 V

검색결과 2,836건 처리시간 0.035초

에너지 저하체로서 아크릴과 SSD 가 9MeV 전자선의 측방 및 깊이선량분포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 Acrylic Plate and SSD on Dose Profile and Depth Dose Distribution of 9 MeV Electron Beams)

  • 강위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2호
    • /
    • pp.65-71
    • /
    • 1998
  • 1 cm 아크릴 판과 SSD 가 9MeV 전자선의 측방선량분포 및 깊이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아크릴 판을 전자선치료에서 에너지 저하체로 사용하는 타당성이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Varian Clinac-2100C 에서 발생되는 9MeV 전자선을 7MeV로 저하시키기 위해 lcm 두께의 아크릴 판을 이용하였다. 아크릴 판은 엑스선 표적에서 65.4cm에 있는 전자선응용장치 상단에 두었으며, 조사면의 크기는 SSD 100cm 에서 l0$\times$10cm로 하였다. 100cm, 105cm, 110cm의 세 가지 SSD에 대해 선축상 깊이선량분포와 최대선량점깊이 (1.4cm) 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측방선량분포를 3D 물팬톰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깊이선량분포에서는 최대선량점과 85% 선량점 ,50% 선량점 깊이와 표면에서 평균에너지, 실비정과 표면에서 최빈에너지를 비교하였다. 측방선량분포 측정으로부터 평탄도, 피넘브러폭, 실조사면크기를 비교하였다. 참조를 위한 목적에서 9MeV 전자선도 측정하였다. SSD가 l00cm 에서 l10cm로 증가함에 따라 7MeV 전자의 표면선량율이 85.5% 에서 82.2% 로 감소하였고, 선량증가영역을 제외하고는 깊이선량분포는 SSD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평탄도는 7MeV가 4.7% 에서 10.4% 로 변하여 9MeV 의 1.4% 에서 3.5% 로 변한 것에 비하여 심하게 변하였다. 피넘브러폭은 7MeV 가 1.52cm 에서 3.03cm 로 증대하여 9MeV 의 1.14 cm에서 1.63cm로 증대된 것에 비해 심하게 변하였다. 7 MeV 전자선의 실조사면크기는 10.75cm에서 12.85 cm로 증대하여 9MeV 전자선의 10.32cm 에서 11.46cm 로 증대하는 것에 비해 심하게 변하였다. 가상선원표면거리는 7 MeV, 9MeV 각각에 대해 49.8cm,88.5cm였다. 에너지 저하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렇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SSD가 멀어져도 선량증가영역을 제외하고는 깊이선량분포는 변하지 않았다. 에너지 저하체를 사용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SSD 가 증가하면 평탄도가 허용범위를 넘어 나빠지고, 피넘브러 폭은 넓어지며 조사면 크기가 더 심하게 커진다. 가상선원표면거리는 현저하게 짧아졌다. 결론적으로 전자선치료에서 특히 먼 SSD 에서 에너지 저하체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Pleurotus ostreatus의 액체 종균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liquid spawn of Pleurotus ostreatus)

  • 강태수;천병익
    • 산업기술연구
    • /
    • 제8권
    • /
    • pp.13-21
    • /
    • 1988
  •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the production of liquid spawn was studied. The highest liquid spawn production was obtained after shaking culture for 4 days in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5%(W/V) wheat flour, 0.2%(W/V) yeast extract, 0.1%(W/V)$KNO_3$ 0.05% (W/V) $MgSO_4{\cdot}7H_2O$, 0.05%(W/V) $KH_2PO_4$.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was 7.0 ana $30^{\circ}C$. The period required to complete the mycelial growth after spawning were 28, 22, 10 and 9 days, respectively, when the 2%(V/V) of solid spawn and 2%(V/V), 5% (V/V) and 10%(V/V) of liquid spawn were inoculated. The days required from spawning to fruiting bodies were 38, 34, 28 and 27 days.

  • PDF

전분을 이용한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고 생산과 효소 안정성 증가를 위안 글리세롤 첨가 (Glycerol Addition for the Hyper-production and Stabilization of a Novel Carbohydrolase by Lipomyces starkeyi)

  • 이선옥;이진화;박준성;서은성;김창용;조동련;김도원;김도만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86-589
    • /
    • 2002
  • Lipomyces starkeyi KSM 22는 덱스트라나아제와 아밀라아제 활성을 동시에 갖는 덱사메이즈를 생산한다. 1% (w/v)의 전분을 포함한 배지에 0.02% (w/v) 2-deoxy-D-glucose를 첨가한 경우, 넣지 않았을 때보다 약 2.5배의 증대된 효소 생산성을 보였으며, 0.5% (v/v) 글리세롤을 첨가한 경우 2.4배의 효소생산성을 보여 1% (w/v)의 덱스트란을 사용한 경우에 생산되는 덱사메이즈 양만큼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었다. 정제된 효소와 효소 안정제로 사용이 가능한 혼합액을 4$0^{\circ}C$에서 3주간 방치 후 초기 활성과 비교하여 잔존하는 효소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 25% (v/v) 글리세롤을 첨가했을 때 3주 후 덱스트라나아제의 활성으로 확인된 덱사메이즈의 활성은 초기의 90.9%가 유지되었고, 1% (v/v) 글리세롤에 50 mM CaCl$_2$와 KH$_2$PO$_4$를 첨가한 경우는 초기 활성의 73.4%가 유지되어 덱사메이즈 안정성에 효과가 있었다.

수용액중의 수은전극에서 바나듐-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염의 환원 및 평형연구 (Reduction and Equilibrium of Vanadium-Diethylenetriamine Pentaacetates at Mercury Electrode in Aqueous Solution)

  • 정기석;손세철;하영경;엄태윤;윤석승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5-64
    • /
    • 1989
  • 0.5M $NaClO_4$ 수용액중의 수은전극에서 바나듐-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DTPA)염의 전기화학적 환원 및 평형을 온도 25$^{\circ}C$와 3.2 < pH < 10.5 에 걸쳐서 연구하였다. 바나듐(III)-DTPA착물은 모든 pH에 걸쳐서 V${\cdot}A^{3-}$-(A=DTPA)로서 존재하고 EDTA같은 다른 디아민카르복시산과의 착물들과 달리 수소첨가가 일어나지 않고 $OH^-$도 배위되지 않으며 가역적으로 바나듐(II)-DTPA착물로 환원된다. 3.2 < pH < 5.9에서는 전극반응이 $V{\cdot}A^{2-}+H^++e^-=V{\cdot}HA^{2-}$와 같이 진행하며 $V{\cdot}HA^{3-}$ 의 안정도상수는 $3.09{\times}10^{14}$과 같이 구하여졌다. $VO^{2+}$이온의 경우 pH적정결과 착화반응은 $VO^{2+}+H_2A^{3-}=VO{\cdot}HA^{2+}H^{+}$$VO{\cdot}HA^{2-}=VO{\cdot}A^{3+}+H$ 와 같이 2단계에 걸쳐서 진행되며, $VO{\cdot}HA{2-}$의 산해리상수는 pKa=7.15이다. $VO{\cdot}HA^{2-}$$VO{\cdot}A^{3-}$ 의 안정도상수는 각각 $1.41{\times}10^{14}$$3.80{\times}10^{17}$과 같이 구하여졌다. 바나듐(IV)-DTPA착물은 비가역적으로 바나듐(III)-DTPA착물로 환원되며 이때 전이상수 ${\alpha}$=0.43이다. 더 큰 음의 과전압에서는 2단계에 걸쳐서 환원된다. 이 때 첫째 단계의 환원은 3.2 < pH < 10.5에서 $VO{\cdot}A^{3-}+e{\to}VO{\cdot}A^4$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번째 단계의 환원은 V(III)의 환원과 같다. $VO{\cdot}HA^{2-}$$VO{\cdot}A^{3-}$의 확산계수로서 각각 $(9.0{\pm}0.4){\times}10^{-6}cm^2/s$$(5.9{\pm}0.4){\times}10^{-6}cm^2/s$ 을 구하였다.

  • PDF

가당 및 효모첨가가 Campbell Early 포도주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 김재식;김성희;한정선;윤병태;육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16-521
    • /
    • 1999
  • 충북 영동 지역에서 1998년 수확한 포도 (Campbell Early)의 수확시기별 평균 당도와 산도는 8월 15일에 각각 $11{\pm}0.5^{\circ}Brix,\;1.1{\pm}0.3%$이었고, 8월 30일에는 $12.0{\pm}0.4^{\circ}Brix,\;1.0{\pm}0.2%$, 9월 15일에는 $13.5{\pm}0.4^{\circ}Brix,\;0.8{\pm}0.2%$, 9월 30일에는 $16.0{\pm}0.5^{\circ}Brix,\;0.7{\pm}0.1%$로 나타났으며, 야생효모량은 평균 $4{\sim}8{\times}10^5\;cells/g$으로 나타나 포도주 발효를 위해서는 가당과 효모첨가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8월 30일경 수확한 포도로 초기 당농도를 $24^{\circ}Brix$, 초기 효모농도를 $5{\times}10^6\;cells/mL$로 하여 $25^{\circ}C$에서 발효시킨 경우 9일만에 발효가 종료되어 최종 14.7% (v/v)의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산도와 pH는 각각 $0.9{\pm}0.2%,\;3.3{\pm}0.2$로 발효 중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효모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약 15일만에 발효가 종료되었으며 알코올 함량은 최종 14.4% (v/v)로 효모 첨가구와 비슷하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발효개시 2일 경과 후에 발효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잡균오염에 의한 이상발효의 우려가 있었다. 살균 및 색소추출의 목적으로 potassium metabisulfite를 300 ppm 첨가한 등외품 포도즙의 일반세균수는 $10^3c\;ells/mL$, 500 ppm 첨가한 것은 $10^2\;cells/mL$ 수준이었고,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10^8\;cells/mL$ 수준이었으며, 전발효 종료시 알코올 생성은 모두 14% (v/v) 정도로 비슷하였다. 포도주의 숙성기간 중 잡균 오염 방지를 위해 potassium metabisulfite를 40 ppm 이상 첨가하였을 때에는 포도주의 색이 탈색되었다.

  • PDF

수중의 비소 종 분리 분석 (Speciation Analysis of Arsenic Species in Surface Water)

  • 정관조;김덕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21-6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물속 As(III)와 As(V)의 종 규명분석에 필요한 HPLC와 DRC-ICP-MS의 최적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강 팔당수계 10개 지류 천으로부터 채취한 시료중의 As(III)와 As(V)를 분석 검토하였다. 종 분리를 위한 HPLC의 이동상으로는 10 mM ammonium nitrate와 10 mM ammonium phosphate monobasic을 사용하였으며, flushing solvent로는 5% v/v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검출기는 DRC-ICP-MS를, 반응기체는 산소를 사용하였다. 최적 분석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동상의 pH, 유량 및 시료 주입량과 DRC의 산소 유량을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 이동상의 pH는 9.4, 유량은 1.5 mL/min, 시료 주입량은 100 $\mu$L, 산소의 유량은 0.5 mL/min이었을 때 가장 좋은 분석조건으로 나타났다. 검정곡선은 As(III)와 As(V)에 대해 모두 r$^2$ = 0.998 이상의 선형성을 나타냈으며, As(III)의 검출한계는 0.10 $\mu$g/L, 정확도(RSD)는 4.3%, 회수율은 95.2%, As(V)의 검출한계는 0.08 $\mu$g/L, 정확도(RSD)는 3.6%, 회수율은 96.4%로 나타났다. 분석시간은 4분이었다. 설정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한강 팔당수계 유입 10개 지류 천에서 채수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As(III)는 0.10$\sim$0.22 $\mu$g/L, As(V)는 0.44$\sim$1.19 $\mu$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총 비소의 93.5%가 As(V)의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 Driver를 사용한 10비트 10MS/s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 10-bit 10-MS/s SAR ADC with a Reference Driver)

  • 손지수;이한열;김영웅;장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317-2325
    • /
    • 2016
  • 본 논문은 reference driver를 이용한 10비트 10MS/s 축차근사형(SAR: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SAR ADC는 커패시터형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CDAC: Capacitive Digital-to-Analog Converter), 비교기, SAR 로직, 그리고 공급 전압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는 reference driver로 구성된다. ${\pm}0.9V$의 아날로그 입력전압을 가지는 SAR ADC를 위해 reference driver는 0.45V, 1.35V의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설계된 SAR ADC는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1.8V의 공급전압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SAR ADC는 reference driver를 이용하여 +/- 200mV의 공급 전압 변화에서도 ${\pm}0.9V$의 입력 범위를 유지한다. 10MS/s의 샘플링 주파수에서 5.32mW의 전력을 소모한다. 측정된 ENOB는 9.11 비트 이며, DNL과 INL은 각각 +0.60/-0.74 LSB와 +0.69/-0.65 LSB이다.

문자간 상호작용과 에너지이동에 대한 이론적 연구 ; 높은 振動準位로 들뜬 HF 및 DF 의 振動緩和 (Intermolecular Interaction and Molecular Energy Transfer ; Vibrational Relaxation of Highly Excited HF and DF)

  • 이창순;이민주;김유항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92-598
    • /
    • 1985
  • HF(${\mu}$= 5-7) 및 DF(${\mu}$ = 9-12)의 HF(${\mu}$ = 0) 및 DF(${\mu}$ = 0)에 의한 전체 진동완화 속도 상수 $k_{v,v-1}$을 진동-진동 (V ${\to}$ V) 및 진동-회전, 병진(V ${\to}$ R, T) 두 반응경로를 모두 다 고려하여 단순한 충돌모형과 반고전적 계산방법을 써서 계산하였다. 계산된 속도상수들은 실험값 및 다른 이론들로부터 계산한 값들과 비교적 잘 맞았고, 온도 및 양자수 v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높은 진동 준위로 들뜬 HF 및 DF의 진동완화과정은 저온에서는 거의 다 V ${\to}$ R, T 경로로 일어나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V ${\to}$ V 경로의 중요성이 커짐을 보였다.

  • PDF

이소부탄의 산화탈수소반응에 대한 여러 담지체에 따른 V-Sb 산화물 촉매 성능 효과 (Effect of Various Supports on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V-Sb Oxides in the Oxidative Dehydrogenation of sobutane)

  • Shamilov, N.T.;Vislovskiy, V.P.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81-85
    • /
    • 2011
  • 이소부탄의 산화탈수소반응(ODH)에 대한 $V_{0.9}Sb_{0.1}O_x$ 촉매계의 5가지 담지체의 촉진효과를 조사하였다. 사용된 5가지 담지체는 감마-알루미나, 알파-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실리카겔, 마그네슘 산화물이다. 촉매는 사용된 담지체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gamma}-Al_2O_3$ > $\alpha$-$Al_2O_3$ > Si-Al-O> $SiO_2$ $\approx$MgO$\gg$unsupported. V-Sb-O 비율은 별로 촉매 활성과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촉매 성분들이 담지체에 골고루 잘 분포된 이유로 인해 감마-알루미나에 담지된 $V_{0.9}Sb_{0.1}O_x$ 촉매계가 성능이 제일 뛰어났다.

유기산으로 처리한 냉장 광어의 미생물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f Refregerated Flatfish Treated with Organic Acids)

  • 김창렬;김정숙;고대희;최운정;이극로;강어진;김광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9-333
    • /
    • 1998
  • 본 연구는 4~1$0^{\circ}C$ 냉장조건에서 0.5% 초산(AA), 0.5% 유산 (LA) 및 0.5% 구연산(CA) 침지법으로 5분 동안 처리한 신선한 광어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0.5% 초산 처리구는 4$^{\circ}C$, 12일 저장 동안 그람음성세균(GNC)이 증식을 완전히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0.5%의 유산 및 구연산 처리구는 각각 4$^{\circ}C$, 저장 9일부터 그람음성세균(GNC)의 급속한 증식을 보였다. 1$0^{\circ}C$에서 6일 저장 동안 0.5% 초산 처리구는 그람음성균의 증식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유산 및 구연상 처리구는 저장 3일 이후 효과가 없었다. 0.5%(v/v) 초산 처리구는 4$^{\circ}C$에서 저장 6일 동안 그리고 1$0^{\circ}C$에서 저장 3일 동안 호기성 부패 세균(APC)의 증식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0.5%(v/v) 초산 처리구는 4$^{\circ}C$에서 저장 12일 동안, 그리고 1$0^{\circ}C$에서 저장 6일 동안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4~1$0^{\circ}C$에서 광어포의 저장 도안 호기성 육부패의 주요 세균인 그람음성세균(GNC) 억제력이 초산 처리구의 광어포는 4$^{\circ}C$에서 12일 동안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