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01M $CaCl_2-P$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8초

밭토양(土壤)에서 유효린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인산흡수능(燐酸吸收能)에 따른 0.01M CaCl2 가용(可溶) 인산농도(燐酸濃度) 변화(變化) (Dependence of 0.01M CaCl2 Soluble Phosphorus on Extractable P and P Sorptivity in Upland Soil)

  • 윤정희;정병간;김유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6-270
    • /
    • 1998
  • 밭토양의 수용성 인산농도의 예측방법을 개발 할 목적으로 토양특성이 다양한 40개 토양에 대하여 0.01 M $CaC1_2-P$와 유효인산 및 인산흡수능 등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직선회귀관계에서 0.01 M $CaC1_2-P$와의 결정계수는 유효인산이 $0.479^{**}$, 부영양화인산이 $0.281^{**}$이었으며 토양의 인산흡수능중에는 인산흡수량이 $-0.465^{**}$, 인산흡수계수가 -$-0.056^{NS}$이었다. 0.01 M $CaC1_2-P$와 독립 변수인 유효인산과 인산흡수능을 함께 고려한 2차 다항 회귀관계로 보면 결정계수가 $0.745^{**}$로 향상되었고 독립변수로 유효인산과 인산흡수계수를 함께 고려하면 결정계수가 $0.566^{**}$ 이었으며 유효인산/인산흡수량의비를 독립변수로 하여 만든 지수함수식(指數函數式)에서는 결정계수가 0.818로 크게 향상되었다.

  • PDF

Comparison of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in Distribution of P Fractions at Reclaimed Land Soils

  • Moon, Tae-Il;Yoon, Young-M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7-334
    • /
    • 2016
  • In order to compare phosphorus (P) behavior of livestock manure compost (LMC) and chemical fertilizer (CF) applied to the sea-reclaimed land soils, incub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five weeks. Four soils differing textural classes, sandy loam and clay loam, and electric conductivity (EC) value, high and low, were applied with CF and LMC. LMC was applied at the level of 0, 1, 2, and 3% on the soil weight basis and CF was applied at the same levels of P as LMC.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 of P application rate of CF and LMC led to linearly increase available $P_2O_5$ and $0.01M\;CaCl_2$ extractable P contents regardless of soil texture and EC. However, 0.01M $CaCl_2$ extractable P from soil applied with C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 LMC.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0.01M-CaCl_2$ extractable P and fractionated P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showed that $0.01M-CaCl_2$ extractable P positively correlated with KCl-P (soluble and exchangeable P) and HCl-P (Ca and Mg bound P). However, NaOH-P (Fe and Al bound P and organic P) and residual P was adverse. The amount of NaOH-P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amount of 0.01M $CaCl_2$ extractable P of CF and LMC in the soils. The application of LMC at sandy loam soil could be carried out in the consideration of nutrient leaching and crop uptake.

세포 융합액 중의$Ca^{2+}$ 농도가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융합, 핵형 및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2+}$ Concentration in Fusion Medium on the Fusion, Nuclear Morphology and Development of Bov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Embryos)

  • 조재원;김정익;박춘근;양부근;정희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39
    • /
    • 2002
  • 소 체세포 핵이식 시 융합액 내 $Ca^{2+}$ 농도에 따른 융합율, 핵형의 변화, 배 발달율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융합액 내 $Ca^{2+}$ 농도를 0.05, 0.1, 0.5 및 1.0 mM로 각기 다르게 처리한 결과, 0.5와 1.0 mM의 CaC$_2$에서 융합율이 80.5 와 84.3%로 나타나 0.05 mM CaCL$_2$에서의 융합율 56.6%에 비하여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2. 융합액 내 $Ca^{2+}$ 농도에 따른 재구축배의 핵형을 검토한 결과, CaCL$_2$농도 0.05와 0.1 mM 에서는 88.4와 84.0%의 난자가 PCC이후 염색질괴를 형성한 반면, 0.5와 1.0 mM 에서는 54.5와 59.3%가 PCC 형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핵을 형성하여, $Ca^{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CC 형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핵을 형성하는 난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3. 핵이식란의 체외 발육율을 검토한 결과, 1.0 mM CaCl$_2$에서는 배반포 발육율이 30.6%로 나타난 반면, 0.1 mM CaCl$_2$에서 는 20.0%로 나타나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융합액 내 $Ca^{2+}$농도의 증가가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융합율 및 배반포 발육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경작지(耕作地) 전토양(田土壤)의 인산특성(燐酸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축적인산(蓄積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the Upland Soil I. Composition of Accumulated Phosphorus Forms and Available Phosphorus)

  • 신철우;김정제;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1988
  • 인산(燐酸) 축적지(畜積地) 토양(土壤) 149점(點)(시건설원예지(施設園藝地) 60점(點), 마늘, 양파, 고추 재배지(栽培地) 89점) 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인산(燐酸)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분포비(分布比)는 68.9%(Sa-p 2.7, Al-p 26.4, Fe-p 27.6, Ca-p 12.2), 유기태인산(有機態燐酸)은 6.7%, 유효인산(有效燐酸)은 26.0%이었따. 2.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Al-p와는 0.1%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Sa-p, Ca-p 순으로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Fe-p와는 일정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다중회귀분석(多重回歸分析) 결과(結果) $Av.P=81.694+0.858Sa-p^{***}+0.648Al-p^{***}+0.091Ca-p^{**}(R=0.826^{***})$의 관계식(關係式)을 얻었으며, 각 성분(成分)의 기여도(奇與度)는 Sa-p 26.1, Al-p 65.2, Ca-p 8.7%이었다. 4.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과 $0.01M-CaCl_2-p$와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고, $0.01M-CaCl_2$ 용액(溶液)에 의한 30분(分) 추출법(抽出法)은 토양용액(土壤溶液) 인산(燐酸)을 신속(迅速) 간편(簡便)하게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 생각되었다.

  • PDF

논토양에서 유효인산 함량과 인산 흡수능에 따른 0.01 M CaCl2 가용 인산 농도 변화 (Dependence of 0.01 M CaCl2 Soluble Phosphorus upon Extractable P and P Sorptivity in Paddy Soil)

  • 정병간;윤정희;김유학;김석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84-390
    • /
    • 2003
  • 논토양의 환경기준 인산지표 예측기술개발을 위하여 논토양 35점을 $25{\pm}1^{\circ}C$ 에서 1, 2, 4주간 담수 항온한 결과 담수 항온 전 풍건 토양의 $0.01M\;CaCl_2$ 가용인산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 및 인산흡수능의 관계는 습토로 분석할 경우 상관계수의 크기는 유효인산/인산흡수량>유효인산>유효인산/인산흡수계수>인산흡수량>총인산>인산흡수계수 순이었고, 항온기간별 상관계수 크기는 습토로 분석할 경우 항온이 길어질수록 상관계수는 점점 낮아 졌으나, 건토로 분석할 경우는 이와 반대 경향이었다.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과 인산흡수량을 활용하여 $0.01M\;CaCl_2$ 가용인산 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관계식 $0.01M\;CaCl_2-P=0.0828$ (유효인산/인산흡수량) + 0.0374을 얻었으며, 이러한 관계식은 토양의 인산 함량과 인산흡수 특성을 고려하여 작물재배에 필요한 적정 유효인산 함량의 추정과 토양 인산의 유실 가능성 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흰쥐 신경세포에서 억제성 및 흥분성 한약재가 유발한 이온전류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ion current induced by inhibitory and excitatory herbs in rat periaqueductal gray neuron)

  • 이충열;조선혜;서종은;한승호;조영욱;민병일;김창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50-467
    • /
    • 1998
  •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ion currents induced by inhibitory and excitatory herbs of oriental medicine, we used nystatin-perforated patch clamp technique under voltage clamp condition in periaqueductal gray neuron dissociated from Sprauge-Dawley rat, 10-15 days ol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on current induced by $10mg/m{\ell}$ of Bupleuri Radix was inhibited $59.50{\pm}4.29%$ by $10^{-4}M$ bicuculline(p>0.01) but inhibition of $10.75{\pm}4.77%$ by $10^{-4}M$ tubocurarine and $4.75{\pm}4.23%$ by $10^{-4}M$ verapamil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Bupleuri Radix revealed only GABA induced $Cl^-$ current, not acetylcholine and $Ca^{2+}$ current. 2. Ion current induced by $20mg/m{\ell}$ of Coptidis Rhizoma was inhibited $47.20{\pm}7.88%$ by $10^{-4}M$ bicuculline(p<0.01) but $3.20{\pm}2.33%$ inhibition by $10^{-4}M$ tubocurarine and $1.00{\pm}1.00%$ inhibition by $10^{-4}M$ verapamil had no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Coptidis Rhizoma revealed only GABA induced $Cl^-$ current, not acetylcholine and $Ca^{2+}$ current. 3. Ion current induced by $20mg/m{\ell}$ of Ecliptae Herba was inhibited $55.00{\pm}4.92%$ by $10^{-4}M$ bicuculline (p<0.01), and also inhibited $15.00{\pm}4.26%$ by $10^{-4}M$ tubocurarine(p<0.05), but inhibition of $6.00{\pm}3.03%$ by $10^{-4}M$ verapamil had no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Ecliptae Herba show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not $Ca^{2+}$ current 4. Ion current induced by $5mg/m{\ell}$ of Liriopis Tuber was inhibited $15.20{\pm}4.57%$ by $10^{-4}M$ bicuculline<0.05) and also inhibited $14.00{\pm}3.00%$ by $10^{-4}M$ tubocurarine(p<0.05), but inhibition of $5.20{\pm}4.80%$ by $10^{-4}M$ verapamil had no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Liriopis Tuber show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not $Ca^{2+}$ current. 5. Ion current induced by $5mg/m{\ell}$ of Aconiti Tuber was inhibited $97.00{\pm}1.34%$ by $10^{-4}M$ bicuculline(p<0.01), $80.00{\pm}9.83%$ by $10^{-4}M$ tubocurarine(p<0.01), and $24.00{\pm}6.18%$ by $10^{-4}M$ verapamil(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Aconiti Tuber reveal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and $Ca^{2+}$ current. 6. Ion current induced by $10mg/m{\ell}$ of Zingiberis Rhizoma was inhibited $33.00{\pm}7.43%$ by $10^{-4}$ bicuculline(p<0.05), $10.20{\pm}1.83%$ by $10-^{-4}M$ tubocurarine(p<0.01), and $14.00{\pm}2.16%$ by $10^{-4}M$ verapamil(p<0.01) So ion current induced by Zingiberis Rhizoma reveal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outtent and $Ca^{2+}$ current. 7. Ion current induced by $10mg/m{\ell}$ of Boshniakiae Herba was inhibited $65.00{\pm}13.75%$ by $10^{-4}M$ bicuculline(p<0.05), $38.00{\pm}9.24%$ by $10^{-4}M$ tubocurarine(p<0.05), and $33.25{\pm}7.42%$ by $10^{-4}M$ verapamiH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Bpshniakiae Herba reveal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and $Ca^{2+}$ cur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oint of difference between inhibitory and excitatory herbs is existence of$Ca^{2+}$ current.

  • PDF

침출액량(浸出液量)을 달리할 경우(境遇)에 있어서의 토양(土壤)의 pH. (The Soil pH in Relation to the Ratio of Soil and Solution)

  • 오왕근;박영선;위재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0
    • /
    • 1969
  • 토양(土壤)의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이 다른 20점(點)의 전답토양(田畓土壤)(전(田) 10점(點), 답(畓) 10점(點))을 공시(供試)하여 증류수(蒸溜水), N-KCl 및 0.01 M $CaCl_2$ 등(等) 3가지 침출액(浸出液)으로 토양(土壤)과 침출액(浸出液)의 비율(比率)을 달리하여 토양(土壤) pH를 측정(測定)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증류수(蒸溜水)로 침출(浸出)하여 측정(測定)한 토양(土壤) pH는 증류수량(蒸溜水量)이 많아짐에 따라서 높아졌고 그 차이(差異)는 답토양(畓土壤)에서 보다 전토양(田土壤)에서 더 컸다. 2. N-KCl로 침출(浸出)하여 측정(測定)한 토양(土壤) pH는 N-KCl량(量)이 많아짐에 따라서 약간(若干) 높아지는 경향(傾向)이다. 3. $0.01\;M-CaCl_2$로 침출(浸出)하여 측정(測定)한 토양(土壤) pH는 염류토양(鹽類土壤)을 제외(除外)하고서는 $0.01\;M-CaCl_2$량(量)에 따라서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염류토양(鹽類土壤)에서는 침출용액(浸出溶液)이 많아짐에 따라서 pH가 높아졌는데 이것은 고염농도(高鹽濃度)로 인(因)한 접착전위(接着電位)의 저하(低下)때문인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폐금속광산 주변 논토양 및 벼작물의 비소함량과 계절적 변화 (Contents and Seasonal Variations of Arsenic in Paddy Soils and Rice Crops around the Abandoned Metal Mines)

  • 권지철;정명채;강만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4호
    • /
    • pp.329-338
    • /
    • 2013
  • 이 연구는 국내 휴폐금속광산 주변의 논토양과 식물(벼)의 비소 오염과 계절적 변화를 고찰하고, 토양과 식물의 유기적 관계규명을 위해 토양시료를 왕수, 1 M $MgCl_2$, 0.01 M $CaCl_2$ 및 0.05 M EDTA 등 다양한 추출제로 전처리하여 비소를 분석하였다. 화학분해 방법에 따른 함량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p<0.01), 1 M $MgCl_2$ >0.01 M $CaCl_2$ >0.05 M EDTA 순으로 나타났다. 벼줄기의 생물학적 농축계수는 산화환경보다 환원환경에서 높았으며, 백미시료에서는 농축계수가 0.02로 낮게 나타났다. 농가의 1일 평균 쌀소비량인 315 g을 적용하여 세계보건기구의 미량원소 1일 섭취 최대허용량과 비교한 결과 농가에서는 65%의 높은 섭취량을 보여, 이들 쌀 소비에 의한 비소의 인체섭취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칼슘알긴산비드에 의한 염분의 흡착특성 (Characteristics of Salt Adsorption by Calcium Alginate Beads)

  • 방병호;서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6
    • /
    • 2002
  • Ca-alginate bead로 소금의 흡착에 미치는 영향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alginate beads에 의한 소금 흡착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분 후4.0g으로 최고의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0.2M CaCl$_2$, 0.2M BaCl$_2$, 0.2M FeCl$_3$및 0.2M MgCl$_2$등의 경화용액으로 조제한 bead에 의한 소금 흡착량은 Fe-alginate beads가 5.6g으로 제일 높았으나 bead가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었고, MgCl$_2$용액으로는 bead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0.2M CaCl$_2$, 0.2M BaCl$_2$및 0.2M SrCl$_2$용액으로 만든 bead는 각각 4.2g 정도의 대등한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CaCl$_2$경화 용액이 0.1M, 0.2M 및 1M 일때 소금 흡착량은 각각 4.8g, 4.2g 및 4.1g으로 나타났다. Alginate의 농도를0.6%, 1% 그리고 2%로 하여 제조한 비드로 소금 흡착량은 2.8g, 4.0g, 4.4g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그리고 bead의 크기를 각각 2.5mm, 3.5mm 그리고 4.5mm로 제조하여 소금의 흡착량을 살펴본 결과 각 크기별 모두 4.0~4.2g로 차이가 없었다. 초기 소금의 농도 4%, 8%, 12%그리고 16%에서, 각각 소금의 흡착율은 30%, 28%, 27% 그리고 25%이었으며, pH에 따른 염분의 흡탁율은 산성(pH 4.0) 및 중성(pH 6.8) 영역에서 보다는 염기성(pH 10.0)에서 더 높았다. 된장으로부터 내염성 세균을 분리한 후 alginate로 고정화한 beads와 비고정화한 bead와의 염분 흡착량은 고정화한 bead에 의한 염분 초기흡착속도가 보다 낮았으며, Ca-alginate bead 제조시 경화용액에 머무는 시간이 길수록 염분 흡착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사용한 bead를 증류수에 하루 동안 방치 후 이 bead를 재이용 함에 따라 염분 흡착량은 점점 감소하였다. 시료를 된장으로 하여 0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 후 소금 흡착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불어 증가하였다. 또한 소금이 감소된 된장의 pH를 측정한 결과, 4.90, 5.00, 5.01, 5.02, 그리고 5.03이였으며, 적정산도는 0.1N-NaOH 소모량이 4ml, 3.4ml, 3.2ml, 3.0ml 그리고 3.0 ml이었다. 저염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를 적정 한 결과, 원료 된장이 840mg/된장 100g, 740mg/된장 100g, 630mg/된장 100g, 그리고 530mg/된장 100g으로 줄어들었다. 각 시료별 염분 흡착율은 된장이 다른 시료(Doengjang 100%, Kochujang 86%, Soy-sauce 78% and Jeotkal 71%) 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의 아밀라제 생산과 특성 연구 (Production of Extracellular Amylase by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수영;유관희;이영주;이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9-75
    • /
    • 1989
  •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을 아밀라제 생산배지에 $32^{\circ}C$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아밀라제 활성은 0.40 units/ml 였고, 50mM EDTA에 의하여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기본배지에 soluble starch와 $Ca^{2+}$, $Mg^{2+}$, $Mn^{2+}$을 첨가했을 때 활성이 비교적 높았고, pH6.5와 7.0 사이에서, 온도 $55^{\circ}C$에서 비교적 활성이 높았다. 아밀라제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로는 0.2% soluble starch, 1.0% bacto-peptone, 0.3% beef extract, 0.5% NaCl, 0.3% $K_{2-}$$KH_{2}PO_{4}$, 0.012% CaCl.$2H_{2}O$, 0.005% $MnSO_{4}$.$H_{2}O$, 0.03% $MgSO_{4}$.$7H_{2}O$이었다. 효소 용액을 에 $HPO_{4}$, 0.1% 탄올 침전시켜 5ml의 0.1M 인산염 완충액에 용해한 용액의 비활성은 2.01 units/mg였고, starch에 대한 효소의 Km 값은 0.80 mg/ml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