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i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11초

분지 올리고당이 장내 주요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Effect of Branched Oligosaccharides on Principal Intestinal Bacteria)

  • 박종현;유진영;신옥호;신현경;이성준;박관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7-242
    • /
    • 1992
  • Panose와 분지 올리고당 혼합당을 탄소원으로한 PYF당 검색용 배지에서 장내 주요 세균인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Clostridium, Escherichia, Eubacterium, Enterococcus, Staphylococcus, Bacteroides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B.adolescentis, B.bifidum, L.acidophilus 등은 panose 배지에서 lag phase가 긴편이었으나 생육이 양호함을 알았고 C.perfringens, C.paraputrificum, Bac.fragilis, S.aureus 등은 자라지 못했다.

  • PDF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비피도박테리움 어돌레센티스 SPM0212의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SPM0212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 이도경;박재은;김민지;이영주;서재구;하남주;김경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80-287
    • /
    • 2015
  • 프로바이오틱스는 미생물 식품 보조제 또는 건강증진을 위해 전통적으로 유제품에 첨가되어온 세균의 구성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되는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SPM0212 균주의 간 보호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이전 연구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Wistar albino 랫드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프로바이오틱스를 연속해서 9일 동안 경구로 투여하고 7일째와 8일째에는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하였다. 간 손상 정도는 혈중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SGOT)와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SGPT)의 수치와 병리조직학적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B. adolescentis SPM0212는 SGOT와 SGPT 수치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사염화탄소가 체중과 장기무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켰다. 또한 병리조직학적 시험결과, 사염화탄소만 투여한 랫드의 간은 정상적인 간세포의 구조가 거의 소실된 반면에 사염화탄소와 B. adolescentis SPM0212를 투여한 랫드의 간은 아주 적은 손상과 정상적인 간세포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B. adolescentis SPM0212 균주는 건강 유지를 위한 기능성 식품뿐만 아니라 제노바이오틱스나 B형 간염 바이러스로 부터 간을 보호하기위한 프로바이오틱스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P2P3, a Human Gut Bacterium Having Strong Non-Gelatinized Resistant Starch-Degrading Activity

  • Jung, Dong-Hyun;Kim, Ga-Young;Kim, In-Young;Seo, Dong-Ho;Nam, Young-Do;Kang, Hee;Song, Youngju;Park, Cheon-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2호
    • /
    • pp.1904-1915
    • /
    • 2019
  • Resistant starch (RS) is metabolized by gut microbiota and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which are related to a variety of physiological and health effects. Therefore, the availability of RS as a prebiotic is a topic of interest, and research on gut bacteria that can decompose RS is also important.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were 1) to isolate a human gut bacterium having strong degradation activity on non-gelatinized RS, 2) to characterize its RS-degrading characteristics, and 3) to investigate its probiotic effects, including a growth stimulation effect on other gut bacteria and an immunomodulatory effect.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P2P3 showing very strong RS granule utilization activity was isolated. It can attach to RS granules and form them into clusters. It also utilizes high-amylose corn starch granules up to 63.3%, and efficiently decomposes other various types of commercial RS without gelatinization. In a coculture experiment,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ATCC 29148, isolated from human feces, was able to grow using carbon sources generated from RS granules by B. adolescentis P2P3. In addition, B. adolescentis P2P3 demonstrated the ability to stimulate secretion of Th1 type cytokines from mouse macrophages in vitro that was not shown in other B. adolescent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 adolescentis P2P3 is a useful probiotic candidate, having immunomodulatory activity as well as the ability to feed other gut bacteria using RS as a prebiotic.

산양유를 섭취한 성인 여성의 분변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의 탄수화물 발효특성 (Carbohydrate Fermentation Character of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isolated from Feces of the Adult Women supplied with Goat Milk)

  • 최석호;임영순;함준상;정석근;이승배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03-110
    • /
    • 2015
  • 산양유을 섭취한 성인의 분변 내 bifidobacteria의 증식 효과 및 분변에서 분리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의 당 발효 능력을 조사하였다. 1. 산양유를 섭취한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bifidobacteria 세균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8주에서 95% 신뢰한계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13 균주의 16S rRNA 염기서 열로 동정한 결과, 산양유를 섭취한 처리구는 B. adolescentis, B. longum, B. pseudocatenulatum, B. dentium, L. sakei 순으로 분리되었다. 대조군의 12 균주는 B. adolescentis, B. longum, L. ruminis, L. sakei, B. pseudocatenulatum 순으로 분리되었다. 3. 산양유 올리고당과 lactulose는 모든 bifidobacteria 및 lactobacilli 균주가 발효하였다. Fructooligosaccaride는 B. adolescentis 7 균주 모두 발효하였다. 조사한 B. pseudocatenulatum 4 균주, L. sakei 3 균주, B. longum 7 균주 중에서 각각 3, 2, 1 균주가 fructooligosaccharide를 발효하였다.

  • PDF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eta}-Galactosidase$ Gene from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Int57

  • Park, Myeong-Soo;Yoon, Hyeon-Jin;Rhim, Seong-Lyul;Ji, Geun-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06-111
    • /
    • 2001
  • A ${\beta}-galactosidase$ gene of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Int57 (INT57) was cloned using the shotgun method. The sequence of the ${\beta}-galactosidase$ gene existing in the sequenced 3,260-bp fragment showed higher than 40% homology with other bacterial ${\beta}-galactosidase$ genes. The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suggested that the ${\beta}-galactosidase$ might have a monomeric, dimeric, or tetrameric protein structure. This is probably the first peer-reviewed sequence analysis of the ${\beta}-galactosidase$ gene of the genus Bifidobacterium.

  • PDF

산소의 Stress에 따른 Bifidobacterium adolescentis와 Bifidobacterium longum의 산화효소의 활성과 세포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Oxidative Enzym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and B. longum under Anaerobic and Aerated Conditions.)

  • 신순영;박종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4
    • /
    • 1998
  • Bifidobacterium spp.의 내 산소성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산소에 민감한 B. adolescentis와 상대적으로 산소에 내성이 있는 B. longum을 선정하여 혐기적 조건, 미호기성 조건,호기성 배양 조건 등에서 그 생육,산화 효소들의 활성, 세포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을 연구하였다. B. adolescentis의 생육은 미 호기성 조건에서 민감하게 저해되었으나, B. longum은 같은 조건에서 혐기배양과 같은 정도의 생육을 유지하였다. 이들 조건에서 두 균주의 catalase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superoxide dismutase는 B. adolescentis와 B. longum모두에서 관찰되었으며 어느 조건에서든 B. adolescentis은 B. longum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ADH oxidase와 NADH peroxidase의 활성은 B. adolescentis에서는 매우 낮은 반면, B. longum에서는 일정한 수준의 활성을 보였으며, 이 활성은 혐기적 배양조건에서 보다는 미호기성 조건에서 3.7-11.4배 증가하였다. 세포의 지방산 분석 결과 두 균주 모두 $C_{l6:0}$$C_{l8:1}$이 전체 methylated성분 중 60-70%를 차지했다. B. longum에는 특히 $C_{l9:0 cyclo 9,10}$가 2-14%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lactobacillic acid와는 cylization 위치가 다른 cis 9, 10-methylene octadecanoic acid이었고 미호기적 배양과 정지기 세포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두 균주 모두 혐기균에서만 확인된 세포막의 plasmalogen의 존재로 인한 dimethyl acetals(DMA)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이 중 $C_{l8:1}$ DMA는 호기성 조건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산소 stress환경의 bifidobacteria의 생육에 있어 NADH oxidative enzymes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 효소체계와는 별도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세포구조적 변화의 일부로 지방산 $C_{l9:0}$ Cyclo와 plasmalogen의 $C_{l8:1}$ 등이 변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장내 유용세근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KCTC 3216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항산화 천연산물의 조합구성 (The Growth Promotion Effect of Useful Enterobacteria Bifidobacterium aolescentis KCTC 3216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oative Capacity)

  • 김종덕;김민용;안창범;서효진;김봉조;서재관;김점순;공재열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88-395
    • /
    • 2002
  • 장내 유용세균인 Eifidobacterium adolescentis KCTC 3216은 천연산물 향가지 단독으로서도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두가지, 세가지 및 네가지의 조합에 의하여도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다. 그리고 이 균주는 천연산물의 배합 중에서 한가지의 천연산물로서는 괴화, 황백, 상백피, 진피, 당귀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가지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백작약와 녹차, 음양곽과 당귀, 백작약과 음양곽, 백출과 당귀 등의 조합이, 세가지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녹차와 백작약 및 음양곽, 녹차와사간 및 백작약, 녹차와 황기 및 상백피 등의 조합이, 그리고 4가지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사간, 당귀, 음양곽 및 녹차의 조합, 당귀, 음양곽,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 음양곽, 백작약, 괴화 및 녹차 등의 조합에서 잘 성장함을 보였으며, 음앙곽, 백작약, 괴화 및 녹차의 조합이 대조군 보다 2.6배의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AUC는 659.88로써 대조군의 AUC보다 5.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종류의 조합 중 당귀, 음양곽,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의 AUC가 665.55로써 강한 것으로 났으며, 이 조합의 성장촉진효과는 대조군보다 2.1배의 성장률을 보였고 대조군의 AUC(116.61)보다 5.7배 정도 항산화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종류 조합의 총 phenol 량은 녹차 중의 증제차나 볶음차 둥의 비발효 차보다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 발효차인 오룡차보다는 32∼35배, 발효차인 홍차보다는 55∼60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산물들을 이용하여 free radical의 제거와 동시에 B. adulescentis의 성장 촉진 물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제제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

Lactobacillus reuteri NK33 and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NK98 Alleviate Escherichia coli-Induced Depression and Gut Dysbiosis in Mice

  • Han, Sang-Kap;Kim, Jeon-Kyung;Joo, Min-Kyung;Lee, Kyung-Eon;Han, Seung-Won;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222-1226
    • /
    • 2020
  • Lactobacillus reuteri NK33 (NK33) and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NK98 (NK98) alleviate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depression. To understand the gut microbiota-mediated mechanisms of NK33 and NK98 against depression, we examined their effects on Escherichia coli K1 (K1)-induced depression and gut dysbiosis in mice. NK33, NK98, and their mixtures (1:1, 4:1, and 9:1) mitigated K1-induced depression and colitis. NK33 and NK98 additively or synergistically increased BDNF+/NeuN+ cell population and suppressed NF-κB action in the hippocampus. They alleviated gut dysbiosis by reducing the Proteobacteria population and increasing the Clostridia pop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K33 and NK98 may alleviate depression and colitis by ameliorating gut dysbiosis.

Distribution of Dominant Bifidobacteria in the Intestinal Microflora of Korean Adults and Seniors, Identified by SDS-PAGE of Whole Cell Proteins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 KIM TAE WOON;SONG HEE SUNG;KIM HAE 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88-394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dominant Bifidobacterium species in intestinal microflora of Korean adults and seniors, SDS-PAGE profiles of whole cell proteins were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bifidobacteria.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SDS-PAGE, the Bifidobacterium species identified by SDS-PAGE of whole cell proteins were validated by using 16S rDNA sequencing analysis. The results of SDS­PAGE corresponded well with those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16S rDNA sequencing. Based on the analysis of SDS-PAGE patterns on unidentified fecal strains which showed positive in fructose-6-phosphate phosphoketolase activity, B. adolescentis, B. longum, and B. bifidum were identified in the feces of adults, and B. adolescentis, B. longum, B. bifidum, B. breve, and B. dentium were identified in those of seniors. In most of the fecal samples tested, the predominant Bifidobacterium species consisted of only a few species, and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and numbers of Bifidobacterium species were observed between adults and seniors. B. adolescentis and B. longum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species in feces of adults, but not in seniors.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ifidobacteria in the human intestinal microflora varied depending on the age of hosts.

Growth-inhibiting Effects of Brazilian and Oriental Medicinal Plants on Human Intestinal Bacteria

  • Kim, Moo-Key;Lee, Sung-Eu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54-58
    • /
    • 2000
  • Methanol extracts of 27 Brazilian plant samples and 10 oriental medicinal plant samples (27 families),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s under anaerobic conditions, were tested in vitro for their growth-inhibiting activities against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Bacteroides fragilis. The responses varied with bacterial strains, plant species, and tissues sampled. In a test with B. longum and B. bifidum(20 mg/disc), extracts of Acanthopanax sessilifolinus stem bark and Ampelozizyphus amazonicus leaves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B. longum, whereas other plant samples did not inhibit any intestinal bacteria tested. At 5 mg/disc, adding extracts of Aralia eleta, Euterpe oleracea, and Syzygium guineense to the media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C. perfringens and B. fragilis without growth inhibition of B. adolescentis, B. longum, and B. bifidum. Extracts of Jacaranda mimosifolia and Ulmus paraifoli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C. perfringens and B. fragilis as well as B. adolescentis. These results may be indications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e five Brazilian plants but not oriental medicinal plants t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