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parasitism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Host Egg Color Dimorphism on Interactions Between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and Common Cuckoo (Cuculus canorus)

  • Yoo, Jeong-Chil;Lee, Jin-W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2호
    • /
    • pp.77-80
    • /
    • 200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st egg color dimorphism on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 common cuckoo (Cuculus canorus) interactions, we monitored breeding nests of vinous-throated parrotbills, and conducted model egg experiments, using two colors: white and blue. Of the 190 nests examined in this study, cuckoo parasitism occurred at 10 nests (8 blue and 2 white egg clutches, respectively), and only blue cuckoo eggs were found. This frequency was similar to the egg-color ratio of all host nests found (151 blue and 39 white egg clutches). Vinous-throated parrotbills showed high rejection rate towards both cuckoo eggs and model on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jection rates towards mimetic (blue) and non-mimetic (white) eggs in blue egg clutches. Mimetic eggs put in nests took significantly longer to be rejected than non-mimetic ones. The most common rejection method used by the hosts was egg ejection (puncture-ejection). The costs of ejecting non-mimetic egg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ejecting mimetic eg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gg-color dimorphism in this species favors the individuals having white egg clutches in terms of higher rejection rate and lower ejection costs of the parasitic egg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egg-color dimorphism of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decreases the effect of cuckoo parasitism on host populations.

배추나비고치벌(Cotesia glomerata L.)의 생태적 특성 및 고랭지 배추밭에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기생률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tesia glomerata L. (Hymenoptera: Braconidae) and Its Parasitism Rates for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in a Kimchi Cabbage Field in The Korean Highland Area)

  • 권민;김주일;홍은주;이영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55-362
    • /
    • 2019
  • 배추나비고치벌(Cotesia glomerata L.)은 배추흰나비(Artogeia rapae L.)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 유충을 공격하는 내부기생 천적으로, 여름배추를 주로 생산하는 고랭지 채소밭에서 배추흰나비와 배추좀나방을 동시에 생물적 방제하기 위한 천적자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배추나비고치벌에 대한 온도별 생육반응과 성비, 먹이에 따른 수명을 실험실내에서 조사한 결과, 배추나비고치벌의 알-유충 기간 및 번데기 기간은 20℃에서 각각 12.1 ± 2.1일, 6.4 ± 1.8일이었으며,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알-유충 및 번데기 시기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7.7℃, 8.5℃였다. 여러 상이한 온도에서 사육한 배추나비고치벌 우화성충의 암수를 조사한 결과, 15℃에서 61.0 ± 4.5%, 20℃에서 44.2 ± 1.0%, 25℃에서 39.0 ± 2.3%의 성비를 보여 온도가 낮아질수록 암컷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배추나비고치벌 성충에 10% 설탕액을 급여한 결과 수명은 20.4 ± 0.2일이었으며, 아무것도 급여하지 않은 경우는 3.6 ± 0.1일이었다. 실내 대량 사육을 통해 확보한 배추나비고치벌 성충을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8월 초에 고랭지 배추밭에 방사하고 노지 기생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햇수가 지날수록 노지 기생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Y=0.2696X+2.8633, R2=0.3994). 가장 높은 기생률을 보인 연도는 2013년의 7.6%이었고, 가장 최근인 2018년에는 6.5%의 기생률을 나타내었다.

사과원에서 사과면충과 사과면충좀벌의 발생동태 및 살충제 실내검정 (Population Dynamics of Eriosoma lanigerum (Hemiptera: Aphididae) and Aphelinus mali (Hymenoptera: Aphelinidae) in Apple Orchards and Screening Effective Insecticides in the Laboratory)

  • 김동순;양창열;전흥용;최경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9-325
    • /
    • 2009
  • 사과면충은 지하부 대목부 및 흡지에서 성충 및 약충 상태로 월동하였고, 약제를 살포하지 않은 사과원의 주간부에서 콜로니는 4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 1차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그 후 감소하였다가 7월 하순 2차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9월 하순에도 1차 발생최성기 규모의 발생량을 보였다. 발생량은 주 당 3.5개를 넘지 않았으며, 연간 2개 내외로 유지되었다. 사과면충좀벌 기생률은 지제부 보다는 지상부에서 기생률이 높았고, 사과면충 발생농가 조사결과 기생률이 최고 70% 이상이었다. 사과면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검정 결과 fenitrothion, dichlorphos, machine oil, methidathion, thiacloprid, imidacloprid 등 약제의 살충률은 각각 97.8, 96.8, 95.4, 91.5, 26.7 및 7.8% 이었다. 또한 동일한 약제에 대한 사과면충좀벌 머미의 성충으로 우화율은 각각 51.2, 72.6, 14.2, 3.5, 72.2 및 85.4% 이었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진딧물 적용약제들의 살충률은 낮았으며, fenitrothion 및 dichlorphos는 사과면충에 대한 살충률이 높고 천적에 비교적 저독성이어서 종합관리 시 동시방제 약제로 적당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ggregation Pheromone of Riptortus clavatus (Heteroptera: Alydidae) on the Occurrence of Egg Parasitoid, Gryon japonicum (Hymenoptera: Scelionidae))

  • 백채훈;강석민;전용균;이건휘;최만영;오영진;박정규;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7-72
    • /
    • 2009
  •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에 대하여 kairomone 으로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린재검정알벌의 기생률은 페로몬 트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의 위치가 0에서 15 m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고, 노린재검정알벌의 유인거리는 약 15 m였다. 콩 포장조건에서 노린재검정알벌의 밀도는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 최대 발생시기를 보였고, 페로몬 트랩 설치수를 $165\;m^2$ 당 1개에서 3개로 증가함에 따라 기생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약제처리구에서 기생률이 비교적 매우 낮았다. 노린재검정알벌의 포장밀도에 대한 성비조사에서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Aphids, Plants nd Other Organisms

  • Eastop, V.F.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
    • /
    • 1995
  • The relationships between aphids, plants, other organisms and some physical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 are reviewed. Aspects considered include year cycles, polymorphism fecundity, relationship of different groups of aphids with particular groups of plants, honeydew, alarm pheromones, aposematic colouring, camouflage, colour variation within species, morphological variation within species, multivariate analysis and problems of its interpretation, parasitism, stridulating mechanisms, predators, coevolution of plants and aphids, plant galls, trapping aphids and the interpretation of trap catches, an curation of aphid collections. References are given to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aphid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orean fauna.

  • PDF

자연산 복섬에서의 Pseudocaligus sp. 기생과 그 구제에 대해 (Parasitism of Pseudocaligus sp. in wil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and their treatment)

  • 서장우;김위식;한경호;이성훈;유동재;김이청;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7-112
    • /
    • 2010
  • 2007년 봄철 전남 여수 연안에서 자연 서식하는 복섬에서 Pseudocaligus sp.의 기생이 확인되었다. 숙주에 감염된 충은 preadult 및 adult 단계의 형태를 보였으며, 충체는 투명하였고 편평하며, 두흉부, 생식절, 복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충의 전단부에는 lunule이라고 하는 1쌍의 흡착구조물이 관찰되었다. 구제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포르말린과 담수로 처리한 결과, preadult 및 adult 단계의 Pseudocaligus sp.는 50~400ppm의 포르말린 약욕처리에서 1시간 이내에 100%가 탈락 되었으나, 담수욕 처리에서는 90분 동안 57%의 탈락률을 보였다.

밀양에서 월동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의 개체군 생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onomics of Overwintering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en, in Milyang)

  • 배순도;송유한;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1-327
    • /
    • 1995
  • 밀양에서 월동하는 애멸구 개체군의 월동생태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은 12월상순에 4령충(약 60%)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3령충(약 30%), 5령충(약 6%), 2령충(약 3.4%), 성충 및 1령충 순서였다. 이러한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과 순서는 채집시기에 따라 변화였으며, 그 결과 3월상순에는 5령충(47-50%)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4령충(44-46%)이었으며, 4월상순에는 성충이 약 75-81%를 차지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발육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평균령기는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채집년도간 평균령기의 차이는 연도간 월동기간중의 온도차이에 따른 월동 애멸구 영구성 비율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애멸구의 체중도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으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서 월등하게 높았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 약충기생봉에 의한 기생률은 평균 약 21%였다.

  • PDF

Interaction between Parasitophorous Vacuolar Membrane-associated GRA3 and Calcium Modulating Ligand of Host Cell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Parasitism of Toxoplasma gondii

  • Kim, Ji-Yeon;Ahn, Hye-Jin;Ryu, Kyung-Ju;Nam, Ho-W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209-216
    • /
    • 2008
  •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Toxoplasma gondii of Tg556 clone (Tg556) blotted a 29 kDa protein, which was localized in the dense granules of tachyzoites and secreted into the parasitophorous vacuolar membrane (PVM) after infection to host cells. A cDNA fragment encoding the protein was obtained by screening a T. gondii cDNA expression library with Tg556, and the full-length was completed by 5'-RACE of 2,086 bp containing an open reading frame (ORF) of 669 bp. The ORF encoded a polypeptide of 222 amino acids homologous to the revised GRA3 but not to the first reported one. The polypeptide has 3 hydrophobic moieties of an N-terminal stop transfer sequence and 2 transmembrane domains (TMD) in posterior half of the sequence, a cytoplasmic localization motif after the second TMD and an endoplasmic reticulum (ER) retrival motif in the C-terminal end, which suggests GRA3 as a type III transmembrane protein. With the ORF of GRA3, yeast two-hybrid assay was performed in HeLa cDNA expression library, which resulted in the interaction of GRA3 with calcium modulating ligand (CAMLG), a type II transmembrane protein of ER. The specific binding of GRA3 and CAMLG was confirmed by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pull-down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s. The localities of fluorescence transfectionally expressed from GRA3 and CAMLG plasmids were overlapped completely in HeLa cell cytoplasm. In immunofluorescence assay, GRA3 and CAMLG were shown to be co-localized in the PVM of host cells. Structural binding of PVM-inserted GRA3 to CAMLG of ER suggested the receptor-ligand of ER recruitment to PVM during the parasitism of T. gondii.

시설가지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 발생과 Neochrysocharis formosa (Hymenoptera: Eulophidae)를 이용한 아메리카잎굴파리 밀도억제 효과 (Occurrence of Liriomyza trifolii and its Biological Control using Neochrysocharis formosa in Eggplant Greenhouse)

  • 문형철;임주락;류정;신용규;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25-430
    • /
    • 2007
  • 가지 시설재배 포장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 발생양상과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천적인 Neochrysocharis formosa (신칭: 굴파리푸른좀벌) 방사에 의한 밀도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아메리카잎굴파리 성충은 4월 하순부터 포획되기 시작하여 6월 상순부터 포획량이 증가하고 7월 상순까지 높은 밀도를 유지하다가 감소하였다. 봄 작형(5-7월)에서 N. formosa를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밀도가 엽당 0.2마리일 때부터 주당 2마리씩 3회 방사한 결과 조사 종료기인 7월 28일의 기생률은 90.1% 이었다. 가을 작형(8-10월)에서 유충밀도가 엽당 0.3마리일 때부터 주당 2마리씩 4회 방사한 결과 조사 종료기의 밀도 억제 효과는 무처리 대비 81.3% 이었으나 4차 방사이후 기생률은 $64.4{\sim}69.9%$로 약간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