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xosaminidas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3초

호염구세포주와 복강 비만세포에서 유색미 겨 추출물의 알레르기 염증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Pigmented Rice Bran Extract to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Basophilic Cell Line and Peritoneal Mast Cells)

  • 최선필;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15-321
    • /
    • 2005
  • 유색미 겨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호중구 세포주 및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매개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및 염증 cytokine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호중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와 rat에서 분리 추출한 복강 비만세포(RPMC, peritoneal mast cell)를 이용하여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일반미 겨 추출물은 RBL-2H3 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들의 분비량을 증가시킨 반면, 유색미 겨 추출물은 이들의 분비를 억제하였다(histamine 10.19% 억제, ${\beta}-hexosaminidase$ 110.03% 억제). RPMC에서는 유색미가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를 일반미보다 각각 8배와 3배나 높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관련 cytokine으로서 $IL-1{\beta},\;TNF-{\alpha}$ 및 IL-6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유색미가 일반미 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실험에서도 유색미가 일반미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유색미가 염증반응의 원인 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에 대한 억제효과 뿐 아니라, 염증 cytokine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도 일반미보다 우수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및 각질형성세포 분화에 대한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 on Inhibition of β-hexosaminidase and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 홍인기;김은지;석지현;김보현;장진동;조기정;최신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1-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두충 추출물이 RBL-2H3 세포의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억제와 HaCaT keratinocytes 피부장벽의 회복과 관련한 filaggrin, transglutaminase-1 (TGase-1), cornified cell envelope(C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beta}$-hexosaminidase 방출 억제 능은 13% 효능을 확인하였고, 피부장벽기능의 회복과 관련된 인자들은 발현과 활성의 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판단할 수 있는 CE 측정에서는 두충추출물이 양성대조군보다 더 좋은 효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두충 추출물은 ${\beta}$-hexosaminidase 분비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손상된 피부장벽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gE로 감작된 RBL-2H3 세포에서 버섯자원의 항알레르기 활성 탐색 (Study on the anti-allergy activity of mushrooms in IgE-sensitized RBL-2H3 cells)

  • 이승은;노형준;최재훈;김금숙;이대영;김승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4-3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버섯추출물 (42개)의 in vitro 항알레르기 효능탐색을 위해 랫드비만세포 (RBL-2H3 cell)에서 면역글로불린 (IgE)가 매개한 탈과립에 대한 저해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anti-DNP IgE 및 DNP-HSA에 의해 알레르기반응이 유발된 랫드비만세포에서 버섯 추출물의 IL-4과 ${\beta}$-hexosaminidase 분비량에 대한 저해활성과 세포생존에 대한 영향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IL-4 분비에 대해서는 팽이버섯 물추출물 등 5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해서는 영지버섯의 물추출물 등 8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비교적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증식에 대해서는 잎새버섯의 물추출물등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이 우수한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팽이버섯의 물추출물과 상황버섯의 물추출물은 ${\beta}$-hexosaminidase 및 IL-4 분비에 대해 모두 비교적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추가로 2, 10, 50 ug/ml에서 실험된 영지버섯, 편각영지버섯, 눈꽃동충하초, 상황버섯 그리고 느타리버섯의 물추출물들은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량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때, 이들 in vitro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 버섯 추출물들은 추가실험을 통해 항알레르기 소재로의 활용성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감초 추출물이 RBL-2H3 비만세포에서 $\beta$-hexosaminidase 분비 및 Th2 cytokine mRNA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ter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beta$-Hexosaminidase Release and Expression of the Cytokines of RBL-2H3 Mast Cells)

  • 김정미;김대중;김태혁;백종미;김현숙;최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1-237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allergic reaction with Glycyrrhiza uralensis. We examined cell viability, $\beta$-hexosaminidase release, IL-4 and IL-13 mRNA expression from RBL-2H3 cell after pre-treatment with 0, 100, 250, 500, 1000${\mu}g/m{\ell}$ of Glycyrrhiza uralensis water extracts.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on the degranula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4 and IL-13) expression were evaluated with $\beta$-hexosaminidase assay, and RT-PCR analysis. We observed that Glycyrrhiza uralensis concentrations from 100${\mu}g/m{\ell}$ to 1000${\mu}g/m{\ell}$ had no effect on cell survival.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ll concentrations of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s. The expression of the IL-4 and IL-13 mRNA were decreased by Glycyrrhiza uralensis in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that Glycyrrhiza uralensis has an anti-histamin effects and controls IL-4, IL-13 secretion on allergic reaction.

Calcium수송기전에 미치는 Carbachol의 영향 (Calcium Movement in Carbachol-stimulated Cell-line)

  • 이종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55-363
    • /
    • 1995
  • Calcium수송에 대한 기전을 추구하기위하여, carbachol을 사용하여 ml muscarinic receptor-transfected RBL-2H3 cell-line에서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한다. 1) Carbachol의 투여로 이들 cell-line에서 $Ca^{2+}$ influx가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hexosaminidase 분비양도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2) Atropine 투여로 Carbachol의 상승작용이 의의있게 억제되었다. 3) 수종의 금속양이온을 투여하여 carbachol의 $Ca^{2+}$수송에 대한 영향을 관찰한 바, 이들 금속이온들은 $Ca^{2+}$의 influx를 의의있게 억제하였다. 4) PMA(20 nM) 투여로 carbachol의 hexosaminidase의 분비는 억제되지 못했지만 $Ca^{2+}$ influx는 억제되었다. 5) PTx $(0.2\;{\mu}g/ml)$ 투여로 carbachol의 hexosaminidase 분비가 의의있게 억제되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이 세포의 muscarinic receptor가 calcium channel을 통한 calcium수송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나타내는데, 이들 calcium ion channel은 적어도 두 종류가 존재하며, 하나는G-protein-dependent calcium channel에 의하며, 다른 하나는 G-protein-independent calcium channel에 대한 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calcium channel들은 2가 또는 3가의 다른 금속 ion들에 의하여 calcium수송이 억제된다.

  • PDF

감초약침(藥鍼)이 PCA반응과 비만세포의 ${\beta}$-Hexosaminidase 및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yrrhizae Radix Pharmacopuncture on PCA and Secretion of ${\beta}$-Hexosaminidase and Cytokines in RBL-2H3 Cells)

  • 이항도;송춘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3호
    • /
    • pp.73-83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ti-allergic effects of Glycyrrhizae Radix(GR) pharmacopuncture and GR extract. Methods : In vivo, animals were gotten GR pharmacopunctures at both sides of ST36s three times for 5 days. Then, we investigated anti-DNP IgE-induc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of Sprague Dawley rats. In vitro, we measured cell viability, ${\beta}$-hexosaminidase release, and the secretion of interleukin-4(IL-4)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in RBL-2H3 cells after treatmen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GR extract. Results : In vivo, we observed inhibition of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after GR pharmacopuncture treatments at both sides of ST36s and optional points. In vitro, GR extract treatments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but inhibited ${\beta}$-hexosaminidase release and the secretion of IL-4 and TNF-${\alpha}$.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 pharmacopuncture and GR extract should be beneficial in the inhibition of allergic inflammatory response.

머위(Petasites japonicum)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ic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m)

  • 최옥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2-38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민간에서 옻나무에 의 한 알레르기반응 및 기관지천식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머위(Petasites japonicum)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RBL-2H3 세포로부터 hexosaminidase의 방풀 억제 정도를 측정하는 enzyme assay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실험결과에 대한 오차범위가 낮은 추추출 300 $\mu\textrm{g}$/mL 농도의 수준에서 methanol 추출물은 83.33%, ethylacetate 추출물은 69.75%, 열수 추출물은 50.62%의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quercetin은 같은 농도에서 85.80%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정제된 quercetin의 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 활성을 비교해 볼 때 머위 추출물이 조추출물 상태인 점을 고려한다면 상당한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새로운 항알레르기성 신기능 물질로의 이용방안을 탐색하는 기초자료가 되리라 사교된다.

Suppressive Effects of Korean Indigenous Acanthopanax divaritacus on the Allergic Inflammation

  • Park, Seul-Ki;Kim, Jum-Ji;Jeon, Yu-Mi;Lee, Mi-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55-159
    • /
    • 2007
  • The water extracts of root, stem, and leaf from Korean indigenous Acanthopanax divaritacus were examined for their suppressive effects against allergic inflammations such as lipoxygenase activity, ${\beta}-hexosaminidase$ release,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serum IgE level. The root extract inhibi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a degranulation marker,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cells (RBL-2H3) much more potently than the stem and leaf extracts. The root extract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TNF-{\alpha}\;and\;IL-1{\beta}$ in the RBL-2H3 cells challenged with antigen.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fall in the serum IgE level by the treatment of the root extract. Taken together, the root extract could be the most potent inhibitor of allergic inflammation, suppressing ${\beta}-hexosaminidase$ release and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as well as reducing the rise of serum IgE level.

고장초의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Zizania latifolia Turcz Extracts)

  • 이은정;황은영;황기;이인선;양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7-721
    • /
    • 2009
  • 고장초 메탄올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비만세포주인 RBL-2H3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고장초 추출물을 처리한 후 IgE-항체, A23187 및 PMA를 이용하여 세포를 활성화시켜 분비되는 $\beta$-hexosaminidase, TNF-$\alpha$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장초 추출물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beta$-hexosaminidase, TNF-$\alpha$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만세포에 탈과립이 발생할 경우 나타나는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시료의 영향을 검색하기 위해 고장초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 compound 48/80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고장초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탈과립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고장초 추출물은 다양한 자극으로 인한 비만세포의 탈과립 저해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결과는 고장초의 항알레르기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RBL-2H3세포에서 생지황약침액의 FcεRI 신호전달을 통한 β-hexosaminidase분비와 Cytokine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Rehmannia Glutinosa Pharmacopuncture Solution on β-hexosaminidase Release and Cytokine Production via FcεRI signaling in RBL-2H3 Cells)

  • Kang, Kyung-Hwa;Kim, Cheol-Ho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24
    • /
    • 2011
  • Background: Type I allergy is involved in allergic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which are accompanied by an acute and chronic allergic inflammatory responses. Rehmannia glutinosa is a traditional medicine in the East Asian reg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Rehmannia Glutinosa pharmacopuncture solution (RGPS) had anti-allergic or anti-inflammatory effects in antigen-stimulated-RBL-2H3 cells. Methods: We determined the effect of RGPS on cell viability using the 3-[4,5-dimethylthiazol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RGPS on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and the secretion of IL-4 and TNF-${\alpha}$ using ELISA.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effect of RGPS on the mRNA expression of various cytokines; IL-2, IL-3, IL-4, IL-5, IL-13 and TNF-${\alpha}$ using RT-PCR. Furthermore, we assessed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 (NF)-${\kappa}$B using Western blotting after RGPS treatment. Results: We found that RGPS ($10^{-4}$ to $10^{-1}$ dilution) did not cause any cytotoxicity. We observed significant inhibition of ${\beta}$-hexosaminidase release and suppression of the protein secretion of IL-4 and TNF-${\alpha}$ and mRNA expression of multiple cytokines in antigen-stimulated-RBL-2H3 cells after RGPS treatment. Additionally, RGPS suppressed not only the phosphorylation of MAPKs, but also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NF-${\kappa}$B in antigen-stimulated-RBL-2H3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GPS inhibits degranulation and expression of cytokines including IL-4 and TNF-${\alpha}$ via down-regulation of MAPKs and NF-${\kappa}$B activation in antigen-stimulated-RBL-2H3 cells. In conclusion, RGPS may have beneficial effects in the exerting anti-allergic or anti-inflammatory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