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흰불나방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미국흰불나방(Hyphanria cunea)에 대한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against Fall Webworm, Hyphanria cunea (Lepidoptera: Arctiidae))

  • 박형순;김형환;정헌관;조윤진;전흥용;장한익;김동수;추호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93-200
    • /
    • 2004
  •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을 이용하여 미국흰불나방 (Hyphanria cunea)의 환경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와 포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의 병원성은 미국흰불나방의 령기에 따라 병원성의 차이가 있어 2령충과 $3\~4$령 혼재 처리에서는 미국흰불나방 유충 당 20마리 이상 선충 처리에서는 $100\%$치사하였으나, 5령충에서는 80마리 선충 접종 시에도 처리 3일 후 $34\%$의 치사율을 보였다.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의 접종농도가 높을수록 미국흰불나방의 치사율은 증가하였다. Pot 실험에서 수종 (뽕나무와 버즘나무)간이나 선충 농도간에 미국횐불나방 유충에 대한 치사율은 차이가 없어 $70\%$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흰불나방의 교미습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ting behavior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15-20
    • /
    • 1969
  • 흰불나방을 재료로 곤충의 교미습성중 우화시간, 교미시간, 1회교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나방의 우화후일령이 교미율에 미치는 영향등을 밝히기 위하여 실내시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흰불나방은 오후 3시부터 우화가 시작되어 오후 12시경에 끝나며 우화최성시각은 오후 7-8시 사이었다. 이때 암컷은 $42.1\%$ 숫컷은 $41.5\%$ 우화하였다. 2) 흰불나방은 오전 5-6시 사이에 교미하여 그 외 다른 시간에는 교미하지 않는다. 1회 교미시간은 최단이 7시간, 최장이 17시간이며 그 평균은 12시간이었다. 3) 흰불나방은 2회까지 교미할 수 있으며 1회 교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실내시험결과 암컷은 1회 교미가$66.0\%$, 2회 교미가 $4.1\%$, 미교미가 $29.9\$, 이었으며 숫컷은 1회 교미가 $66.0\%$, 2회 교미가 $5.4\%$, 미교미가 $28.6\%$이었다. 야외에서 채집된 암컷의 교미는 1회가 $6.1\%$, 2회가 $15.1\%$, 미교미가$22.4\%$로서 야외의 것이 실내의 것에 비하여 2회교미하는 율이 높았다. 4) 흰불나방은 우화후 4일까지 교미한다. 우화된지 6-15시간후부터 교미하는데 이때에 $72\%$의 높은 교미율을 보이지만 4일에는 $9.1\%$의 낮은 교미율을 보인다. 5일 이후 교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자웅보다 동일 일령인 것 끼리 교미하며 일령이 다른 것과는 거의 교미하지 않는다.

  • PDF

미국흰불나방과 이화명나방에 관한 곤충 발육 저해제의 독성연구 I. 령기별 살충력 효과 비교 (Studies on the Toxicity of Insect Growth Regulators against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and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 comparisons of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Instar Stages)

  • 이인환;이형래;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87
    • /
    • 1994
  • 본 실험은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Drury)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에 대한 chlorflyazuron, diflubenzuron, pyiproxyfen 과 tebufenozide 와 같은 IGRs의 독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국흰불나방에서, 1령충의 {{{{ { LC}_{50 } }}}}치 (ppm)기준 2령충~5령충의 내성비 범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 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1.07~3.58, 1.13~6.06, 1.02~3.23, 1.05~6.64이었다. 이화명나방에서, 1령충에 대한 3령충의{{{{ { LC}_{50 } }}}}치 (p pm)의 내성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2.86, 2.60, 19.80, 15.30이었다.

  • PDF

미국 흰불나방의 피해(被害)와 분포조사(分布調査)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and Damage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urury)

  • 고제호;이상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39
    • /
    • 1968
  • 1. 흰불나방의 전국적(全國的)인 분포(分布)는 1967년(年) 현재(現在) 강릉(江陵, 영주(榮州), 대구(大邱) 이리(裡里) 및 광주지방(光州地方)에 까지 만연(蔓延) 발생(發生)되었다. 2. 흰불나방의 피해(被害)가 심(甚)한 수종(樹種)은 푸라다나스, 벗나무, 네군도단풍 포푸라 및 느릅나무 등(等)이였다. 3. 피해수(被害樹) 1본당(本當) 충소수(虫巢數) 정원수(庭園樹)가 7.0개(個), 가로수(街路樹)가 4.3개(個)로 정원수(庭園樹)의 피해(被害)가 심(甚)하였다. 4. 수고(樹高)가 6m~10m되는 수목(樹木)들이 피해본수(被害本數)도 많았고 본당(本當) 충소수(虫巢數)도 심(甚)한 피해(被害)를 나타내었다. 5. 흰불나방 충소(虫巢)는 수관(樹冠)의 상위부분(上位部分)보다는 중위(中位)와 하위부분(下位部分)에 많이 분포(分布)되었다. 6. 2화기(化期)의 피해율(被害率)은 1화기(化期)의 피해(被害)보다 55%가 증가(增加)되었으며 3화기피해(化期被害)는 1화기(化期)보다 18%가 감소(減少)되었다.

  • PDF

국내 미국흰불나방의 최근 발생 및 피해 보고 (A Report on the Occurrence of and Crop Damage Caused by Hyphantria cunea (Drury) with in Korea)

  • 김동언;길지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85-293
    • /
    • 2012
  • 미국흰불나방은 2011년 국내 35개 시군에서 발생과 피해가 확인되었고, 국내에서는 검은색 머리(black-headed form)를 가진 유충의 출현만 확인되었다. 미국흰불나방이 출현하는 곳의 서식지 분포비율은 가로수 66.7%, 조경수 19.4%, 산림 13.9%로 나타났다. 즉 가로수, 조경수가 86.1%로 인위적인 환경에서 피해가 심각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기주식물은 총 44과 102종으로 조사되었고,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29종이 추가되었다. 국내에서 최초 발견된 후 약 50년이 지난 현재 선행연구를 포함한 기주식물은 총 62과 219종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식량작물 5종(2.3%), 채소류 6종(2.7%), 약용작물 4종(1.8%), 특용작물 1종(0.5%), 과수 13종(5.9%), 기타수원지 6종(2.7%), 기타작물 5종(2.3%)이 포함되어 있다. 기주식물의 원산지는 미국흰불나방의 원산지와 같은 북미 원산 식물 7종(18.4%), 중국 원산 식물 11종(29.0%), 일본 원산 식물 4종(10.5%), 유럽 원산 식물 4종(10.5%), 인도 원산 식물 4종(10.5%) 등으로 조사되었다. 유충에 의해 집중적으로 피해를 입은 수종은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등 총 17종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