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부 CT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29초

흉부식도암의 근치적절제후 국소 재발에서의 유리공장 이식술 -1례- (Surgical Treatment in Local Recurrence of Esophageal Cancer with Free Jejunal Graft -A Case Report)

  • 이종목;임수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49-452
    • /
    • 1997
  • 저자들은 흉부식도암의 근치적 절제후 국소재발을 보인 1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식도아절제술후 후종격동 경로를 통한 경부식도-위 문합술을 시행받았었다. 수술 20개월후 환자는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컴퓨터 단층촬영과 경피적 세침흡인 조직검사등을 통해 국소재발을 확인하였다. 환자는 경부식도절제, 위 분문부의 부분절제 및 후두절제를 시행하고 유리공장 이식 편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 PDF

농흉에서 전산화 단층촬영의 의의 (The Role of Chest CT Scans in the Management of Empyema)

  • 허정숙;권오영;손정호;최원일;황재석;한승범;전영준;김정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4호
    • /
    • pp.397-404
    • /
    • 1994
  • 연구목적: 농흉은 강력한 새로운 항생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아직 사망율과 이환율이 높은 질환이며 농흉의 치료에는 항생제 선택을 위해 흉강천자가 필요하며 치료적 배농술을 요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소방형성이 있는 경우는 흉강천자 및 흉강삽관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1980년 Light 등이 늑막액의 생화학적 성상에 따른 배농의 적응증을 제시한 이래 이 기준이 통용되고 있으나 이 기준에 대해서 논란도 있으며, 최근 농흉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 있는 흉부 CT를 이용하여 늑막소견과 소방형성, 늑막비후 등의 합병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방법: 1988년에서 1993년 동안 본원에 농흉으로 입원한 환자 147명중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실시한 30명을 대상으로 늑막액 생화학적 검사 및 흉부 사진및 균동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1) 원인균으로서는 그람음성균과 혐기성 세균이 9예(30%)에서 배양되었으며, 19예(63%)에서는 균이 동정되지 않았다. 2) 전산화단층을 촬영한 이유는 종양에 의한 2차적 농흉 및 종양과 감별을 위해서가 14예(46.7%), 항생제에 반응이 좋지 않아서 12예(40%)였으며, 그외 흉강천자가 잘되지 않아서가 3예(10%), 흉강삽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가 1예(3.3%)였으며, CT소견상 늑막강내 공기음영이 보이거나 늑막비후가 관찰된 환자가 24예(48%)였으며 소방형성을 보이는 경우는 21예(42%)였다. 3) 늑막액 생화학적 소견과 소방형성 유무와의 상관관계상 늑막액 pH만 소방형성과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p<0.05). 4) 입원기간과 늑막액 생화학적 소견(Light's criteria), 소방형성유무, 늑막비후 삼출액 양과는 관계가 없었다(p>0.05). 5)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환자 30명중 소방형성군 9예(43%), 비소방형성으로 3예(33%)에서 전산화단층촬영소견에 따라 치료방법을 전환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농흉에서 소방형성은 늑막액 pH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배액이 힘든 환자에서 전산화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소방형성유무 및 소방의 정확한 위치, 늑막 비후를 관찰하여 흉강 천자 및 삽관과 늑막 박피술을 결정하므로써 이환률과 재원일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기종에 대한 저선량 CT의 유용성 평가: 고해상도 CT와 비교 (Usefulness Evaluation of Low-dose CT for Emphysema : Compared with High-resolution CT)

  • 이원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29-3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폐기종에 대해 고해상도 CT와 비교한 저선량 CT 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노출조건에서 선량과 영상 잡음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비슷한 노출조건에서 획득한 146명의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영상에 대해 2명의 흉부영상의학과전문의 합의 판독결과에서 폐기종 소견 만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SPSS ver. 19.0 프로그램 사용하여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간에 폐기종에 대한 진단 차이는 McNemar's tests, 일치도는 unweighted kappa tests, 선량과 잡음 차이는 Mann-Whitney U-test 로 분석하였다. 선량은 고해상도 CT가 저선량 CT 보다 높았지만(1.95 mGy vs. 0.35 mGy, p=0.008), 잡음은 낮았다(40.1 HU vs. 99.6 HU, p=0.021). 폐기종 진단에 대해서는 두 영상 간에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k-value=0.88). 폐기종 점수는 두 영상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599, p < 0.001). 선량과 잡음을 고려했을 때, 저선량 CT는 폐기종 진단에 표준 진단 방법 인 고해상도 CT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산화단층촬영 소아 흉부검사에서 관전압의 변화에 따른 화질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ube Voltage in Computed Tomography Pediatric Chest Examination)

  • 김구;김경립;성순기;곽종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03-508
    • /
    • 2019
  • 흉부 CT 검사의 스캔 기법의 하나인 VOLUME AXIAL MODE를 이용하여 관전압의 변화에 따라 진단적으로 가치가 높은 영상을 얻기 위하여 화질을 평가하고 적절한 관전압을 제시하고자 한다. CT 장비는 GE사의 Revolution(GE Healthcare, Wisconsin USA)모델을 이용하였으며, Phantom은 Pediatric Whole Body Phantom PBU-70을 사용하였다. Heart의 SNR 평균차이분석에서는 70 kvp에서 $-4.53{\pm}0.26$ 이었고 80 kvp는 $-3.34{\pm}0.18$ 이었으며 100 kvp는 $-1.87{\pm}0.15$이었고 70 kvp가 100kvp 보다 약 -2.66정도 SNR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Lung의 SNR 평균차이분석에서는 70 kvp에서 $-78.20{\pm}4.16$이었고 80 kvp는 $-79.10{\pm}4.39$이었으며 100 kvp는 $-77.43{\pm}4.72$이었고 70 kvp가 100 kvp 보다 약 -0.77정도 SNR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Lung의 CNR 평균차이분석에서는 70 kvp에서 $73.67{\pm}3.95$이었고 80 kvp는 $75.76{\pm}4.25$이었으며 100 kvp는 $75.57{\pm}4.62$이었고 80 kvp가 70 kvp 보다 약 20.9정도 CNR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관전압 100 kvp에서는 70 kvp와 80k vp를 비교 했을 때 심장 영상의 질을 유지하면서 SNR이 1에 가까웠다. 하지만 70 kvp와 80kvp에서는 SNR 차이가 없어 70 kvp 로 소아 흉부 CT 검사를 하여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CNR은 70 kvp에서 가장 1에 근사치를 나타냈었으며 80kvp와 100kvp에서는 차이가 없어 80 kvp로 소아 흉부 CT 검사를 하여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Volume Axial mode 검사 시 0.3초의 짧은 scan time으로 검사 할 수 있어서 움직이거나 진정이 필요한 소아환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혈흉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hemothorax by computed tomography)

  • 강청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28-232
    • /
    • 1995
  • Computed tomography[CT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the thorax following blunt trauma. To evaluate multiply injured 3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emothorax in emergency room, computed tomography of thorax was done. The thickness of slice was one centimeter and the entire pleural cavity from the apex to the costophrenic angle was included in the evaluation. Integration and addition of the hemothorax area for each CT slice was made and amount of blood in the pleural cavity was estimated. The slice which showed largest area of hemothorax was selected and the height and width of the hemothorax area were measured. The number of slices which showed radiographic evidence of hemothorax was counted.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and measured amount of hemothorax, the height and width of the hemothorax area for each slice and number of slices were put as variables. And following equation was derived. V=108.3A-0.8B-7.4C+84.7 [R2=0.74 [ V: amount of hemothorax, A: height, B: width, C: number of slices Total amount of blood from thoracic drainage was compared to the measured amount by computed tomography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lu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In conclusion, quantitative estimation of size of hemothorax was possible by the above equation and the process was very helpful for determination policy of treatment of individual patient.

  • PDF

흉부 MDCT 영상을 이용한 신체 장기의 단계별 분할 (Phased Segmentation of Human Organs On the MDCT Scans)

  • 신민준;김도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383-1391
    • /
    • 2011
  • 향상된 기능을 가진 최신 의료장비들의 등장으로 하드웨어 성능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영상처리 및 분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2차원 의료 영상처리 및 3차원 영상 재구성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흉부 CT 영상을 사용하여 신체 장기를 단계별로 분할 하였으며, 분할된 결과 영상을 3차원으로 재구성 하였다. 다양한 영상분할 방법중 영역 확장법 및 효과적인 분할을 위해 선명화와 감마 조절등과 같은 영상 향상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기관지를 포함한 폐, 기관지, 폐 등의 순서로 영상을 분할하였다. 분할된 신체 장기 영상을 VTK를 사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 하였으며, 병변 진단을 위한 2차원 및 3차원 의료 영상 처리와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흉막에 발생한 국소성 섬유성 종양 1예 (A Case of Localized Fibrous Tumor of the Pleura)

  • 김용환;나석주;곽문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88-393
    • /
    • 2000
  • 저자들은 우측 흉통과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57세 남자환자에서 우측 폐하부에 $12{\times}8cm$ 가량의 종괴를 단순 흉부 X-선 촬영과 흉부 CT 촬영등으로 진단후 좌측 개흉술로 치료한 국소성 섬유성 종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T 유도하 경피적 흉부 세침생검 후 발생한 뇌 공기 색전증 1례 (A Case of Cerebral Air Embolism that Occurred after CT-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 양두경;이수걸;서성환;손유정;김경태;유정남;김종국;노미숙;최필조;김기남;이기남;손춘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80-483
    • /
    • 2004
  • 경피적 세침생검은 폐 및 종격동 질환이 있을 때 조직을 얻기 위하여 널리 시행되며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다. 하지만 때로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는데 저자들이 보고한 뇌공기 색전증도 그 중의 하나이다. 뇌 공기 색전증은 여러 가지 진단적 혹은 치료적 시술과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경피적 흉부 세침생검 시에도 발생할 수 있어, 시술 도중이나 후 갑작스런 신경학적 혹은 심혈관 이상 증상이 나타날 때는 공기 색전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며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고압 산소 요법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경피적 흉부 세침생검 후에 발생한 뇌 공기 색전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결절 환자에서의 새로운 방침 (New Paradigm for Patients with Pulmonary Nodule Expecting Thoracoscopic Resection)

  • 조민섭;심성보;왕영필;조건현;서종희;곽문섭;이선희;김학희;문석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48-753
    • /
    • 2003
  • 배경: 폐결절은 경우에 따른 특히 경피침생검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검사 후 병리세포검사로 확진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부분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요한다. 그러나 결절의 크기나 작거나 폐실질 깊숙이 위치한 경우에는 술 전 또는 술 중에 결절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등이 이용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결절을 경피침생검 시 방사선 비투과성 백금조각(이하 결절표시기)을 생검 전 또는 생검 후에 결절 내 또는 결절주위에 위치하여 병리조직검사에서 확진이 어려운 경우에 흉강경수술 시 재차 술 전 폐결절표시 과정을 피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부 CT검사하여 경피침생검과정에 생검침을 결절내부 또는 결절인접부위에 위치한 경우에 결절 표시기를 생검침내부에 위치한 후 스타일렛을 이용하여 결절표시를 서서히 밀어 넣어 결절 내 혹은 인접부위에 위치한 것을 CT검사에서 확인한 다음 결절의 생검검사를 한다. 결과: 1999년 5월부터 2000년 5월 사이에 26명의 환자에서 28 결절을 대상으로 1예를 제외하고 모두에서 결절표시기를 결절 내 혹은 주위에 위치하였다. 이중 7건은 생검을 하지 않고 흉강경수술을 위하여 결절표시기를 위치하였고, 21건의 흉강경수술 중 18예(85%)에서 결절의 위치파악을 파악하거나 결절절제시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술 중 이동용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하였다. 결론: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결절에 대한 저자들의 방침이 흉부 CT검사하 폐결절 위치 표시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의료비,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