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휴면성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1초

자생식물 종자의 외생휴면 분류 (Classification of Seed Exogenous Dormancy in Korean Native Plants)

  • 조주성;박경태;이상엽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0
    • /
    • 2020
  • 전 지구적으로 생물다양성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따른 생물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식물 유전자원의 종 다양성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2017년에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에 대한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식물유래 BT산업 소재의 국내 자급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며, 더불어 국토의 생태복원에 적합한 식물 소재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생식물의 종자 수급기반 대책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높은 식물 종 다양성을 보이며, 이는 종자의 휴면유형 또한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물유전자원으로써의 보존 및 국가 경제적 이익을 위한 종자 활용, 산업화를 위해서는 종자의 생리적 특성에 기반 한 데이터베이스의 축적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적정 휴면타파 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식물종에서 종자 휴면의 하위 카테고리가 계속적으로 세부 분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세부 휴면유형에 의해 많은 유용 식물자원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종자의 휴면유형은 크게 외생휴면(Exogenous dormancy)과 내생휴면(Endogenous dormancy)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는 내생휴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외생휴면은 물리적 휴면(Physical dormancy), 기계적 휴면(Mechanical dormancy) 및 화학적 휴면(Chemical dormancy)으로 세부 분류되며, 기계적 휴면과 화학적 휴면은 내생휴면인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물리적 휴면 종자에서는 water-gap 복합체의 존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발아억제 호르몬에 기인하는 화학적 휴면 및 종(과)피 또는 배유에 의한 기계적 휴면은 배의 성장잠재력과 발달에 의해 타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 많은 식물 종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외생휴면 유형에 대해 내생휴면과는 명확히 다른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하므로, 다년간의 체계적 연구를 통해 미흡한 종자생리 연구 분야를 보완하고 자생식물의 종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벼 저장조건에 따른 종실의 휴면성 변화 (Change of Seed Dormancy at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in Rice)

  • 서기호;김용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0-277
    • /
    • 1994
  • 본 연구는 소백벼, 중원벼 등 국내 재배품종과 교배모본으로 이용되는 재래 및 도입품종을 공시하여 저장조건에 따른 종실의 휴면성의 변화를 알고자 수행 되었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수후 40일 된 종실의 수확직후 및 저장기간에 따른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자포니카인 화성벼와 상풍벼, 샤레형 재래종인 자광도와 몽근샤레, 그리고 통일형 품종인 삼강벼는 성숙종자에 휴면성이 거의 없었고, 자포니카형 조생종인 소백벼와 오대벼는 약한 휴면성을, 그리고 통일형인 중원벼와 인디카형 품종인 IR-20과 IR-42는 강한 휴면성을 가지고 있었다. 2. 출수후 40일에 수확한 종실은 2$0^{\circ}C$ 항온 또는 서야 25/15$^{\circ}C$ 변온조건에 30일동안만 저장하여도 휴면성이 강한 품종을 포함한 모든 공시품종이 90%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4$^{\circ}C$, 상대습도 40%조건에서 30일에서 180일까지 저장했을 때는 품종간 발아율 차이가 인정되었고, 휴면성이 강한 인디카형 품종인 IR-20은 180일간 저장후에도 발아율이 60%에 미치지 못하였다. 3. 성숙한 종실을 2$0^{\circ}C$ 또는 서야 20/15$^{\circ}C$ 조건에 30일 이상 180일까지 저장하면 모든 품종이 수확직후의 종실보다 발아기까지의 일수가 짧아졌으며, 4$^{\circ}C$에 저장했을때도 고온조건에서보다는 그 정도가 낮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아지고 발아일수도 빨라졌다.

  • PDF

Fine Structure of Median Neurosecretory Cell in Diapause and Non-Diapause Brain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Park, Kwang E.;Seong, Su-Il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7
    • /
    • 1974
  • 가잠의 휴면성 및 비휴면성 뇌의 뇌간부 신경분필세포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가잠 환충의 뇌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하면 뇌간부의 최대신경분필세포는 휴면난성에서 지방성 과립을 생성하고 비휴면난성에서는 반투명체의 전자소포를 생성하고 있었다. 휴면난성에서 처음 리보좀으로 보이는 입자들은 서서히 전자밀도가 높은 입자들로 발전하면서 골면 소포체에 연하여 배열되고 마침내 이 입자들은 지방성과립으로 된다.

  • PDF

가잠난각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Egg Shell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마영일;박광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5-72
    • /
    • 1983
  • 가잠의 휴면성을 난각의 조직학적 특성을 보고자 난각층에 대한 전자현미경상을 관찰하였고 또한 난각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수분투과성, 염산투과성, 염색성 및 난각 구조단백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각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뚜렷이 4층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구조적인 차이가 보인다. 즉 외층 밖에 또 다른 전자밀도가 낮은 얇은 층이 휴면난에는 존재하고 있으나 비휴면 및 즉침난에는 이 층을 볼 수 없다. 2. 산난후 20∼24시간째의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난각염산투과성의 차이를 보면 휴면난에 비해 즉침난 및 비휴면난이 모두 투과성이 높았고 또한 난령이 지남에 따라 휴면난은 투과성이 떨어지는데 반하여 즉침난 및 비휴면난은 투과성이 높아졌다. 3. 휴면난의 ether 처리난은 무처리난에 비해 난각의 투과성이 변하는 것으로 보아 난각물질 중 ether 용출물이 존재한다. 4. 난각의 수분투과성도 염산투과성에 있어서와 같이 휴면난이 즉침난 및 비휴면난에 비해 수분투과성이 낮았다. 5. 가잠난각의 조직화학적 특성은 단백질과 당에 대한 염색성이 높아 난각에는 단백질과 당이 풍부하며 특히 지질에 대한 염색성은 거의 음성이나 내층으로 갈수록 진하게 염색되었다. 6. 누에의 난각점착물은 PAS-alcian 반응으로 보아 mucopolysaccharides이다. 7. 난각 구조단백질 중 SH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상에 있어서 휴면난과 비휴면난 모두 2개의 band가 인정되나 비휴면난의 경우 이동거리가 빠른 band는 매우 흔적적이며 또한 영동거리도 원점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두 처리간에 minor component에 차이가 보였다. 8. SH단백질에 대한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휴면난 및 비휴면난 사이에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고 난각단백질중 SH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에는 glycine이 가장 많고 cystine함량은 적었다. SI K-2 는 Penicillin, Ampicillin과 Cephalothin에 저항성을 나타냈고 ts-U171, A-N92와 A-N115는 이 세항생제에 민감성을 나타냈다. Temperature - sensitive돌연변이균주를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후에 28$^{\circ}C$로 옮기어 배양한 결과 ts-U601, -U603, -U604와 -U171은 성장을 더 이상하지 않았다.ta-exotoxin을 생산했는데, 48시간 배양 배지 $m\ell$당 70$\mu\textrm{g}$을 분비한 균주는 BTK-1이고, BTK-37 균주는 $m\ell$당 88$\mu\textrm{g}$(6.1$\times$$10^{8}$ Cells/$m\ell$) BTK-35 균주는 $m\ell$당 81$\mu\textrm{g}$(5.2$\times$$10^{8}$ Cells/$m\ell$)을 생산했고. 그외는 모두 70$\mu\textrm{g}$미만이었다. 3. Beta-exotoxin과 B. thuringiensis 균체을 동시에 per os, interaperitoneal injection, subcuntaneous injection, nasal cavity inoculation, intracerebral injection을 120시간 처리했어도 치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삼각호마법 and Japan#s 병음한자변환방식 have prospect to be preval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rom these results, 1) All the

  • PDF

가잠란의 휴면기구

  • 박광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1-66
    • /
    • 1973
  • 곤충의 휴면성에 관한 연구업적은 수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보고되었지만 모든 연구결과는 더욱 일관성 없는 혼란만을 초래하였다. 그것은 이 화성이란 생물학적 현상이 매우 복잡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 물리화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새로운 어푸로치 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생물의 신비성 이 착착들어나고 있으니 이 화성의 현상도 불원한 장래에 보다 명확하게 구명될 것이다.

  • PDF

무우의 휴면성(休眠性)과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ormant Behavior Effects of Plant Growth Substances for Beaking the Seed. Dormancy of Raphanvs Sativus L.)

  • 나종현;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5-9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하파형(夏播型) 무우육성(育成)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져 여름무우 소재(素材)로 사용(使用)될 수 있는 몇가지 무우품종(品種)의 품종간(品種間) 휴면성(休眠性)의 차이(差異), 그들간의 모계효과(母系效果) 및 전일장처리(全日長處理)가 휴면(休眠)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고, 인위적(人爲的) 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져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7개(個) 품종(品種)의 채종(採種)직후(直後)의 발아율(發芽率)은 SP70- : 0.5%, PS11- : 37.5%, GJ75- : 75.5%, JD127- : 77.5%, YH85- : 81.0%, M55- : 96.5%, JC73- : 98.0%로 나타나 무우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에 따라 휴면(休眠) 정도(程度)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휴면(休眠)이 깊은 SP70-의 휴면기간(休眠期間)은 60일(日) 이었으며, 이 품종(品種)을 모계(母系)로 하였을 때가 부계(父系)로 하였을 때 보다 휴면(休眠)이 깊게 나타났다. 3. 채종모본(採種母本)의 성숙정도(成熟程度)에 따라 휴면성(休眠性)이 달라졌는 바, 성숙모본(成熟母本)(3월(月)22일(日) 파종(播種))은 말숙모본(末熟母本)(11월(月)10일(日) 파종(播種))에 비(比)해 휴면(休眠)이 훨씬 경감(輕減)되었다. 4.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 및 첫 꽃이 개화(開花)한 이후(以後)부터 SP70-에 전일장처리(全日長處理)를 행(行)한 구(區)는 휴면(休眠)의 정도(程度)가 낮았으며, 등숙기(登熟期) 이후(以後)의 처리구(處理區) 및 대조구(對照區)에서는 휴면(休眠)이 매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휴면(休眠)의 인위적(人爲的) 타파(打破)에 있어서는 GA 200ppm+thiourea 0.2% 혼용처리(混用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남해안연안에서 적조생물 휴면포자 발아와 유영세포 출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cystment and abundance of HABs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이창규;임월애;정창수;조용철;김학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04-205
    • /
    • 2000
  • 최근들어 우리나라 남해안연안은 내만역을 중심으로 편모조류에 의한 적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데, 이들 적조는 지역별, 시기별로 일정한 주기성을 보이면서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적조의 시초는 무엇보다도 적조생물이 형성하는 휴면포자의 발아와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연안에서 출현하는 주요 적조원인생물 휴면포자의 발아률과 유영세포의 출현량을 조사함으로써 휴면포자의 발아와 유영세포 출현량과의 관련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중략)

  • PDF

저질내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 계수방법 비교 연구

  • 박기홍;김창훈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29-129
    • /
    • 2003
  • 해양저질에서 휴면포자의 분포와 분포량에 대한 조사는 미래의 와편모조류 적조발생 시기나 장소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저질내의 휴면포자를 찾고 분리하는 기술이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지금까지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휴면포자 계수방법들을 비교함으로써 연구의 효율을 제고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실험에서는 새만금 해역의 동일정점 저질내에 존재하는 휴면포자를 형광 염색하여 계수하는 Primuline 염색법, 해수, 휴면포자, sodium polytungstate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밀도구배원심법으로 분리하는 방법, 그리고 10% HCl로 탄산질을 제거하고 47% HF로 규산질을 제거한 뒤 휴면포자를 계수하는 고전적 계수방법 (palynological technique)을 사용하여 저질 내의 휴면포자를 분리 비교하였다. Primuline 염색법을 이용하였을 경우 Alexandrium famarense/catenella complex, Alexandrium sp. (spherical), Gonyaulax verior, Gonyaulax scrippsea, Gonyaulax spinifera complex등의 일부 종만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sodium polytungstate를 비중 1.3 g$cm^{-3}$으로 조정한 후 휴면포자를 분리한 밀도구배 원심법은 생물에 거의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발아가 가능해 휴면포자와 영양세포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계수에 있어서는 재현성이 떨어졌다. 반면 Palynological technique은 발아는 되지 않지만 석회질 벽을 가지는 휴면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실험 목적별로 휴면포자 계수방법을 달리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발아실험을 할 경우에는 밀도구배원심법을, Alexandrium과 같은 특정종의 계수목적시에는 Primuline 염색법을, 정점 내 정확한 종 분포 파악을 위해서는 palynological technique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종분포 파악시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좀더 신속하고 정확한 실험을 위해 분자생물학적인 기법들이 요구된다.

  • PDF

가잠의 휴면물질에 관한 연구 (In Vitro Diapause Substance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Seong, Su-Il;Park, Kwang E.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4
    • /
    • 1975
  • 가잠의 휴면물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비휴면성잠의 식도하신경구(SG)를 가각 적출, Grace씨 배양액을 사용하여 체외배양실험 하였다. 배양완료 후, 배양산물액에 대한 생물검정실험(Bioassay)결과, 휴면성잠의 SG 및 비휴면성잠의 SG는 화성에 각각 독립적으로 영향하는 질적으로 상이한 물질, 즉 휴면물질(Diapause Substance) 및 비휴면물질(Non-diapause Substance)을 분비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잠난의 휴면성및 비휴면성의 결정은 이 양물질간의 질적인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채로부터 갓으로 유전자이동에 의한 교잡종의 휴면에 따른 잡초화 가능성 (Dormancy Associated Weedy Risk of the F1 Hybrid Resulted from Gene Flow from Oilseed Rape to Mustard)

  • 임연화;육민정;장전걸;나경주;박수형;김도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35-43
    • /
    • 2015
  • 본 연구는 유채의 화분이동으로 근연종 갓과의 교잡을 통해 형성된 교잡종의 발아휴면특성과 월하 및 월동성을 평가하여 교잡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잡종은 부본인 유채와 모본인 갓에 비해 전반적인 발아특성이 갓에 근접한 중간적인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휴면성도 41.1%로 갓에 근접한 높은 휴면성을 보여주었다. 수확 직후 종자를 토양에 매립하여 월하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토보다는 3 cm 토심에서 월등히 높은 월하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월하기간과 상관없이 3 cm 토심조건에서 부본인 유채에 비해 매우 높고 모본인 갓에 비해 약간 높은 월하특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종자의 월동특성은 월하특성과 반대로 표토조건에서 교잡종이 부모종보다 높은 월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채-갓 교잡종은 휴면성이 비교적 높고 월하 및 월동성이 높아 잡초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유채-갓 교잡종의 보다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 평가를 위해서는 교잡종의 종자생산 가능성 및 자연 생태계 적응성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