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두 육아종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한 후두 재건 (EXPERIMENTAL RECONSTRUCTION OF LARYNX WITH STERNOMASTOID MYOPERIOSTEAL FLAP)

  • 조재식;안병현;김선태;이종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8-28
    • /
    • 1991
  • 후두암의 수직절제 수술후의 후두 재건 목적은 기관절개를 통하지 않고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연하시 기도흡인을 피하기 위한 sphincter 능력의 보존, 그리고 발성이 가능하도록 성대진동 mechanism을 재건하는데 있다. 오늘날 수많은 후두학자들에 의해서 고안 개발된 다양한 재건 방법이 있다. 연자는 광범위한 후두절제에 따른 큰 결손을 메우기 위해 bulky하면서도 점막 상피의 재생이 용이한 재건 피판으로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하여 후두 결손부를 재건하여 보았다. 방법은 성견 3마리를 대상으로하여 thiopental sodium 정맥주사로 전신마취를 시행한 후 설골에서부터 흉골상까지 경부 정중앙의 피부를 절개하고 후두를 노출시켜 후두 수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흉유돌근과 흉골에 부착된 골막을 박리하여 흥유돌근골막 피판을 제작한 후 골막이 후두강 안쪽으로 되도록하여 골막연과 후두점막을 봉합하였다. 그리고 3, 5, 9개월에 후두적출술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 및 수술후 경과를 관찰하였다. 3실험견 모두 기관절개술 없이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였고 흡입성 폐렴이나 피하기종등의 합병증없이 창상이 치유되었으며 발성도 양호하였다. 이식된 골막위로 신생혈관의 출현과 함께 점막재생이 잘되 있었다. 단지 봉합사 주위에 소량의 육아종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섬유조직위로 편평상피가 재생되었으며 성문하부에서는 일부 섬모가 있는 호흡기 점막도 관찰되고 골막하부에 신생골 형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골막 피판은 그 유연성 때문에 결손부위의 점막연에 맞춰도 tension이 없고 공기 누출이 되지 않게 봉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점막이 재생할 수 있는 frame-work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과 같은 사실로 미루어 흉유돌근 자체가 견실하고 골막에 혈류공급이 잘되어 창상치유에 좋을 뿐 아니라 큰 후두결손부의 재건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되었다.로서 몇가지 앞으로의 치료지침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 분포는 남자 16(39 %), 여자 25 (61%)이었으며 1 : 1.5의 빈도를 보였다. 2) 연령 분포는 20대와 30대에서 남녀 모두 2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3) 부식제의 종류는 빙초산이 26명 (63.4 %)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염산 7 (17.1 %) Lye 3 (0.7 %) 의 순이었다. 4) 음독후 12시간내에 식도경술을 받은 환자가 3명(0.7 %) 12-24시간에 받은 환자가 17명(41.5 %), 24 - 48시간에 받은 환자가 11명(26. 8%)으로 48시간 내에 시행받은 환자가 전체의 75.6%를 차지하였다. 5) 식도경 검사상 나타난 식도화상은 Grade I 11명 (26.8%) G.ade II 18(43.9%) Grade III 7명(17.1%) 이었으며 Grade II 인 경우가 18명(43.9%)로 가장 많았으며 Grade I 11명(26.8 %), Grade III 7명 (17.1 %) Normal 5명 (12.2 %) 순이었다. 6) 조기 식도경 검사에서 41명중 oral cavity burn이 없었던 경우가 15명(36. 1 %) 이었으며, oral cavity burn이 있었던 26명중 5명(19 .2 %)에서 Esophageal burn이 없었다 특히 Esophageal burn의 Grade II, III 25명 중 9명(29.6 %)에서 oral cavity burn이 없었다. 7) 식도 부식중 환자의 치료 원칙으로 Grade I, II, III에서 항생제 및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며 Grade I에선 oral feeding을 시켰고 Steroid는 경우에 따라 투여하였으며 Grade III에선 원칙적으로 사용치 않았다. 식도조영술은 Grade I II III에서 3주 후에 모두 시행하였다. 8) 3주 후 식도조영술을 실

  • PDF

$CO_2$ 레이저를 이용한 기관지경술 4례 (TREATMENT OF TRACHEAL LESION BY $CO_2$ LASER - REPORT OF 4 CASES)

  • 김광문;최홍식;이정권;김기령;장균;전영명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8.1-18
    • /
    • 1987
  • 1972년 Jako와 Strong이 후두질환에 $CO_2$레이저 사용을 발표한 이래 최근 이비인후과영역에서 $CO_2$레이저를 이용한 수술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후두 및 기관지 협착증에서의 $CO_2$레이저 이용은 현재까지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로 소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레이저를 이용한 기관지경술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기관 및 기관지의 여러 질환중에서 유두종등의 양성종양의 제거, 기관 및 기관지 협착증의 치료, 그리고 원발 혹은 전이에 의한 기관내 악성종양의 고식수술(姑息手術)등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저자들은 성문하부 및 기관내에 발생한 후두 및 기관유두종 2례와 육아조직에 의한 성문하부 및 기관협착증 2례에서 coherent $CO_2$레이저 기관지경을 이용한 기관지경술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문부의 림프절 종대 1예 (A Case of Parahilar Lymph Node Enlargement)

  • 이희정;손지웅;최유진;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209-212
    • /
    • 2005
  • 유육종증은 침범된 기관에 T림프구와 단핵구가 축적되고, 비건락성 상피양세포 육아종이 생기면서 정상 조직의 구조가 파괴되는 원인 불명의 비교적 흔한 만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쉰목소리를 보여 기관지 내시경을 하였으나, 마비된 왼쪽 성대 자체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었으며, 컴퓨터 단층촬영과 Gallium-67 스캔에서 비대해진 종격동으로 회귀 후두신경 압박에 의한 임상 양상으로 추측하였고, ACE증가와 피부 병변의 비건락성 육아종을 보였으며 또한 결핵, 진균 등의 침범은 배제할 수 있어 유육종증을 진단하였다. 해외에서는 쉰목소리의 원인으로 유육종증이 진단 된 경우가 종종 보고되고 있으나, 한국에서 드문 것으로 보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삽관마취후의 성대마비 1례 (A Case of Vocal Cord Paralysis Following Endotracheal General Anesthesia)

  • 이계실;차인숙;김광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7.3-7
    • /
    • 1982
  • 기관지내의 삽관은 전신마취나 인위적인 기도확보를 위해 흔히 시행되며, 그것의 유용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기관내 삽관후에 후두종창 궤양 그리고 육아종이 합병증으로 가끔 생기며 또한 성대마비도 드물게 온다. 최근에 저자들은 충수절제술을 위한 기관삽관마취후에 애성을 동반한 좌측 성대마비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Botulinum Toxin Type A (BOTOX$^{\circledR}$)를 이용한 성대 육아종의 치료효과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 Type A for the Vocal Fold Granuloma)

  • 김정홍;김한수;남지인;장정현;김지훈;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6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vocal fold granuloma has been associated with vocal abuse, gastroesophageal reflux, endotracheal intubation and habitual throat clearing etc.. Granuloma is benign growth of hypertrophic granulation tissue. It is usually located on the posterior third of vocal fold, in one or both vocal process of the arytenoid cartilage In spite of the voice therapy, steroid therapy, anti-reflex therapy and surgical procedure. The distinct advantage and uniform success rate of each methods have not been generally shown. Authors report that localized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type A (BOTOX$^{\circledR}$) is the promising method both as an initial treatment an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in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standard therapy or who are poor surgical candidates. Materials and Method :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study of 9 patients with the diagnosis of vocal fold granuloma on the videostroboscopic examination from Jan 2000 to Mar 2003. The botulinum toxin type A was injected into one or both thyroarytenoid muscle or lateral cricoarytenoid muscle under the electromyography. The average dosage ranges from 6U to 8U per injection. Results : Unilateral vocal fold granuloma in 7 patients had been resolved completely within 2-3 months after first injection : 5 patients received th\ulcorner GER medical therapy in addition to the Botulinum toxin injections, 2 patients was resolved completely who had shown recurrence after $CO_2$ laser vaporization. 2 patients who had shown recurrence after $1^st$ injection were also completely resolved within 6 months after further injections. Conclusion : We expect that localized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type A can provide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the refractory cases to the traditional forms of therapy and avoid the recurrence in conjunction with proper medical and voice therapy against GER and vocal abuse.

  • PDF

연하곤란을 초래하는 구인두 후벽에서 발생한 거대육아종 (Dysphagia Caused by Giant Granuloma Arising from the Oropharyngeal Posterior Wall)

  • 정은경;신봉진;김종민;이준규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9-42
    • /
    • 2021
  • Granuloma is an uncommon benign disease that develops in the process of wound healing. Pharyngeal or laryngeal granuloma can be associated with gastric reflux, mechanical injury or trauma including intubation, voice abuse, or foreign body. 50-year-old female was transferred to our institute with a huge mass occupying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causing dysphagia. The patient has been suffering from a brain hemorrhage for several months and was kept in bed due to the quadriplegia with stuporous mental status, and was tracheotomized. On examination, the whole oropharynx and hypopharynx was covered by a smooth-surfaced soft big diffuse granular mass, which extended down to the upper trachea through the larynx. The huge granuloma was successfully removed with surgery and was found to have a pedunculating stalk on the oropharyngeal posterior wall with a small mucosal defect, suggestive of the origin of the mass. The defect was closed primarily after the cauterization. The patient is now followed up regularly without any recurrence of the disease.

후두 접촉성 육아종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laryngeal contact granuloma)

  • 유병준;타오정;이동원;송창면;지용배;태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27
    • /
    • 2017
  • Background and Objectives: Gastric acid reflux is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ontact granuloma. Therefore, anti-gastric acid reflux medication has been used as the first line treatment although there are other treatment methods such as surgery or steroid injections. Actually, the role of surgery in the treatment of contact granuloma has not been established clea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rgical treatment for contact granul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ontact granuloma and treated with surgery from 2011 to July 2016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Results: Of 14 patients, 9 (64.3%) were male and 5 (27.4%)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53.8 (${\pm}6.1$) years. The main symptoms were voice change followed by globus, dyspnea, and asymptomatic. Mean Reflux Finding Score (RFS) before surgery was 13.5 and mead Reflux Symptom Index (RSI) was 10.4. The causes of surgery were inadequate response to proton pump inhibitor (PPI) in 4 cases, airway obstruction with large granuloma in 8 cases, and differential diagnosis in 2 cases. Of 14 patients, recurrence occurred in 8 (53.3%) patients after surgery. In 8 recurrent cases, 5 patients showed complete remission and 3 patients showed partial remission with PPI medication. Conclusion: The role of surgery in the treatment of contact granuloma might be limited due to high recurrence rate.

Suspension Laryngoscope 하에 후두미세 수술을 시행한 53명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고찰 (Clinicostatistical Analysis for 53 Cases which were performed Microlaryngeal Surgery under Suspension Laryngoscope)

  • 전하동;최인환;추광철;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6.3-7
    • /
    • 1979
  • Scalco, Shimpson & Tabb가 lynch suspension laryngoscope를 이용하여 후두의 용종 및 병변의 치료목적으로 최초로 microsurgery에 성공한 후 Klein-sasser의 후두 microsurgery에 대한 신기술의 보고 및 체계화는 근래 20년 동안 발전된 microlaryngeal surgery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최근 간접후두경하의 조작보다 이의 사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저자들은 1972넌 5월부터 1979년 4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suspension laryngoscope를 시행한 53명 (75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로는 남녀 1.3 : 1로 남자가 많았다. 2) 연령분포는 30대 14명(26.4%), 20대 10명 (18.7%), 50대 9명 (17%), 60대 7명 (13.234), 10세 미만 6명 (11.3%)의 순이고 최저 2세, 최고 74세였다. 3) 증상별로는 애성 48명 (90.6%), 호흡곤란 16명(30.5%), sore throat 8명 (15.1%)순이고 그외 이물감, 연하곤란 객담 구강건조감 인후불편 decannulation 곤란증 stridovr 기침등이 있었다. 4) 증상발현후 내원까지의 기간은 1∼6개월 11명(20.8%), 6개월∼l년 10명(18.9%), 1개월이하 8(15.1%), 2∼3년과 5∼10년 5명(9.4%), 1∼2년과 4∼5년 4명 (7.6%), 3∼4년과 10년이상이 3명(5.7%)의 순이고 최단기간은 후두마비에 의한 호흡곤란의 2일이었다. 5) 임상적 진단은 용종 18명(34%), 결절 12명(22.6%), 유두종 9명(17%), 종양 7명(13.2%), intubation granuloma 3명(5.7%)의 순이고 그외 decannulation 곤란증과 동반된 후두 협착, 성대마비, 혈종등이 있었다. 6) 48명의 병리조직학적 결과는 용종 17명 (35.4%), 유두종 11명(23%), 결절 9명(8.9%), 악성종양 3명(6.3%), 만성염증 2명(4.2%), 그외 hyperkeratosis, mucous retension cyst, 농양과 동반된 결절, 육아종, 혈종, 확인을 할 수 없던 것이 각각 1례씩 있다. 7) 종양의심환자 7명중 악성종양 3명, 유두종 1명, 농양과 동반된 결절 1명, 만성염증 1명 및 확인불가능이 1명이었다. 8) 반복시술한 경우는 6명이었고 기술적 곤란이 1례 유두종의 재발 5례였으며 최고 10회도 있었다. 9)병변의 부위는 결절 및 용종의 26명중 양측 15례(60%), 좌측 5례(19%), 우측 3례(12%), 전연합까지 침범된 경우 3례(12%)며 유두종 11명의 경우 전후두침범 7례(63.6%), 일측성대침범 3례(27.3%), 후두외 까지의 침범 1례(9.1%)였다.

  • PDF

후두 삽관육아종 16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16 cases of intubation granuloma)

  • 김용신;김정은;차형근;장백암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6-76
    • /
    • 1993
  • 기관내 삽관은 전신마취 및 기도 확보를 위해 시행되어 왔으나, 이비인후과 영역의 합병증으로는 육아종 등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82년부터 1992년까지 만 10년 동안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경험한 16례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 분포는 20세에서 49세까지가 84% 로써 가장 많았으며 남녀 비는 1 : 7 로써 여성에서 호발 하였다. 2. 임상증상으로 애성 12례(75 %), 후두 이물감 3례(18 %), 호흡곤란 1례(6 %)이었다. 3. 발생 부위로는 양측성 6례(37 %), 일측성 10례(63 %)중 우측 7례(70 %), 좌측 3례(30 %)이었고 발생 장소는 피열연골 성대돌기 8례(50 %), 성대 후방1/3 부위 6례(37 %), 성대 중앙 부위 2례(12 %)이었다. 4. 과거력상 삽관후 임상 증상 발현 기간은 1 개월이내 7례(44 %)로 가장 많았으며 4 개월 이상은 없었다. 5. 과거력상 수술 종류 및 빈도수는 제왕절개술이 6례(37 %)로써 가장 많았다. 6. 평균삽관 시간은 2시간 5분 이었다. 7. 튜브재질은 모두 rubber tube 이었다. 8. 수술후 재발은 1례(6 %)이었다.

  • PDF

설 기저부에 발생한 염증성 가성종양 1예 (A Case of Inflammatory Pseudotumor at Tongue Base)

  • 이현섭;허세형;진성민;이상혁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6-59
    • /
    • 2011
  • Inflammatory pseudotumor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 mass that may mimic malignancy and is composed of spindle cells mixed with variable amounts of extracellular collagen, lymphocytes, and plasma cells It is benign tumor commonly involves lung and orbit and rarely that occurs in the head and neck The cause and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pseudotumor still remain controversial. Some bacterial infection or chronic irritation may have prompted some speculation that an initially reactive process can change into an overt neoplastic disease. It tends to affect children and young adults than old ages. We present a case of inflammatory pseudotumor involving the tongue base, in a 73-year-old patient with repeated oral bleeding that aggravated over a few days. Clinical examination showed angiomatous polyp like findings in oropharynx that easy bleeding tendency. CT images showed well defined soft tissue mass with focal enhancement. After surgery, tumor was finally diagnosed inflammatory pseudotumor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s showed plasma cells and inflammatory cells in variable fibrotic tiss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