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후기 중년 여성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중년여성을 위한 토루소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Design of Torso Patterns for Middle Aged Women)

  • 이진희;조현정
    • 복식
    • /
    • 제51권8호
    • /
    • pp.111-121
    • /
    • 200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상반신을 대상으로 기존원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이를 기본으로 제도법을 수정·보완하여 중년여성 체형에 맞는 상반신 토루소 연구원형을 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35세에서 59세의 중년여성으로 하였으며, 45세를 전후로 체형이 변한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년 전기(35세∼45세), 중년 후기(46세∼59세)로 나눠 연구하였다. 연구원형 제작을 위해서 97년 국민체위조사보고 자료에 나온 35세∼59세에 해당하는 신체치수를 사용하여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원형을 설계하고 이를 CADsystem을 이용하여 각 Pattern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하고, 4가지 원형의 실험복을 제작하여 착의 실험을 통해 객관적 평가 11항목, 주관적 평가 23항목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연구원형을 제작하였고 제작 후 연구원형의 신체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원형과 마찬가지로 착의 실험을 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원형들이 착용시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으로 인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관상으로는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량이 중년여성 체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역시 중년여성의 체형과는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중년 전기에 비해 중년 후기에서 수정 보완이 더 요구되었는데 특히 나이가 들수록 등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으로 인해 측면에서 봤을 때 허리가 들어가는 현상이 두드러져 뒤 허리부분의 수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연구원형에서는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조절을 위해 앞목기준선을 위로 2cm 올려 주었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을 각각 2cm더 주어 제작하였으며 중년 후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뒤허리부분의 문제점을 허리중심선 설정시 1∼2cm안쪽으로 설정하여 체형변화를 반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원형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착의 평가 결과는 착용시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이 없어지고 외관상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이 기존원형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외관에서도 전·후기 모두 기존원형 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후기 중년 여성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Aging Anxiety among Late Middle-aged Women)

  • 남은채;김향수;김구민;김나은;강도연;류승민;박예원;정다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6-146
    • /
    • 2021
  • 본 연구는 후기 중년 여성의 자아존중감, 폐경 증상, 배우자지지, 노화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20년 5월 23일부터 6월 13일까지 3주 동안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기혼자 중 후기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11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후기 중년 여성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폐경 증상(β=.515, p<.001), 자아존중감(β=-.268, p=.001) 순으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4%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화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후기 중년 여성의 폐경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며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중년여성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집단 독서치료 (Group Bibliotherapy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09-132
    • /
    • 2017
  •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가 중년여성들의 자존감 향상에 초래하는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인 Giorgi 연구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중년 후기 여성 6명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친 독서치료를 실시하고, 녹음파일 속의 참여자의 진술을 221개의 의미단위, 16개의 하위상황/주제, 6개 상황/주제, 3개의 그룹으로 분석 통합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가족 관계의 어려움으로 신경증적 증상을 경험하였으나 독서치료 경험 후 자존감, 가족, 인생관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다. 참여자간의 상호작용과 독서치료의 매개체인 그림책은 참여자들의 경험을 표현하는데 긍정적인 정서적,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종교생활 참여는 마음의 상처 치유에 큰 역할을 했음을 발견하였다.

중년 후기 여성의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matotype Classification of the Late Middle-Aged Women)

  • 심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er the somatotype of late middle-aged women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matotype. The subjects were 337 late middle-aged women and their age range os from 45 to 59 fears ol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thropometry and photometry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9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hose factors comprised 83.56 percent of total valiance. 2. Using factor scores,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the subject were classified into 4 cluster. Each cluster was classified as their body front and side view contour. Type 1 is tall, slim, and lower balk is flat on the side. Type 2 is standard and lean-back type on the side. Type 3 is standard height and weight, H type in front, and belly-protruded on the side. Type 4 is short, fat, and the side is hip-protruded. 3. According to th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he 9 important items in classifying the somatotype of the late middle-aged women are as follows ; lower back tilt angle, hip depth(back) -back waist depth(back), bust depth(fore) - anterior waist depth(fore), jugular fossa point(fore), upper back tilt angle, burst breadth -waist breadth, right shoulder tilt, height of shoulder - height of anterior waist, abdomen breath.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for these items is as exact as 84.62%.

폐경 후기 중년여성의 신체상, 우울 및 성기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Depression and Sexual fun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 김정희;배경의;문현숙;강현임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9-247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depression and sexual funct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Subjects were 96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lived in Korea. Data was collected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CES-D, and FSFI. Results: The level of body image was positive, depression was mild, and sexual function was moderat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exual function. The subjects who had more positive body image experienced higher sexual function and less depressed mood.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e need for a knowledge development program for nurses regarding women's sexual function. Also, nurses must do counseling with sexual partner's and consider patients' body image when counseling those who complain of sexual dysfunction.

  • PDF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지각,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Health Perception,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Aged Women)

  • 이은정;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1-19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d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women who were attending a cultural center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July 31,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program. Results: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r middle-aged women was differ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religion, exercise, economic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time activities.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alth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ing anxiety. Health percepti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exercise, leisure time activities (exercise and social activity) were verified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unted for 3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health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 women. It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aimed at improv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 women.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한 노후준비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y Aging Preparation for Late Middle Aged Women)

  • 최희정;서순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4-60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y aging preparation for late middle aged wom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K and Y cities in Gyeong-nam Province from October, 2013 to January, 2014. They were 26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healthy aging prepar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education, exercise, and small group discussion over 8 weeks.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test and ANCOVA,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ging anxiety and general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older adult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y aging preparation for late middle aged wome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us, the developed program is recommended for use in clinical practice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late middle aged women in order to keep up with their health in later life.

중년여성에서의 혈관운동증상과 우울, 스트레스, 삶의 질과의 상관성 (Associations between Vasomotor Symptoms and Depressi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Midlife Women)

  • 남윤민;조숙행;권은주;함병주;한창수;고영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146-156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주위기, 폐경 후기 여성에서 혈관운동증상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건강행태, 내과적 질환, 우울, 스트레스, 불안,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 법 한국건강관리협회에 건강검진을 위해 방문한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단면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혈관운동증상과 관련 요인에 대한 자가보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혈관운동증상과 요소들간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다. 통계 분석에는 SPSS를 사용하였다. 결 과 폐경주위기 및 폐경후기 여성의 혈관운동증상의 발생률은 63.9%로 나타났다. 혈관운동증상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인들은 BDI, BEPSI-K, 임상적으로 유의한 우울증상을 보이는 군의 비율($BDI{\geq}16$), 폐경증상척도, Attitude toward menopause, WHOQOL_BREF의 4개의 부척도(신체적 건강, 심리적, 사회적 관계, 환경), 그리고 PMS/PMDD의 과거력이었다. 이 중 다중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요인은 BDI, BEPSI-K, 폐경증상척도, WHOBREF 부척도 중 심리적 척도였다. 결 론 폐경기의 혈관운동증상은 심리적 요인 및 정신사회적 요인들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우울증상간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혈관운동증상을 보이는 중년여성군에서 우울증에 대한 선별검사가 필요할 것이다. 추후 명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임상군을 대상으로 보다 구조화된 진단을 통해 혈관운동증상과 우울증간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중년후기 여성의 외상 후 성장, 노화불안, 영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osttraumatic Growth, Aging Anxiety and Spirituality on Successful Aging in Late Middle-aged Women)

  • 이은정;안혜경;성미혜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9권1호
    • /
    • pp.6-14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aging anxiety, and spirituality on successful aging in late middle-aged women. Methods: Participants were 128 late middle-aged wome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23.0 program. Results: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were spirituality and monthly income. This regression model explained 21.4% of the variance in successful aging.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d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ncrease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in need.

우울, 불안장애 환자에서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Attitude and Belief About Menopause and Menopausal Symptoms in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 Patients)

  • 최인광;이문수;함병주;이화영;고영훈;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2호
    • /
    • pp.82-93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중년여성 외래환자를 폐경기 상태에 따라 폐경전기, 폐경주위기, 폐경후기의 3집단으로 세분화하여 폐경기 증상을 비교하고,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며, 우울증상 및 특성불안의 심각도에 따른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 8월 17일부터 2009년 11월 28일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하여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로 진단받은 40~64세의 여성 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해 폐경평가척도(Menopause Rating Scale, MRS)를 이용하였고, 폐경기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1항목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우울, 불안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가 사용되었다. 폐경기 상태에 따른 각 그룹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고,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우울증상, 특성불안의 심각도와 폐경기 증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 과 폐경기 상태에 따른 폐경기 증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경기는 노화의 증후; 배우자들은 폐경기 여성을 매력이 없다고 느낌'의 항목에 동의할수록, '임신을 하지 않아 홀가분함'의 항목에 동의하지 않을수록 일부 폐경기 증상을 심하게 호소하여, 부정적인 폐경에 대한 태도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 간에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우울증상과 특성불안의 수준이 높은 경우 폐경기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폐경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우울증상, 불안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 간에 상호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폐경기 증상에 대해 평가하고 교육을 통하여 환자들로 하여금 폐경에 관한 긍정적 태도를 갖고 폐경기 증상에 적절히 대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임상에서 많은 중년여성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정신과 치료를 지속하면서 우울증상, 불안의 호전 정도에 따라 폐경기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