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공정

Search Result 4,70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Scheduling Methodology for MCP(Multi-chip Package) with Layer Sequence Constraint in Semiconductor Package (반도체 Package 공정에서 MCP(Multi-chip Package)의 Layer Sequence 제약을 고려한 스케쥴링 방법론)

  • Jeong, Young-Hyun;Cho, Kang-Hoon;Choung, You-In;Park,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1
    • /
    • pp.69-75
    • /
    • 2017
  • An MCP(Multi-chip Package) is a package consisting of several chips. Since several chips are stacked on the same substrate, multiple assembly steps are required to make an MCP.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ps in the MCP are dependent on the layer sequence. In the MCP manufacturing process, it is very essential to carefully consider the layer sequence in scheduling to achieve the intended throughput as well as the WIP bal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duling methodology considering the layer sequence constraint.

롤투롤 스퍼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PES 기판에 성막한 플렉시블 GZO 단층 박막, GZO/Ag/GZO 다층 박막의 특성 연구

  • Park, Yong-Seok;Park, Ho-Gyun;Jeong, Jin-A;Choe, Gwang-Hyeok;Kim, H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196-19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플렉시블 GZO 단일 박막과 GZO/Ag/GZO (GAG) 다층 박막을 연속 성막이 가능한 롤투롤 스퍼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온 공정을 통해 성막하여 그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일반적으로 고품위의 GZO 박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온 공정이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플렉시블 PES 기판상에 상온 공정을 통해 후 열처리 없이 고품위의 GZO, GAG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단일 GZO 박막은 공정 압력과 산소 유입량을 변화하여 제작하였고 GAG 다층 박막은 GZO-Ag-GZO로 이루어진 3개의 sputter gun을 이용하여 Ag 두께를 변수로 연속공정을 통해 제작하였다. 구조적, 표면석 특성 분석을 위해 XRD(X-ray diffraction),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RTEM (High resolution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였으며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UV/Vis spectrometer, Hall effect measurement를 각각 이용하였다. 최적화된 GZO 단일 박막은 상온에서 열처리 없이 성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38 ohm/sq의 낮은 저항과 86 %의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으며 GAG 다층 박막은 12 nm의 Ag 두께에서 6.4 ohm/sq의 낮은 저항과 88 %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된 bending test에서 GAG 박막은 초기와 test 후에 저항과 표면에 변화가 없는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플렉시블 태양전지와 디스플레이등 광학소자의 투명 전극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형태안정성 레이온 복합소재 염색가공 연구

  • Kim, Myeong-Sun;Park, Seong-Min;Gwon, Il-Jun;Seo, Mal-Yong;Kim, Hye-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3-103
    • /
    • 2011
  • 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소재는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한 재생섬유(습식방사)로서 Drape성과 반발성은 탁월하나, 습식방사에 따른 분자구조적 불안정성으로 건 습열처리시 형태불안정(치수변화율이 큼)으로 제직(준비) 및 후공정상 여러 가지 Trouble 유발과 완제품 세탁시 수축발생으로 종종 Dry Creanning 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수분흡수시 강도저하, 수축과 구김, 염색 불균염 등의 문제점과 섬유공정상 생활취급상에 많은 애로를 가지고 있으며, 구성고분자가 수소결합에 의해 강고하여 "신축문제", 수분흡수시 팽윤(Swelling)에 의한 형태불안, 즉 "수축문제"가 개선해야 할 고질적 문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온 소재의 형태안정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합사고공 및 염색가공 기술을 개발하고자한다.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N/R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N/R 복합가공사를 개발, 제편직 요소기술과 염가공기술을 연구하므로서 형태안정성 레이온 복합소재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Rayon 소재의 후공정 용이성과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레이온 DTY가공사, Rayon-합섬 장(長)-장(長) 복합사를 개발하여 CoolBiz용 냉감소재 및 스포츠 웨어 소재 등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가공기술에 의한 신도 16%, 수축률 1.6%인 형태안정 Rayon DTY 소재를 개발하였으며, 선연후가공기술에 의하여 N/R 복합가공사를 개발, 신도 18%, 수축률 1.2%인 차별화 레이온 소재를 개발하였다. 이에 기존 Rayon 후가공 및 염색공정과 상이한 개발된 선연후 가연 Rayon DTY가공사 및 T/R혼방사를 활용한 직물에 대하여 최적 전처리, 염색 후가공 공정의 최적 조건을 알아보았다.

  • PDF

Conversion of Total Atrio-pulmonary Connection to Total Cavo-pulmonary Connection - Review of Indications and Hemodynamic Characteristics - (심방-폐동맥 문합술 후 총 체정맥-폐동맥 문합술로의 전환 - 수술 적응증 및 혈역학적 특징의 검토 -)

  • Seo, Jung Ho;Lee, Jong Kyun;Choi, Jae Young;Sul, Jun Hee;Lee, Sung Kyu;Park, Young Whan;Cho, Bum K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2
    • /
    • pp.199-207
    • /
    • 2002
  • Purpose : Since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otal atrio-pulmonary connection(TAPC) to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physiologic single ventricles in 1971, post-operative survival rates have reached more than 90%. However some patients have been shown to present with late complications such as right atrial thrombosis, atrial fibrillation and protein losing enteropathy eventually leading to re-operation to control the long-term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ults of total cavo-pulmonary connection(TCPC) in cases with late complications after TAPC. Methods : Between Jan. 1995 and Dec. 2000, 6 patients(5 males and 1 female) underwent cardiac catheterization $11{\pm}3$ months after conversion of previous TAPC to TCPC. We compared the hemodynamic and morpholog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CPC and also assessed the clinical outcomes. The indications for TAPC were tricuspid atresia in 4 cases and complex double-outlet right ventricle with single ventricle physiology in 2 cases. Results : There was no peri-operative mortality and all patients were clinically and hemodynamically improved at a mean follow-up of 11 months(range : 4 to 13). However, protein losing enteropathy recurred in 2 patients; this wa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heparin. Right atrial pressure before TCPC was $18.0{\pm}3.6mmHg$, but baffle pressure, corresponding to right atrial pressure decreased to $14.8{\pm}3.6mmHg$ after TCPC. The size of the pulmonary arteries did not regress after TCPC. Conclusion : The conversion of TAPC to TCPC improves clinical and hemodynamic status by decreasing the right atrial pressure and by providing a laminar cavo-pulmonary flow which enhances the effective pulmonary circulation in the so-called Fontan circulation.

UV/$TiO_2$공정을 이용한 수중 MTBE의 광촉매 분해

  • 김성수;류성필;오윤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41-44
    • /
    • 2003
  • UV/$TiO_2$ 공정을 이용한 수중 MTBE의 광분해에 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MTBE는 초기농도가 낮을수록 제거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공기주입량이 4L/min인 경우 반응시간 160분 후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공기주입이 없는 경우에 비해 제거효율이 40%정도 높게 나타났다. 과산화수소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MTBE 제거효율은 1M-$H_2O_2$ 300mL를 첨가한 경우 반응시간 160분 후에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1M-$H_2O_2$ 200m1는 반응시간 180분 후 거의 제거되었으며 $H_2O_2$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반응시간 180분 후 68%의 제거효율을 보여 과산화수소 첨가시 제거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Algal Growth Kinetics using Reclaimed Wastewaters from Various Treatment Processes (다양한 수질정화 공정 별 하수처리수 재이용수의 조류성장 비교)

  • Joo, Jin-Chul;Seo, Sou-Hyun;Song, Ho-Myeon;Kim, Il-Ho;Ahn, Cha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9-309
    • /
    • 2011
  • 지구온난화와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연의 생태적 기능을 복원하고 환경에 대한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도심 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의 구축이 요구된다. 즉, 물순환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심 내 다양한 수원(생태하천/호수 유지용수, 하수처리수, 우수, 지하수 등)을 네트워크 및 통합 관리하여 도시 내 물순환의 건전성과 수자원의 재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중 발생량이 일정하고 막대한(66.4억톤/년, 2009년 기준) 하수처리수 방류수는 고도처리를 통해 수질이 양호하며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으로 고려된다. 또한,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삭감 및 상수사용량의 절감과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면에서 최근 재이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도심 내 친수공간(생태하천/호수)은 저류수량에 비해 유입수량이 적어 체류시간이 비교적 장시간이고, 이로 인해 부영양화가 쉽게 발생해 수질이 악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도심 내 친수공간의 유지용수로 활용 시, 수질정화공정(응집 후 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역삼투 공정)이 친수공간 내 조류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pilot plant의 수질정화공정별 유출수를 활용해 M. aeruginosa를 시험조류로 조류성장(growth kinetics)을 조사하였다. 조류는 $5\times104$ cells/mL의 초기 농도로 접종하여 배양하였으며, 조류성장에 직접적인 제한인자인 용존반응성인의 농도에 따른 성장속도를 Monod와 변형 Monod Kinetics를 이용해 반포화상수(Ks)와 최대 성장속도(${\mu}$max)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다른 수질정화공정은 비록 영양염류가 80~90% 이상 제거되어 수계의 화학적 성상이 변하였으나 조류성장역학의 변화는 통계학적 (p=0.05)으로 유의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2주 이상이 될 경우,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수질정화공정 별 유출수에서는 조류의 과다성장으로 인해 부영양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친수용수로 활용시, 조류성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존반응성인의 농도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수질정화공정 및 유지용수 공급방안을 고려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tching of Si3N4 Thin Film and the Exhausted Gas Using C3F6 Gas for LCD Process (LCD 공정용 C3F6 가스를 이용한 Si3N4 박막 식각공정 및 배출가스에 관한 연구)

  • Jeon, S.C.;Kong, D.Y.;Pyo, D.S.;Choi, H.Y.;Cho, C.S.;Kim, B.H.;Lee, J.H.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1 no.4
    • /
    • pp.199-204
    • /
    • 2012
  • $SF_6$ gas is widely used for dry etching process of semiconductor and display fabrication process. But $SF_6$ gas is considered for typical greenhouse gas for global warming. So it is necessary to research relating to $SF_6$ alternatives reducing greenhouse effect in semiconductor and display. $C_3F_6$ gas is one of the promising candidates for it. We studied about etch characteristics by performing Reactive Ion Etching process of dry etching and reduced gas element exhausted on etching process using absorbent Zeolite 5A. $Si_3N_4$ thin film was deposited to 500 nm with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we performed Reactive Ion Etching process after patterning through photolithography process. It was observed that the etch rate and the etched surface of $Si_3N_4$ thin film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ictures. And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exhausted gas before and after the absorbent using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

A Study of Foodwaste Treatment Technology Using Eatrhworm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관한 연구)

  • Lee, Chang-Ho;Lee, Jong-Min;Bae, Sung-Geun;Jeon, Sung-Kyun;Kim, Jong-Oh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3 no.1
    • /
    • pp.71-78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data on current situations and challengeable aspects of vermicomposting industries in Korea and to develope foodwaste treatment technology using earthworm. Pre-treatment process of food waste consists of cleaning, grinding, mixing and others, and salinity of food waste was 0.7% on average, thus not suitable for feed of worms. When applying wash water and going through the cleaning process, however, salinity was dropped to 0.38%, indicating that cleaning process applying wash water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roper salinity for growth of worms. In the food waste processing experiment applying worms, it has been presented that smaller particles induce higher processing efficiency. As a result, food waste processing by worms is possible through maintaining the suitable environment for survival of worms from input process to generation of cast. Cast generated after processing food waste was proved to be most suitable for product standard of compost thus cast is presented to be recycled after processing the food waste applying the worms.

  • PDF

Alkalic Effects on Dyeing of Nylon, Rayon, Wool blended Fabrics (나일론과 천연섬유 복합소재의 염색 시 알칼리에 따른 영향 연구)

  • Kim, Ji-Yeon;Kang, Suk-Hee;Min, Mun-Hong;Kim, Moon-Jung;Lee, Dong-Eun;Kim, Byou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07-107
    • /
    • 2012
  • 3종 복합소재인 양모와 나일론, 레이온의 염색공정은 먼저 알칼리 욕에서 반응성염료로 레이온을 염색한 후, 산성욕에서 산성염료로 양모와 나일론을 염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양모, 나일론, 레이온은 알칼리에 민감하므로 면 염색 시 적용되는 강알칼리인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면 섬유의 취화로 인하여 강도와 촉감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중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염료를 투입하지 않고 염색공정을 거친 후 백도와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황변 및 강도 변화 여부를 알아보았다. 레이온 70%, 양모 19%, 나일론 11%의 혼용율을 가지는 전처리 된 편물(130$g/m^2$, 32 inch, 18 gauge)에 탄산나트륨(시약 1급) 20g/l과 중탄산나트륨(시약 1급) 20g/l 각각을 투입하고 반응성염색공정($60^{\circ}C$, 60 min)으로 처리한 경우와 반응성 염색 후 산성염색공정($98^{\circ}C$, 60 min)으로 처리한 경우로 나누어 측색을 통해 백도와 L, a, b값을 측정하고 KS K 0521에 따라 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탄산나트륨 투입시 백도 값이 중탄산나트륨에 비해 10% 정도 낮아지고 L, a, b값도 상대적으로 yellow 방향으로 이동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황변이 일어남을 의미하며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인장강도 측정결과를 통해 소다회 처리 시 중조에 비해 30% 정도의 강도 저하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반응성염색 후 산성염색을 거치게 되면 황변과 강도 저하 현상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천연/나일론 편물을 반응성염색 시 알칼리로 탄산나트륨을 사용하면 염색공정 상에서 중탄산나트륨에 비해 황변이 일어나 염료 고유의 색상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강도 또한 30% 정도 저하되지만, 후에 산성염색 공정을 거치면 산 조건과 욕중 효과를 통해 일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별도로 이번에는 시판되는 반응성염료 5종과 산성염료 3종을 조합하여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 투입에 따른 염색실험을 실시하고 측색(DataColor SF600 광원D65, Strength)을 통해 염착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탄산나트륨으로 염색하면 탄산나트륨에 비해 모두 염착량이 저하되었으며, 염료의 구조적 차이와 컬러별로도 그 차이는 다양하였다. 그 중 저온에너지형 반응성염료는 탄산나트륨 투입에 비해 47~60% 정도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일부 반응성염료는 20%까지 떨어지는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탄산나트륨보다 중탄산나트륨의 알칼리 정도가 낮으므로 반응성염료의 염착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며, 저에너지형 반응성염료의 경우에는 낮은 온도나 알칼리 조건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고착률을 나타내므로 적절한 반응성염료의 선택을 통해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탄산나트륨과 중탄산트륨의 알칼리 정도가 강도와 염착량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현장 처방을 선정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Pile Temperature Control on Changes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Composted Poultry Waste (계분의 콤포스터 처리시 내부온도 조절이 생산물의 물리·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 Kwak, Wansup;Kim, Taegyu;Kim, Changwo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 no.2
    • /
    • pp.39-51
    • /
    • 1994
  • When broiler litter was composted under the control of peak temperature of piles(uncontrolled, controled below $70^{\circ}C$ and below $60^{\circ}C$), changes of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were determined throughout the processing period. Broiler litter was composted in each of three $1.0{\times}1.0{\times}1.2m$ dimensional facilities for 8 weeks. After 5 to 6 weeks of composting, broiler litter was converted into the final compost with no ammonia odour, rice hull size of particle, and faint brown color. Central temperature of piles reached to the peak(about $69{\sim}70^{\circ}C$) within 3 to 4 days after composting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The final product contained 26.5% of moisture, 9.0~9.1 of pH, and 14.0~14.3 of C/N ratio. The increase of C/N ratio with processing resulted from the considerable loss of N. The total wet weight of the final composts was an average of 38.3% of the initial weight, the dry weight of those 64.1%, and the organic matter weight of those 34.8%. Treatments of central temperature of composts did not affect changes of moisture, pH, C/N ratio, total wet weight, total dry weight, and total organic matter weight. In general, composted broiler litter was converted into the final product with little change in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after 5 to 6 weeks of processing. Nitrogen losses during the composting should be preven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osting efficiency of broiler lit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