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후각 감성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Comparison of Olfactory Sensibility With/Without Consideration of Individual Olfactory Threshold (피험자의 후각 역치 고려 유무에 따른 후각 감성 비교)

  • Seo, Han-Seok;Jeon, Kwang-Jin;Kwon, Jin-Hwan;Hwang, In-Kyeong;Kang, Jin-Kyu;Min, Byung-Ch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2
    • /
    • pp.199-208
    • /
    • 2007
  • The olfactory function of subjects could be different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ging, and such discrepancies influence on the olfactory sensibility.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of olfactory sensibilit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consideration of olfactory threshold of subject. Stimulants of this study were five standard odor samples of T&T olfactometer, and thirty undergraduates over than 19 years old were tested twice during this study In experiment 1, subjects were given to odor samples which were controlled on the basis of individual olfactory threshold. Whereas, subjects were provided with uncontrolled odor samples which had the same concentration(+1) in experiment 2. Olfactory sensibility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resentation types of odor samples, and these gaps were more higher on condition that the preference of odor sample was not distinct. Moreover, such differences affected the olfactory sensibility structure, and 'esthetic sense', 'intensity', and 'activity' were common factors, but 'friendship' of experiment 1 and 'weight' of experiment 2 were unique factors. In conclusion, the olfactory sensibilit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could be different with consideration of olfactory threshold of subject. Overall,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lfactory function and the presentation method of odor sample be regarded as principal consideration factors in the olfactory sensibility evaluation.

  • PDF

Emotional changes of EEG and autonomic response by olfactory stimuli with orange and valeric acid (뇌파와 자율신경계반응에 나타난 오렌지향과 valeric acid에 의한 후각 감성)

  • 백은주;이윤영;이배환;문창현;이수환;한희철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05-111
    • /
    • 1998
  • 중추신경계돠 자율신경계에 나타난 후각에 의한 감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후각자극은 0.6% 오렌지향과 2.5% valeric acid를 수증기로 포화시키는 후각 자극기를 통해 일정 flow와 농도로 시행하였다. 대조자극은 방안 공기로 향자극 전후에 시행하였으며 뇌파자극은 international 10-20 systim에서 4채널을 사용하였다. 이외에 ECG, EOG, heart rate, skin conductance와 respiration를 기록하였고 뇌파분석은 fast Fourier tuansform analysis의 power spectra로 하였다. 그 frequency banes는 delta(0-4.5Hz), theta(4.5-7Hz)은 쾌하고 친숙하게 valeric acid는 불쾌하고 성가시게 평가되었다. 뇌파분석에서 쾌와 불쾌 자극간의 차이는 PG2-A2 channel 에서 alphal의 자극전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불유쾌한 자극에서는 모든 channel alphal, alpha2와 beta파 증가를 보였다. 또한 heart rate, galvaric skin resistance는 쾌자극에서 감소양상을 나타내었으며 불쾌자극에서는 반대경향을 보였다. 호흡에서는 쾌자극에서 호흡수 감소경향과 input/output amplitude dutation와 duration의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불쾌자극에서는 반대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쾌와 불쾌 후각자극으로 감성변화를 뇌파와 자율신경계에서 볼 수 있었다.

  • PDF

HRV spectrum analysis of olfactory sensibility evoked by orange or valeric acid (Orang향과 Valeric acid로 유발된 후각 감성의 변화에 대한 HRV 분석)

  • 백은주;임재중;이윤영;민병찬;이수환;문창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31-3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각 자극에 의한 감성의 변화를 주관적 검사와 동시에 시행한 심전도에서 추출한 HRV parameter와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함이다. 후각 자극은 0.6% orange와 2.5% valeric acid를 일정 flow와 일정 농도를 코 점막에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수증기로 포화시킨 향자극기로 주었다. 향의 주관적 검사에서 오렌지향은 친숙하고 쾌하다고 하였으며, valeric acid의 경우 불쾌하고 성가시고 친숙하지 않는 감성을 표시하였다. 이러한 쾌하고 불쾌한 향자극에 대한 HRV 분의 활동이 우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HRV 스펙트럼 분석이 감성의 변화를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내는데 유용한 정보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히고자 하였다.

  • PDF

HRV spectrum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changes in emotion evoked by olfactory stimulation (뇌후각 감성 평가를 위한 HEART RATE VARIABILITY SPECTRUM분석)

  • 백은주;임재중;이윤영;하태완;이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55-15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각 자극에 의한 감성의 변화를 주관적 검사와 동시에 시행한 심전도에서 추출한 HRV parameter와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함이다. 후각 자극은 0.6% orange와 2.5% valeric acid를 일정 flow와 일정 농오고 코 점막에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수증기로 포화시킨 향자극기로 주었다. 향의 주관적 검사에서는 오렌지향은 친숙하고 쾌하다고 하였으며 valeric acid경우 불쾌하고 성가시고 친숙하지 않는 감성을 표시하였ㅅ다. 이러한 쾌하고 불쾌한 향자극에 대한 HRV분석결과는 valeric acid에 비해 오렌지향을 제시하였을 때가 HF/LF값이 높은 변화를 보임으로써 부교감신경의 활동이 우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HRV스펙트럼 분석이 감성의 변화를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내는데 유용한 정보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Video Reality Improvement Using Measurement of Emotion for Olfactory Information (후각정보의 감성측정을 이용한 영상실감향상)

  • Lee, Guk-Hee;Kim, Shin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8 no.3
    • /
    • pp.3-16
    • /
    • 2015
  • Will orange scent enhance video reality if it is presented with a video which vividly illustrates orange juice? Or, will romantic scent improve video reality if it is presented along with a date scene? Whereas the former is related to reality improvement when concrete objects or places are present in a video, the latter is related to a case when they are absent. This paper reviews previous research which tested diverse videos and scents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two different questions, and discuss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measurement methods and results regarding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perception of scent similarity, olfactory vividness and video reality, matching between scent vs. color (or color temperature), and description of various scents using emotional adjectives. We expect this paper to help researchers or engineers who are interested in using scents for video reality.

생리신호 측정에 의한 감성평가

  • 황민철;박재희;박수찬;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35-39
    • /
    • 1995
  • 인간의 감성평가 기술은 제품설계에 필요한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있다. 정량적이고 객 관적인 감성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생리신호가 인간감성에 따라 변화한 다는 가정아래 인간 오감(청각, 시각, 후각, 미각, 촉각)에 대한 생리신호 (EEG, ECG, GSR, FEMG)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감각종류로 긍정적 감성과 부정적 감성을 유발할 4개의 자극이 피실험자에게 제시되었고, 모든 생리신호를 동기화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신호는 통계처리하여 주관적으로 평가한 감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긍정적인 감성과 부정적인 감성에 따른 신호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감 성평가를 위한 상관성을 관찰했다.

  • PDF

Factor Structure of Imagery on Odors :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향(香)의 이미지 인자구조: 남녀차에 관한 연구)

  • 민병찬;정순철;김수진;김혜주;김상균;민병운;오지영;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17-422
    • /
    • 1999
  • 지금까지 향의 이미지에 따른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 특히 성별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향의 이미지에 따른 성별 감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 가지 향 (Jasmin abs, Rose oil bulgalian, Lavender oil france, Lemon oil misitano)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분석하였다. 후각 실험 및 주관적 평가는 20-26세의 남자10명, 여자10명으로 구성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주관적 평가는 향의 세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후각 감성 형용사를 이용하여, 양극의 7점 척도 25문항, 단극의 5점 척도 40문항, 그리고 각 향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묻는 양극의 7점 척도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 모두 Lemon향을 가장 쾌한 감성의 향으로, Rose향을 가장 자극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심리척도의 보편적인 정서인 쾌/불쾌, 자극/진정의 감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별로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에 비해 남성이 Rose향을 정열적이고 화려한 향으로 느낀다거나, Jasmin 향에 대하여 남성은 여성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반면, 여성은 Jasmin 향을 남성적인 향으로 평가하는 등 각 향에 대한 세부적인 이미지에는 여성과 남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PDF

Quantific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y Single-Channel Brain Wave (단일 전극 뇌파에 의한 쾌, 불쾌 감성의 정량화)

  • 최정미;황민철;배병훈;유은경;오상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59-67
    • /
    • 1998
  • 뇌전위에서 개인차가 없는 일반적인 규칙ㅇ르 지닌 두개의 정보 변수, 즉 ILF와 IHF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일반성을 지닌 정보 변수가 청각, 후각, 촉각 자극에 의해 유발된 쾌하거나 불쾌한 감성 상태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전두엽에서 그 경향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전두엽의 뇌전위에서 감성 자극이 주어지가 전과 자극이 주어지는 동안의 ILF, IHF값을 정규화함으로써 새로운 변수, Relative Quantified Emotional State(RQES)를 구현하였다. RQES는 쾌, 중립, 불쾌한 감성의 정도를 선형적으로 정량화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전극으로 측정한 전두엽부분의 뇌전위로부터 RQES값을 계산하면 인간의 쾌, 불쾌 감성을 신뢰도있게 정량화 할 수 있다.

  • PDF

The Emotion Process Based on MVL-Neural Network (다치-신경망을 이용한 감성처리)

  • 손창식;허철회;정환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497-501
    • /
    • 2002
  • 개인의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대한 복합적인 감성을 측정.분석하여 공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인간이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오감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중 소비자의 구매 욕구에 많은 영향을 주는 시각(색)에 따른 감성상태의 패턴을 분류하기 위해 색채 심리를 다치오토마타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이벤트와 상태 사이의 관계를 활용하여 감성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간의 심리 상태를 학습할 수 있도록 오토마타의 입력 값(색)에 따른 상태(감성상태)의 변화를 신경망 모델로 구현함으로서 색채에 대한 감성을 처리하였다.

Recent Trend in Measurement Techniques of Emotion Science (감성과학을 위한 측정기법의 최근 연구 동향)

  • Jung, Hyo-Il;Park, Tae-Sun;Lee, Bae-Hwan;Yun, Sung-Hyun;Lee, Woo-Young;Kim, Wang-Ba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1
    • /
    • pp.235-242
    • /
    • 2010
  • Emotion science is one of the rapidly expanding engineering/scientific disciplines which has a major impact on human society. Such growing interests in emotion science and engineering owe the recent trend that various academic fields are being merged. In this paper we review the recent techniques in the measuring the emotion related elements and applications which include animal model system to investigate the neural network and behaviour, artificial nose/neuronal chip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sensing the outer stimuli, metabolic controlling using emotional stimulant such as sounds. In particular, microfabrication techniques made it possible to construct nano/micron scale sensing parts/chips to accommodate the olfactory cells and neuron cells and gave us a new opportunities to investigate the emotion precisely. Recent developments in the measurement techniques will be able to help combine the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and consequently expand the scope of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