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Olfactory Sensibility With/Without Consideration of Individual Olfactory Threshold

피험자의 후각 역치 고려 유무에 따른 후각 감성 비교

  • Seo, Han-Se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 Kwang-Jin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Kwon, Jin-Hwan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Hwang, In-Kyeo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Jin-Kyu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Min, Byung-Chan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서한석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전광진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 권진환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 황인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강진규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 민병찬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olfactory function of subjects could be different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ging, and such discrepancies influence on the olfactory sensibility.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of olfactory sensibilit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consideration of olfactory threshold of subject. Stimulants of this study were five standard odor samples of T&T olfactometer, and thirty undergraduates over than 19 years old were tested twice during this study In experiment 1, subjects were given to odor samples which were controlled on the basis of individual olfactory threshold. Whereas, subjects were provided with uncontrolled odor samples which had the same concentration(+1) in experiment 2. Olfactory sensibility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resentation types of odor samples, and these gaps were more higher on condition that the preference of odor sample was not distinct. Moreover, such differences affected the olfactory sensibility structure, and 'esthetic sense', 'intensity', and 'activity' were common factors, but 'friendship' of experiment 1 and 'weight' of experiment 2 were unique factors. In conclusion, the olfactory sensibilit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could be different with consideration of olfactory threshold of subject. Overall,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lfactory function and the presentation method of odor sample be regarded as principal consideration factors in the olfactory sensibility evaluation.

대부분의 후각 감성평가 연구에 있어서는 모든 피험자에게 동일한 농도의 냄새 시료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피험자의 후각 기능은 노화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다를 수 있고 이러한 차이는 후각 감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각 감성평가 시 냄새 시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모든 피험자에게 동일한 시료를 제공한 경우와 피험자 개개인의 후각 역치를 고려하여 냄새 시료의 농도를 조절한 후 제공한 경우에 있어서 후각 감성특성 및 감성구조에 차이를 보이는 지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만 19세 이상 대학생 남녀 30명(남자: 18명, 여자: 12명)이었고 사용된 냄새 시료는 T&T olfactometer의 다섯 가지 냄새 기준물질이었다. 동일한 피험자에게 두 가지(실험 1과 실험 2)의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실험 1에서는 피험자 개개인의 후각 역치를 기준으로 냄새 물질의 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모든 피험자가 동일한 냄새 강도를 지각하도록 가였다. 실험2에서는 모든 피험자에게 동일한 농도(+1)의 냄새 시료를 제공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냄새 시료 제시 방법(후각 역치 고려 유무)에 따라 후각 감성특성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냄새에 대한 선호도가 명확하지 않은 시료에 있어서 이러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후각 감성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심미성', '강도', 그리고 '활동성'은 공통요인이었고, '친화성'(실험 1)과 '중량감'(실험 2)은 후각 역치 고려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볼 때, 피험자의 후각 역치 고려 유무에 따라 후각 감성특성 및 감성구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냄새 시료에 대한 후각 감성평가를 수행하고자 할 때, 피험자의 후각 역치 및 기능과 이에 따른 냄새 시료 제시법 또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