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횡격막 종양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7초

전종격동 종양 절제시 시행한 횡격막 신경 재건술 (Phrenic Nerve Reconstruction During Anterior Mediastinal Tumor Resection)

  • 김태윤;홍기우;김건일;이원진;최광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60-563
    • /
    • 2002
  • 심흉부 수술 후에 발생하는 횡격막 신경 손상으로 인한 편측 횡격막 마비는 드물지 않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증상 없이 방사선학적 비정상 소견만을 보이는 것에서 심한 폐기능 장애와, 심지어는 폐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에서는 사망을 초래하기도 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증상이 발현된 편측 횡격막 마비시, 마비된 편측 횡격막의 주름성형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천식의 병력이 있는 38세의 남자 환자의 전종격동에 발생한 종양 절제시 발생한 우측 횡격막 신경 손상에 대해 비복 신경을 이용한 횡격막 신경 재건술을 시행하여 술후 10개월째 시행한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상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간략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복강 및 흉강 내 거대 데스모이드 종양 수술 치험 1예 (Huge Intraabdominal and Thoracic Desmoid Tumor -Surgical experience in one case -)

  • 김경화;서연호;구자홍;김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623-626
    • /
    • 2003
  • 데스모이드는 재발빈도가 높은 양성 종양이다. 본 저자들은 흉강 및 복강에 걸쳐 있는 거대한 데스모이드를 충분한 절단면을 확보한 후 절제하고 간좌엽절제술, 좌폐하엽 쐐기절제술, 부분적 심막절제술 후 우심막을 이용하여 심막재건술을 시행하였고 횡격막을 부분 절제한 후 마렉스 메쉬로 횡격막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횡격흉막에서 발생한 고립성 섬유성 종양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Diaphragmatic Pleura)

  • 이철범;임현수;지행옥;박충기;박용욱;김혁;정원상;김영학;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68-572
    • /
    • 2002
  • 우리는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한 47세 여자의 횡격흉막에서 발생한 양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 1례를 보고한다.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 복부 초음파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과 자기공명영상으로 주변과 경계가 분명한 다엽성의 흉막 섬유성 종양으로 진단하였다. 우측 개흉 수술시 종괴는 대부분 유착이 없었으나 $5{\times}4$cm 정도의 횡격막 중앙부와 유경으로 붙어 있었다. 붙어 있는 횡격막과 함께 종괴를 완전히 절제하였다. 종양은 $23.5{\times}13.5{\times}8.0$cm 크기였으며, 병리조직학 진단은 양성 섬유성 종양이었고 함께 절제된 횡격막에는 종양세포가 없었다.

호흡 운동에 의한 내부 장기의 움직임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Organ Motion from Respiration)

  • 김재균;이동한;이동훈;김미숙;조철구;류성렬;양광모;오원용;지영훈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5권4호
    • /
    • pp.179-185
    • /
    • 2004
  • 선형 가속기를 통한 세기 변조절 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GRT, 3D-CRT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및 사이버나이프를 통한 치료와 같은 3차원 방사선 치료에서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종양의 움직임은 실제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관련하여 움직이는 종양에 보다 정확한 방사선량을 조사시키기 위하여 ABC (Active Breathing Control), 호흡동기 방사선 치료 등의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시 호흡에 따른 내부 장기의 움직임 감소 장치를 개발하여 내부 장기 중 횡격막 운동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감소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4개의 벨트로 구성된 움직임 감소 장치를 환자에게 장착시키고, 환자의 복부 위에 작은 진공쿠션(Vaccum cusion)을 놓아 최대한 호흡을 내쉬게 한 후, 벨트로 환자의 횡격막 주위를 묶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횡격막에 움직임 감소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투시영상(fluoroscopy)에 나타난 횡격막의 움직임을 디지털 카메라 동영상 모드로 촬영하였다. 이 파일을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 후 포토샵 6.0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횡격막의 가장 높은 지점이 움직이는 최대점과 최소점을 관찰하여 횡격막 운동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움직임 감소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횡격막 움직임의 범위는 최소 1.14 cm에서 최대 3.14 cm였고, 그 평균값은 2.14 cm였다. 그러나 횡격막에 움직임 감소 장치를 사용한 결과 그 범위는 0.72~l.95 cm로, 평균값은 1.16 cm로 감소하였다. 횡격막 운동은 20~68.4% (평균 44.9%) 감소효과가 있었다. 횡격막 운동의 주기의 경우에는, 움직임 감소 장치를 사용한 결과 호흡 주기의 평균값이 4.4초에서 3.07초로 줄어들어 호흡이 빨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움직임 감소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장기 중 횡격막 움직임의 범위가 감소함과 동시에 CTV-PTV 마진이 크게 줄어드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흉부 또는 복부에 종양을 가진 환자 치료 시 더욱 질 높은 방사선 치료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흉선암 절제술 후 발생한 양측성 횡격막 마비의 치유 -1예 보고- (Treatment of Bilateral Diaphragmatic Paralysis after Resection of Thymic Carcinoma -One case report-)

  • 김재욱;김승우;류지윤;김욱성;장우익;진재용;김민경;김태식;김연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85-990
    • /
    • 2003
  • 양측성 횡격막 마비는 드문 질환으로 외상, 심흉부 수술, 신경근육질병, 경부척추굳음증,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우폐상엽, 심낭, 상대정맥과 무명정맥을 침범한 흉선암의 적출술을 시행한 후 60세 남자 환자에서 양측성 횡격막 마비가 발생하였다. 심한 호흡곤란이 발생하였고, 인공호흡기 이탈이 불가능하였다. 양측 횡격막 주름성형술을 시행하였고, 인공호흡기 이탈 및 누운 자세에서 수면이 가능하게 되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보고하는 바이다.

흉강내 이소성 간 - 1예 보고 - (Intrathoracic Ectopic Liver - A case report -)

  • 유동곤;박종빈;장용진;엄대운;김영기;김종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802-804
    • /
    • 2007
  • 선천성 횡격막 탈장이 동반된 흉강내 이소성 간은 드물지 않게 보고되고 있으나 횡격막 탈장이 동반되지 않은 흉강내 이소성 간은 매우 희귀한 선천성 질환이다. 횡격막 탈장이 동반되지 않은 흉강내 이소성 간을 체험하였기에 증례를 보고한다. 환자는 37세 여자로, 우연히 발견된 폐종양의 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흉부 컴퓨터단층촬영 스캔상 우측 폐하엽에 횡격막에 인접해 있는 폐종양이 확인되었으며, 기관지 유암종을 의심하고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상, 우측 횡격막 중심부에 지름 3.5cm와 2.0 cm정도의 2개의 둥근 종양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종양의 절제를 시행하였다. 병리학적으로 흉강내 이소성 간으로 확진되었고,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횡격막하 후복막강에 발생한 폐격리증 - 1례 보고 - (Infradiaphragmatic Retroperitoneal Pulmonary Sequestration - A Case Report -)

  • 허진;구본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44-247
    • /
    • 2002
  • 횡격막하 후복막강에 발생한 폐격리증은 매우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증상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호발부위 위치상 다른 부신옆 종양들과 감별을 요하며 외과적 절제술로 치료된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횡격막하 후복막강 폐격리증을 1례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갑상선 수술 후 발생한 편측 횡격막 마비 1예 (Unilateral Diaphragmatic Paralysis after Thyroid Surgery)

  • 변종규;이상열;김유진;엄유진;김슬기;손정일;진상욱;전숙;김우식;김주영;이병욱;우정택;김영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4-78
    • /
    • 2014
  • 갑상선 암 진단과 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그 수술 건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이와 관련된 합병증과 부작용을 면밀하게 평가해야 할 필요 역시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갑상선 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의 하나로 횡격막 신경마비(phrenic nerve paralysis)가 있다. 이러한 횡격막신경마비는 대부분 증상이 경미하고 쉽게 호전되어 임상적으로 크게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갑상선 수술 후 갑작스런 호흡곤란이 발생한다면 횡격막 신경마비에 의한 횡격막 마비(diaphragmatic paralysis)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저자들은 최근 갑상선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곤란으로 2년 동안 심각한 호흡곤란을 호소하던 73세 여자환자에서 투시촬영(fluoroscopy) 상 편측으로 상승되고 운동성이 저하된 횡격막을 확인하여 일측성 횡격막신경마비(Unilateral phrenic nerve paralysis)를 확진 하였다. 갑상선수술 후 발생하는 일측 횡경막 신경마비는 임상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수술 합병증이기에 환자는 상당기간 이에 대한 감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리는 횡격막 마비의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심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의 증상 및 병의 경과를 호전 시킬 수 있었다.

피하전이를 일으킨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 (Pulmonary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ssociation with Subcutaneous Metastasis -Surgical experience of one case-)

  • 이해영;조성호;변정훈;김종인;박진경;천봉권;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25-1028
    • /
    • 2004
  •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은 조직학적으로는 혈관내피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나 임상적으로는 전이와 재발을 보이는 매우 드문 악성종양 중의 하나이다. 무증상의 좌하엽 폐암으로 진단받은 29세의 남자에서 좌하엽 폐절제술, 좌상엽 페 쐐기 절제술, 횡격막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좌하엽 폐의 병변에서는 유상피 혈관내피종으로 확진되었으나 좌상엽 폐와 횡격막의 병변은 유상피 혈관내피종이 자연 관해되어 석회화만 남은 것으로 진단되었다. 술 후 10개월과 19개월 두 차례에 걸쳐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으로부터 피하 전이를 일으킨 환자를 수술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횡격막의 원발성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례 보고- (Primary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Diaphragm -One Case Report-)

  • 김대현;김범식;조규석;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2호
    • /
    • pp.118-121
    • /
    • 2003
  • 25세 여자 환자가 우측 하흉부 및 좌측 상복부의 불쾌감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흉부 X-선 및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상 우폐 하엽에 위치하며 횡격막과 접하고있는 4$\times$4$\times$4cm 크기의 둥근 종괴가 관찰되고, 우폐하엽과 우폐 중엽에서 전이성 병변들이 관찰되었나. 시험적 개흉술 결과 우측 횡격막에서 기시한 종괴가 우폐 하엽에 직접 침범되어있었으며. 우폐 하엽과 우폐 중엽의 흉막하에 전이성 병변들이 발견되었다. 종괴에 대한 냉동 절편 조직 검사상 육종으로 진단되어 종괴 기시부의 횡격막 및 종괴에 의해 침범된 부위의 우폐 하엽을 일괄 절제하고 우폐 하엽과 우폐 중엽의 전이성 병변들을 쐐기 절제하였다. 최종 조직 검사상 횡격막의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이었고, 보조적 항암 약물 치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횡경막에서의 발생이 극히 드문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