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소개구리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Genetic Diversity of Rana catesbeiana in Korea based on Mitochondrial ND1/tRNA Sequence Analysis (미토콘드리아 ND1/tRNA 유전자 서열 비교를 통한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 Lee, Ji-Young;Shim, Jae-Han;Joung, In-Si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8 no.6
    • /
    • pp.375-382
    • /
    • 2005
  • The American bullfrog, Rana catesbeiana was imported from Japan for farming for the human consumption in 1970's and introduced populations were a great threat to native habitats in the pond and lake ecosystem.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population of bullfrog has rapidly declined for past year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ra-genetic diversity of R. catesbeiana habitated in Korea. The nucleotide sequences of 1,215bp mitochondrial ND1/tRNA region in bullfrogs sampled from 5 sites in Jeollanamdo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e original sequence of R. catesbeiara reported in Genbank. The nucleotide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North American bullfrog was ranged from 98.7% to 100% based on kimura-2-parameter distance. In addition, bullfrog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lustered into two groups with one including Jangheung and the other including Gwangju populations in the neighbor-joining tree. North American R. catesbeiana was grouped in Jangheung cluster, indicating that there is the very low genetic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North American populations. The maximum parsimony tree in which North American R. catesbeiana was set as an outgroup suggests that Jangheung group represents the introduced population to Korea.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pulation of R. catesbeiana in Korea has not segregated geographically yet, after the introduction.

The Incidence of Abnormalities in Bullfrogs, Rana catesbeiana, and Their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the Yeongsan River System (영산강 수계에서 채집된 황소개구리의 기형 양상 및 체내 중금속 축적)

  • 이두표;고선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53-158
    • /
    • 2001
  • 영산강 수계의 습지생태계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4개 지역을 선정하여 황소개구리 205개체를 채집하여 이들의 외부기형 출현율 및 양상을 조사하고 그들의 체내 조직에 축적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황소개구리의 기형 출현율은 6.8%로 다른 척추동물에서의 자연발생률 3%보다 높았으며, 기형은 모두 앞 또는 뒷발갉에서 나타났다. 유형별로 보면 결손(Ectrodactyly)이 64.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확장(Dilation)이 28.6%, 절단(Truncation) 7.1%의 순이었다. 정상과 기형 개체간에 중금속의 농도를 조직별로 비교해 본 결과 기형개체의 신장에서 Mn은 4배, Zn 은 1.5배, Cu은 7배, Pb는 8배, Cd는 7배 정도 높았다. 또한 기형 개체에서는 이들 원소의 조직분포 패턴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황소개구리는 습지생태계의 모니터링 시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enetic Diversity of Rana catesbiana Captured on various sites in Korea based on mitochondrial ND1 sequence (미토콘드리아 ND1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를 통한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 Lee Ji-Young;Shim Jae-Man;Joung Ins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297-300
    • /
    • 2005
  • 1970년대 식용을 위한 양식을 목적으로 일본에서 수입된 황소개구리가 국내 하천과 호서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었으나, 최근 급속히 그 개체수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북미산 황소개구리의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개체동태군에 대한 유전적 연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지역에서 서식하는 황소개구리를 채집하여 이미 발표된 북미산 황소개구리와 미토콘드리아 ND1/tRNA 유전자 1215bp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북미산과 비교하였을 때 조사한 국내 서식 개체 모두에게 ND1/tRNA 유전자 1개 위치에서 염기변화가 발견되었으나 이는 도입 개체군의 유전자인지 국내 특이변이가 진행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 또한 조사한 개체 일부에서 유전자 염기서열의 6위치에서의 변이가 발견되었으나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는 미국산 황소개구리와의 유전적 차이가 거의 없으며, Kimura-2-parameter 분석결과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 개체 내에서 $98.7\%\~100\%$의 높은 유사성을 보여 종내 유전적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Neighbor-Joining과 Maximum Parsimony 분석 결과, cluster를 이루는 개체군의 차이를 보였으므로 개체들이 분화되어 나온 시점과 위치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장흥, 영암, 고흥의 개체가 국내 도입시기의 개체군에 속하며 광주, 남평 지역의 개체군이 고흥의 한 개체로부터 분화되어 나왔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가 도입 후 지역 특이적 분화가 일어났다고 결정하기는 무리가 있으며, 이와 같이 유전적 유전도가 높은 개체들간의 교배에 따른 유전적유전적 다양성의 감소가 최근에 관찰되는 국내산 황소개구리의 급격한 감소원인들 중의 하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년도) 18,756, 2045(년도) 22,595, 시장점유율 증가로 인한 수출액 증가분 누적(억원) : 2015(년도) 3,411, 2025(년도) 8,847, 2035(년도) 14,433, 2045(년도) 18,005 또한 시나리오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정의한 순편익 누적(Cumulative Net Profit) 변수를 적용하면 현재 연구비 추세 대비 $30\%$ 까지 연구비를 증가 시키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rrow$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

  • PDF

A Study on the Diet Items of American Bullfrog (Lithobates catesbeianus) in Ga-hang Wetland, Korea (가항늪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의 먹이원 분석 연구)

  • Park, Chang-Deuk;Lee, Chang-Woo;Lim, Jeong-Cheol;Yang, Byeong-Gug;Lee, Jeong-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2 no.1
    • /
    • pp.55-65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diet items and predatory behavior of American bullfrog (Lithobates catesbeianus) according to the sex, maturity and season from April to September 2014 at Gahang wetland of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 We examined the stomach contents of L. catesbeianus using a gastrectomy technique and identified the contents to a genus or species. The examination showed that large and heavy individual of L. catesbeianus fed on larger amounts of food.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d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ex and maturity of L. catesbeianus. The main diet item of during the study period was mostly Insecta (average population rate of 65.5%), followed by Crustacea (13.5%) and Gastropoda (7.9%). The most preferred diet item of L. catesbeianus was Muljarus japonicus. Surprisingly, L. catesbeianus also foraged Parus major, Apodemus agrarius, and Crocidura lasiura. Ths findings showed that L. catesbeianus directly disturbed the wetland ecosystem. We expect the results will be the important reference data for checking the impact of L. catesbeianus, which is designated as invasive speci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wetland ecosystem.

Ecological Control of Invasive Alien Species, American Bullfrog (Rana catesbeiana) Using Native Predatory Species (자생종 포식자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에 관한 연구)

  • No, Sun-Ho;Jung, Jin-Seok;You, Young-H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1
    • /
    • pp.54-61
    • /
    • 2017
  • We investigate predation rates of larvae and juveniles of Rana catesbeiana by using six native predatory fishes and six birds to select effective species to ecological control and management of R. catesbeiana that is invasive alien species and affects seriously wetland in Korea. Among freshwater fishes, Pseudobagrus fulvidraco, Silurus asotus and Channa argus ate larvae and juveniles of R. catesbeiana, and prefer the former, however Opsariichthys uncirostris, Monopterus albus and Anguilla japonica didn't eat at all. Six experimental water birds, Cygnus columbianus, Cygnus cygnus, Anas crecca, Aix galericulata, Anas penelope and Anas formosa nerver ate them. We were able to confirm control of R. catesbeiana probability using the native predatory fishes in Korea wetland.

Development of Quantitative Vitellogenin ELISAs for Bullfrog (Rana catesbeiana) used in Endocrine Disrupter Screening (내분비계 장애물질 검색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황소개구리 비텔로제닌 정량법 개발)

  • Lee Sang-Hoon;Kang Yun-Ju;Li Chun-Ri;Kim Andre;Jin Chun-Feng;Chung Kyu-Hyuck;Kim Dong-Kyoo;Park Nam-Gyu;Park Kwang-Sik;Kang Shin-Won;Park Jang-Su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1 no.2 s.53
    • /
    • pp.147-151
    • /
    • 2006
  • 난생 생물의 알 생성유도 단백질인 비텔로제닌(viteILogenin, VTG)을 성숙한 암컷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혈청으로부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 하였으며 정제한 비텔로제닌을 BALB/c mice에 주사하여 폴리크로날 항체를 생산하였고 이것은 protein A column으로 정제 하였다. 이렇게 정제된 폴리크로날 항체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 비탈로제닌 측정용 효소면역측정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측정 범위는 $12{\sim}1,560ng/mL$였다. 또한 이 효소면역측정법을 평가하기 위해 성숙한 수컷 황소개구리를 청정지역과 폐수처리장 하류 하천에서 서식하는 황소개구리 혈액 속의 비텔로제닌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폐수처리장 하류 하천에 서식하는 수컷 황소개구리 비텔로제닌이 청정지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pids Extracted from Bullfrogs (황소개구리에서 추출한 지방의 지방산 조성)

  • 황금택;홍진선;강성국;정순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1 no.2
    • /
    • pp.351-354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tty acid composition in lipids extracted from bullfrogs (Rana catesbeiana Shaw) inhabiting in Korea. Lipid contents in bullfrog legs and bodies were less than 1% (w/w, wet basis)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lipid contents was not observed. Lipids in bullfrog legs consisted of 26~31% (w/w) saturated fatty acids, 16~24%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30~40%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pids in bullfrog bodies consisted of 23~28% saturated fatty acids, 29~44%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16~30%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 major fatty acids in lipids extracted from bullfrogs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Lipids in leg muscles contained 3~8%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6~10% docosahexaenoic acid (DHA). Lipids in bodies had 1~3% EPA and 1~3% DHA.

Sperm Ultrastructure of Rana nigromaculata and Rana catesbeiana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와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정자의 미세구조)

  • Lee, Jung-Hun;Park, Ki-Ryong
    • Applied Microscopy
    • /
    • v.35 no.4
    • /
    • pp.32-41
    • /
    • 2005
  • The sperm morphology of two Korean frogs, Rana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Ranidae) was studied with the light microscope,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Sperm heads of the R.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were long-cylinder shapes. In the total length of R. nigromaculata sperm ($51.2{\mu}m$) was longer than those of R. catesbeiana ($44.6{\mu}m$). Both R.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had the long head and principal piece, and short middle piece, but the neck was undeveloped. The axonemal structures contain a 9+9+2 arrangement of microtubules.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middle piece have less than mammalian sperm, which irregular surrounded the axone of the middle piece. In conclusion, R.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shared many similar features in sperm heads, neck, middle piece, and a site of mitochondria and axial structure, and it suggests that these species should be closely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