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황룡사지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고대목탑 낙수받이 고찰 (A Study on the 'Naksubaji(horizontal gutter)'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Korea)

  • 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4-39
    • /
    • 2009
  • 목탑의 기단부는 기단토와 이를 둘러싸는 외장, 계단, 그리고 기타 시설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만들어진 시기, 장소, 조영세력에 따라 그 외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한 백제, 신라~통일신라의 목탑지에서는 고구려의 목탑지에서 확인된 물받이시설, 중국 건축물의 산수(散水), 일본 목탑지에서 확인된 이누바시리(犬走り)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지붕에서 떨어지는 우수로부터 기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서까래는 기단선 이상으로 내밀어져야 하며 이 때 떨어지는 낙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시설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이 시설을 낙수받이로 명명하였다. 기 발굴조사된 5~7세기의 한국, 중국, 일본 목탑지 검토를 통해 6세기에 조영된 백제 목탑지와 7세기에 조영된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에서 낙수받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의 경우 6세기에 조영된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으며, 특히 왕흥사지 목탑지의 경우 기단토의 굴광 범위가 당초 백제시대의 기단으로 보이는 부분까지 실시되어 일본 초기 목탑지에서 확인된 경우와 유사하다. 목탑지 조영에는 고려척이 사용되었고 서까래내밀기를 검토하기 위해 평면을 복원한 결과 기단부 길이: 일층탑신 길이:어칸:퇴간의 비례는 군수리사지와 왕흥사지 목탑지가 4.9:2.7:1:0.9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왕흥사지 목탑지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군수리사지 목탑지와 왕흥사지 목탑지의 주망관계는 어칸 2.49m, 퇴칸 2.14m로 동일하게 나타나 당시 목탑 조영에 있어서 일정한 척도 적용 및 계획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세기에 들어서면서 용정리사지, 제석사지, 미륵사지 등 전사기는 다른 대형 기단부를 가진 목탑지가 출현하면서 더 이상 낙수받이가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의 경우 영묘사지,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묘사지 목탑지의 경우 폭 1.8m 할석렬이, 황룡사지 목탑지는 제2탑구석의 범위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는 하층기단 지대석의 설치 형상이 능산리사지 목탑지와 유사함을 검토하여 낙수받이임을 확인하였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는 그 조영 자체가 7세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어 초기에는 비교적 목탑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표현하였지만 사천왕사지 목탑지 조영 시점을 경계로 이러한 낙수받이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영향 관계 (The Manufacturing Time and Influence of the Buddhist Metal Artifacts Excavated from Heungjeon-ri Temple Site)

  • 이용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1호
    • /
    • pp.46-61
    • /
    • 2023
  • 삼척 흥전리사지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시·발굴조사를 통해 서원인 예불영역과 동원인 생활영역으로 나누어진 다원식 가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흥전리사지의 시·발굴에서 금동투조장식과 청동정병, 금동사자진병향로의 사자 등 비교적 다양한 불교공예품이 출토되었다. 흥전리사지의 서원 금당지 출토 금동투조장식은 불전 장엄에 사용했던 금동번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발견된 통일신라의 금동투조장식 중 가장 수준 높은 예로 왕경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동원 출토 금동사자진병향로의 사자와 청동정병은 생활영역에서 출토된 공양구로 행향 등의 의례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사자진병향로는 왕경보다는 지방에서 출토된 것들이 제작시기가 앞서고 있어 지방에서 왕경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이고, 청동정병은 석굴암 범천의 지물로도 표현되고 있어 8세기 후반 이전 왕경에 군지형 정병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출토품이 없어 영향관계는 추후에 밝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청동대접과 청동합은 왕경의 월지와 황룡사지, 인왕동사지 출토품과 유사하여 왕경의 청동기명이 지방으로 확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청동인장은 흥전리사지 이외의 지방에서도 출토되었지만, 황룡사지 출토품과 형식과 인장의 서체 등이 동일하여 『삼국사기』 문무왕조의 기록처럼 왕경에서 제작하여 보낸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인장의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은 흥전리사지가 당시 승단조직과 관련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은 '국통(國統)'명 비편 등의 내용으로 보아 비의 주인공이었던 선종 승려가 선종 사찰에서 9세기 전반에서 중반 경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동투조장식과 금동사자진병향로의 사자, '범웅관아지인'의 청동인장 등의 제작수준으로 보아 흥전리사지의 사격은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보이며, 9세기 전반에서 중반경 통일신라의 왕경과 지방의 공예품이 일방적인 영향이 아니라 양방향의 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황룡사지 출토 금동난간편 검토 (Research of Geumdongnanganpyeon excavated from Hwangyongsa temple site)

  • 김동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6호
    • /
    • pp.47-54
    • /
    • 2014
  • Hwangrong Temple was the center of the Buddhist culture of Silla dynasty. It was built in the 14th year of King Jinheung in Silla dynasty, and completely burnt out when the Mongol Army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of Koryeo dynasty. 8-year excavation of the site from 1976 as part of the Gyeongju Tourism Comprehensive Plan revealed many things about the Hwangrongsaji. Recently, a book introduced 'Geumdongnanganpyeon' among relics found in the site, but omitted in the Excavation Report published at that time. Though 'Palgak Geumdongnanganpyeon' has numerical signs 六, 七(six, seven), there was no clear explanation of the signs. Thus, this paper examines it. We can guess, through the remaining iron fragment, that the side of Geumdongnanganpyeon is octagonal, and the width of the side S13 fragment belongs to is about 400mm. The overall form of the face is similar to the Geumdong Palgaktop stored in the Museum of Dongguk University, but, in detail, it is similar to the Zhuanlunzang Pavilion of Longxing Temple and the Sakyamuni Pagoda of Fogong Temple in China. And, numerical signs can be understand to designate the numbers of story and face. The reason why the number might indicate the number of story is that fragments which are presumed to be used for the same purpose contain different measurement values, and the basis of the concept of face can be found in efficiency of manufacturing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artifacts of the time. The two aspects mentioned above cannot be confirmed because of not sufficient relics and related researches. But, the overall form may have been multi-story tower of at least two stories. If more studies in various fields are don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original form will be recovered more accurately.

황룡사 중건가람배치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of the 2nd construction in Hwangnyongsa Buddhist Temple Site)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4호
    • /
    • pp.81-90
    • /
    • 2014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layout in Hwangnyoungsa buddhist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research paper and texts related to layout.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in 1st construction period(553~569) of Hwangnyoungsa, there were trisection spaces with one main hall and two corridors in inner part and then in 2nd period(584~645), unified one. But actually trisection spaces had been maintained until the middle part of 8th century. And in each space there was the main hall with large yard. That is the 2nd period layout of Hwangnyoungsa. For the attainment this result, each building remains are judged under duplicated situation which one was the previous and next by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condition and special features of foundation. Although the meaning of trisection system of Hwangnyoungsa is similar with the layout of ancient palace, it could be said to derive from accumulation excavation research in Silla's archeological site and such studies.

황룡사 서금당 전축기단 연구 (A Study on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ngsa temple site)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4호
    • /
    • pp.55-64
    • /
    • 2015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rchitectural historical meaning of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ungsa buddhist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and comparing with other platforms of Silla remains. Mass and height of the building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in a buddhist temple site, this is applicable in Hwangnyongsa. So in case of a rank equal to or lower buildings than the west hall, those of platforms were built of brick-constructed. As stone relics, jidaeseoks are very narrow, I think that wooden pagoda and main hall's platform were built of brick in first construction period. West hall's platform was built at the late 6th~the mid of 7th century, these brick-remains were considered as a quite earlier construction period relics. Because in west hall there is no jidaeseok under bricks, and all bricks relics have a rectangular shape.

황룡사 답도 연구 (A study on the Main-path Remains in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3호
    • /
    • pp.63-70
    • /
    • 2016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 main-path remains in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and researching relics related to the path in the ancient temple site. Hwngnyongsa temple, there were three type's paved footway, straight path to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layout, outside path around the main buildings and the front square of the lecture hall. These remains were expected that installed for some purposes, such as marches, touring, sort of a Buddhist ceremony been performed at the time of Silla. Straight path shows there were two rows of the main access inside the roofed corridor. A row consisted of the 2~3 pieces processed stone(Jangdaeseok) altogether with 92cm width and combined with square stone and stepping stone on the end of the road. It is regarded as very characteristic form and one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Hwangnyongsa temple in Unified Silla period.

황룡사(皇龍寺) 구층목탑지(九層木塔址) 사리공(舍利孔) 출토(出土) 금동팔각사리소탑(金銅八角舍利小塔)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of the Sarira Reliquary from the Pagoda of Hwangryong-sa Temple Site)

  • 박학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4권
    • /
    • pp.17-21
    • /
    • 2003
  • 황룡사지 9층목탑지 사리공 출토 금동팔각사리소탑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X-선 조사를 통해 옥개 방사상으로 문양이 존재하고 있음을 새롭게 밝혀졌다. 도금층은 아말감도금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하나로 조성되기 전에 각각을 먼저 도금하였다. 결실부위를 복원하고 받침대와 지지대를 만들어서 기단부, 상판, 탑신, 옥개의 순으로 조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