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성시간

검색결과 4,308건 처리시간 0.029초

목화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로 형질 전환된 현삼의 내병성 특성 (Pathogene Resistance of cotton GST cDNA in Transgenic Scrophularia buergeriana Misrule)

  • 강원희;임정대;이성호;유창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97-304
    • /
    • 2001
  • 현삼의 기내배양에서 TDZ처리가 비교적 재분화에 효율적이었고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발하기 위하여 선발표지 유전자로 사용되는 NPTII gene이 항생제 kanamycin에 대한 저항성은 50 mg/L가 적당하였다. 선발배지에서 자란 현삼 식물체에서 DNA를 추출하여 PCR 분석을 통하여 특정 유전자 Gh-5 gene을 검정한 결과 형질전환되지 않은 식물체에서는 볼수가 없는 988 bp의 band가 형질전환된 식물체에서는 관찰되어 GST 유전자가 현삼의 염색체 안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효율 증진을 위하여 선발과정에서 암상태를 30일까지 유지할 경우 높은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처리는 오히려 형질전환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5).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GST의 활성이 형질전환 되지 않은 식물체의 2배로 나타났고 유도체의 적정 처리 농도는 50$\mu$M이며 유도체 처리 시간에 따라서는 12시간까지는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활성이 저하됨이 확인되었다. Fungus 피검균인 Asperigillus awamori에서 6, 12시간 처리 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그 이상의 시간처리에서는 명확한 균사 억제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특히 12시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Cladosporium herbarum에서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활성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6시간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피검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는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6, 12시간 처리에서 비슷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다. 박테리아 피검균 Bacillus subtillis에서는 50$\mu$M 이하의 유도체 처리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발아대두 청국장의 발효 중 미생물과 효소활성도의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 오훈일;엄상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6-62
    • /
    • 2008
  • 대두를 $25^{\circ}C$에서 48시간 발아시킨 콩을 원료로 볏짚, Bacillus natto, B. natto와 Aspergillus oryzae 혼합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과 비발아콩 볏짚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중 미생물 및 효소활성도 변화를 조사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4종류의 청국장 모두 발효가 진행되면서 pH가 서서히 증가하여 최대 pH를 보인 이후 다시 감소하여 발효 72시간에는 비발아콩 볏짚 청국장>발아콩 볏짚 청국장>혼합균주를 이용한 발아콩 청국장>B.natto를 이용한 발아콩 청국장 순으로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청국장 발효 중 미생물의 변화는 세균의 경우 모든 청국장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12시간에 $10^7-10^8$ CFU/g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발효시간에 따라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곰팡이 수는 B. natto를 접종한 발아콩 청국장을 제외하고는 발효 48-60시간에 $10^8$ CFU/g로 최대값을 나타낸 이후 감소하였으며, B. natto를 접종한 청국장은 발효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발효 72시간에 $10^8$ CFU/g을 나타내었다. Protease활성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acidic과 neutral protease 활성 모두 증가하였으며 neutral protease의 활성도가 acidic protease에 비해 높았다. 이는 청국장 발효과정 중 neutral protease의 최적 활성 pH인 7.0 부근으로 청국장의 pH가 변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alpha}$-Amylase 활성도의 경우 혼합균주를 이용한 발아콩 청국장을 제외하고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beta}$-amylase 활성도는 혼합균주를 이용한 발아콩 청국장을 제외한 다른 3 종류의 청국장에서 발효 12시간에 최대활성을 나나타낸 이후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냄새와 향기에 있어서 비발아콩 볏짚 청국장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기호도는 B. natto와 A. oryzae를 이용한 발아콩 청국장과 비발아콩 볏짚 청국장이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찔레나무 열매 젖산 발효물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 양은영;김명현;한영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375-381
    • /
    • 2022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발효물을 제조하여 0, 24, 48, 72시간 동안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찔레나무 열매 발효물은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pH는 낮아졌고, 당도는 차이가 없었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24시간이 8.59 log CFU/mL로 가장 높았고,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4.85 mg GAE/g, 6.74 mg RE/g로 발효 24시간이 가장 높았다. DPPH 및ABTS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 모두 발효 24시간이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와 α-amylase 저해 활성의 결과,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찔레나무 열매를 젖산 발효하면 발효전보다 생리 활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특히 24시간 발효할 경우 활성이 가장 높아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extracts from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 허정원;;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4-84
    • /
    • 2018
  • 인공재배 매실나무겨우살이의 의약 화장품의 소재 및 산업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80% 에탄올 및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PM, 동결건조) 및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QM, 열풍건조, $30^{\circ}C$, 7day)의 80% 에탄올,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의 경우 100 ppm의 농도에서 PM과 QM 모두 5분이 경과 하였을 때 PM은 88.37%, QM은 87.69%로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농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저해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PM 80% 에탄올 추출물은 5분이 경과하였을 때 2,500ppm이 92.08%로 최대값을 보여주었고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해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5,000ppm은 5분이 경과하였을 때 66.38%로 최소값을 나타낸 반면, 20분까지 저해활성이 증가하였고 10분이 경과한 이후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1,000ppm보다 높은 저해효과를 보여 주었다. QM 80% 에탄올 추출물은 5분이 경과하였을 때 1,000ppm이 88.14%로 가장 높았고 5,000ppm은 63.49%로 가장 낮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15분까지 1,000ppm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나 꾸준히 감소한 반면, 2,500ppm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저해활성을 보여주어 15분이 경과한 이후로 2,500ppm의 저해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5분이 경과하였을 때 2,500ppm은 70.27%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5,000ppm은 30.09%로 가장 낮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물 추출물의 경우 겨우살이의 농도가 낮을수록 더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8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2,500ppm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의약 화장품의 소재 및 산업화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홍모기(Cufexpipienspoiffens)의 난성숙 과정중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from the Mosquito, Culex pipiens pallens)

  • 임태진;이승훈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66-472
    • /
    • 1994
  • Culexpfpfens pollens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의 연구를 위한 적정 분석 조건과 우화 전후. 시간 경과에 따른 superoxide dismutase 활성 경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C. pipiens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부화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우화 후 흡혈 자극에 의해서 급격하게 증가한다 흡혈 후 36시간이 경과했을 때. 최대의 논성도를 보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기관별 분석에서 흡혈 후 가장 높은 활성 증가는 중장에서 일어나고, 머리 흥부. 지꼴체 및 난소에서도 활성의 증가가 나타났다. 흡혈 전에는 2개의 동위효소(SOD-1, soD-2)가 존재하였으나. 흡혈후 36시간된 성체에서는 3개의 동위효소 밴드가 보이는데, 머리에서는 SOD-1만이 나타나고, 가슴에서는 SOD-2. 지방체와 난소에서는 SOD-1과 SOD-2이 존재하였고. 중장에서는 SOD-3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흡혈 후 나타나는 새로운 동위효소는 중장에서 합성됨을 알 수 있다.

  • PDF

흑진주벼 미강으로부터 생리기능성 물질의 탐색 및 추출조건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Oryza sativa L.))

  • 이국영;김재호;손종록;이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6-301
    • /
    • 2001
  • 혹진주벼 미강으로부터 생리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이용한 생리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흑진주벼 미강에 함유되어있는 유용물질들을 추출한 후 이들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고 미강 중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ACE저해활성물질과 혈전용해활성물질, 전자공여물질과 tyrosinase 저해물질들의 추출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ACE 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액에서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hexane 추출액에서 높았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흑진주벼 미강에 물을 1 : 20으로 첨가하여 2$0^{\circ}C$ 에서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ACE 저해활성물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물을 1 : 10으로 하여 35$^{\circ}C$에서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혈전용해활성물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전자공여물질은 20배의 hexane으로 2$0^{\circ}C$에서 18시간, tyrosinase 저해제는 10배의 물로 2$0^{\circ}C$에서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많이 용출 되었다.

  • PDF

대두에서 오존처리에 의한 몇가지 효소의 활성도 변화 (Ozone-induced Alterations in the Activities of Enzymes in Soybean Leaves)

  • 강상재;박우철;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9-264
    • /
    • 1999
  • 오존의 처리에 의한 식물체의 항산화 제거 시스템에 관여하는 항산화효소의 활성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저분자(低分子)의 항산화물질(抗酸化物質)인 아스코브산은 은하콩과 삼남콩 공히 오존의 노출시간(露出時間)이 길어질수록 서서히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환원형(還元形) 글루타치온의 함량변화(含量變化)는 은하콩에서는 거의 증가가 없었으나 삼남콩의 경우는 오존처리 1시간 이후(以後)부터 상당한 증가(增加)가 있었다.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은하콩에서는 오존처리 초기(初期)부터 서서히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삼남콩의 경우는 처리 4시간 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Glutathione reductase활성도(活性度)는 은하콩은 오존처리 3시간까지는 서서히 증가(增加)하다가 그 이후(以後)에 급격(急激)하게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삼남콩은 활성증가(活性增加)가 뚜렷하지 않았다. Dehydroascorbate reductase의 활성도(活性度)는 두 품종(品種) 공히 오존처리시 대조구(對照區)보다 활성(活性)이 낮게 나타났으며 처리 3시간 이후(以後)부터 활성(活性)이 크게 감소(減少)하였다. Monodehydrosascorbate reductase는 두 품종(品種) 공히 처리초기부터 활성증가(活性增加)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삼남콩의 경우에는 2시간 처리(處理)시 급격(急激)한 증가(增加)를 보이다가 일정(一定)하게 유지(維持)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은하콩의 Ascorbate peroxidase 동위효소(同位酵素)의 패턴변화는 0.2ppm의 오존의 처리(處理)시 5개의 활성 밴드가 확인되었고 Rf 0.18위치의 밴드가 새로 형성되었으며 Rf 0.38의 밴드가 약해지며 0.48위치의 활성 밴드가 강하게 나타났다.

  • PDF

특정용제 Target 형 활성금속첨착 활성탄소섬유의 개발 (Development of Metal Loaded Activated Carbon Fiber for Eliminating Targeted VOCs Originated from Solvent)

  • 최강용;김광수;김태원;전민기;박해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1-37
    • /
    • 2013
  • 기존 흡착제들보다 우수한 흡착성능을 확보하고, 특히 특정한 용제에 대한 흡착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1,1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소섬유를 기본흡착제로 적용하였고, 여기에 활성금속을 첨착시켜 흡착성능과 선택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활성금속은 screening 연구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Cu, Cr을 선정하였으며, 활성금속첨착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변수는 제조온도, 제조시간, 활성금속의 종류이었다. 물성측정 및 흡착반응실험을 통하여 금속을 $100^{\circ}C$에서 5시간 동안 첨착하였을 경우 acetone gas 흡착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존 활성탄소섬유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흡착성능을 확인하였다. 한편, 활성금속첨착 활성탄소섬유의 확산 및 흡착에 필요한 최소 접촉시간은 최소한 0.5초 이상은 유지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메밀과 콩 추출물들의 생리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Various Extracts from Danmemil and Legumes)

  • 김동희;이국영;김나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7-352
    • /
    • 2003
  • 단메밀과 콩 등으로부터 생리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건강식품을 개발하고자 먼저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 extracts를 추출한 후 엔지오텐신 전환효소 (ACE) 저해활성과 항산화활성 및 SOD-유사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단메밀의 ACE저해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53%와 58%로 에탄을 추출물보다 더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에탄을 추출물에서 제일 높은 72%를 보였다. 검정종 1호와 태광콩의 ACE 저해 활성과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 높았으나 SOD-유사활성은 에탄을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단메밀 중의 ACE 저해물질과 tyrosinase 저해 물질들은 20배의 증류수로 35$^{\circ}C$에서 각각 24시간, 36시간 처리했을 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전자공여능을 나타내는 항산화물질은 5$0^{\circ}C$에서 18시간 처리했을 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검정콩 1호의 ACE 저해물질은 2$0^{\circ}C$, 24시간에서 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나 그 밖의 기능성 물질들은 2$0^{\circ}C$에서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폐 활성슬러지의 화학적 개질을 통한 비소의 생물흡착 특성 (Biosorption Characteristics of Arsenate by Chemically Modified Activated Sludge)

  • 이상민;김동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5호
    • /
    • pp.579-585
    • /
    • 2005
  •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생물흡착제 제조를 위해 폐 활성슬러지를 사용하여 생물흡착제로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생물흡착제로 사용된 폐 활성슬러지는 비소 흡착능 향상을 위해 각각 9시간과 24시간 메틸화(methylation) 되었고 흡착된 비소는 24시간 메틸화한 활성슬러지가 9시간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24시간 메틸화한 활성슬러지의 비비소흡착량(specific As adsorption)은 0.06mmol As(V)/g biomass이고 용액의 pH가 비소에 미치는 영향은 생물흡착제로 사용된 활성슬러지가 메틸화된 후에도 지속되었다. 비소 제거에 대한 pH 영향은 5, 7, 9 세가지 경우에 대해서 조사되었고 이중 pH 5일때 비비소흡착량(specific As adsorption)이 pH 9인 경우보다 3배 큰 비흡착량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