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동보조서비스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8초

장애인활동보조인의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of Disabled People's Aid and Service Quality)

  • 손명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2
    • /
    • 2018
  • 최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인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이용인을 보조하고 있는 활동보조인의 근로조건에 관한 연구와 함께 이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과의 연관성이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기에, 기존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이라는 개념에 근무조건이 하나의 요소로 적용을 시켰으나 구체적으로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근로조건이 이 서비스의 질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떠한 근로 조건이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지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추론하여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원활한 활동과 함께 보다 더 성장된 질적인 서비스가 진행 될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 PDF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An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Disabled Persons upon the Burdens of Raising a Family - Focusing on Family Resilience Control Effect -)

  • 신준옥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95-117
    • /
    • 2014
  •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신체활동지원, 가사활동지원, 사회활동지원) 이용이 가족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활동보조서비스와 가족 부양부담감 간에 가족탄력성(가족신념체계, 가족응집력, 상호작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여 장애인복지의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기도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지역으로 나누어서 2013년 4월 1일~5월 15일까지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는 1급, 2급 장애인가족 부양자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기초로 한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보조서비스 중 신체활동지원을 이용하는 경우 장애인가족의 부양부담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보조서비스가 가족부양부담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중 가족신념체계와 가족응집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동보조서비스 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AS) : Outcomes and Influential Factors)

  • 이익섭;김경미;김동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117-14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의 성과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적 적용가능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 10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로부터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201명에게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첫째,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향상되었고, 둘째, 심리적 자기의존도가 증가하고,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지역사회참여 및 취업이 증가하고,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활동보조서비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심리적 자기의존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1회 평균이용시간이 길수록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참여의 경우, 연령이 낮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경우, 장애지속기간이 길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취업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를 국가적으로 제도화할 수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이후 삶의 변화에 대한 연구: 신체적, 심리적, 사회관계적 측면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before and after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 김경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253-274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이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기 이전과 이후에 삶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의 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실시한 활동보조 서비스를 이용한 장애인 9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가지고 직접 면접에 기초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한 이후 장애인의 외출의 빈도가 증가하고, 외출 장소가 다변화되는 등 행동영역이 넓어지고, 신체적 활동의 증가는 신체적인 기능이 향상을 가져왔다.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장애인이 본인의 삶과 환경에 대해 행사하는 통제력이 증대되고, 본인들의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과 함께 자신감이 증대되었다. 사회적인 관계 측면에서는 대인관계가 향상되고, 가족과의 관계가 이전의 의존적인 관계에서 수평적, 독립적 관계로 변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장애인의 삶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온 활동보조인의 확대를 제언한다.

  • PDF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에 관한 에이블뉴스 보도 내용분석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the Ablenews Reports o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Conflicts)

  • 김문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97-125
    • /
    • 2014
  • 연구의 목적은 장애뉴스에 특화된 인터넷 독립언론매체 에이블뉴스의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 보도에 나타난 주요 주제를 분석하고, 활동보조서비스 갈등에 관한 보도에 내재된 관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에이블뉴스의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 관련 기사들을 자료로 하여 귀납적 질적 내용분석, 인과요소와 책임귀인분석, 장애패러다임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결과 에이블뉴스는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갈등을 충실히 보도하고 있었으나 책임귀인 분석에 의하면 갈등의 원인과 해결을 장애인이용자와 활동보조인에게 귀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장애패러다임 분석결과 재활모델의 관점을 반영한 텍스트들이 적지 않아 자립생활모델과 밀접한 활동보조서비스 갈등을 보도하면서 독자들에게 재활모델의 관점을 전달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에 특화된 독립언론매체로서 보다 전문적인 보도를 위해 전문기자의 활용, 외부 전문기고자의 활용, 편집회의를 통한 기사 게재 등을 제안하였다.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by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on the Service Quality)

  • 송기영;안원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3호
    • /
    • pp.31-4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자체, 근무환경, 보상, 업무량, 사회적 인식으로 구성된 직무만족에 대한 변인을 측정하여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북부, 경기 북부 지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노인복지센터, 장애인종합복지관, 복지재단 등을 통하여 장애인활동지원기관 소속 활동보조인 22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최종 218명의 설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결과로는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인구사회학적 및 일반적 특성, 직무만족, 서비스 질의 수준,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의 상관관계,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의 하위변수인 직무자체, 보상이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장애인 활동보조인이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과 장애인활동보조인의 보상과 관련하여 급여체계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구인·구직을 위한 비대면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Job Matching Platform for Personal Assistant of the Disabled)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5-80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보조인 구인·구직에 관련된 인력 및 채용정보를 각각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구인자와 구직자가 결정되어 주기적 서비스뿐만 아니라 일회성 서비스의 매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비대면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구인·구직 방식은 수요자가 활동서비스를 요청하면 제공기관 담당자가 기관소속 활동보조인을 배정하는 일방적 방향의 매칭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구인·구직자의 선택권은 매우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구인·구직 플랫폼은 사용자를 구분하여 장애인 또는 장애인가족(구인자)과 장애인 활동보조인(구직자) 인터페이스로 분리되어 로그인이 가능하다. 각자의 조건에 맞는 구인과 구직을 검색하여 채팅기능을 통해 실시간 양방향 의사정합 방식의 매칭이 이루어지고, 활동보조서비스가 완료되면 구인·구직자는 각자의 입장에서 서비스 후기 및 평가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 구인·구직자의 매칭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실시간 양방향 의사정합 방식의 매칭 플랫폼은 단기 또는 일회성 활동보조가 필요할 때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장애인 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및 맞춤제작 적용을 통한 보조기구 서비스 지원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rvice Delivery from Rental, Modification and Customized the Applications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근민;이진현;김동옥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25-132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특성, 환경, 활동 영역 및 보조기구를 고려하여 기존의 공적급여 전달체계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장애인보조기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에 정부주도의 장애인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맞춤제작을 통한 보조공학 전달체계 서비스의 주요한 부분들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사례 연구로 2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선된 절차 하에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장벽들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보조기구 무상교부의 절차와 다른 보다 전문적인 상담, 평가 및 회의 등의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요구를 충족시킨 후 그들의 활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는 상용화된 보조기구를 지원하기 전에 전문기관의 여러 가지 보조기구를 대여하여 사용하게 한 후 대상자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지원되게 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환경을 고려한 보조기구를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그 결과 장애에 적합한 보조기구의 사용은 보조기구의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활동범위는 증가하였고, 신체적 피로 및 보호자의 의존도를 경감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자가 제한적이어서 과학적으로 효과를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전문기관의 보조기구 서비스 전달체계를 통해 더욱 다양한 사례의 수집으로 그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서비스 대상자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 활동매뉴얼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n Operating Manual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in the Public Libraries)

  • 안인자;박미영;김혜주;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148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지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매뉴얼을 개발하여 자원봉사 활동의 전문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기 시도되었다.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와 담당자와 이용자와의 면담, 전문가 간담회 등을 통하여 가장 수요가 많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매뉴얼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실질적인 장애인 서비스 자원봉사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대면낭독, 입력봉사, 도서관 비방문자 서비스, 이동보조, 보조공학기 서비스의 5개 분야를 선정하여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체적인 활동 매뉴얼 내용을 제시하였다. 5개자원봉사의 활동분야, 장애 유형, 활동 목적, 세부 활동 내용 및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활동내용의 구성도와 구성요소의 정의를 소개하였고, 구성요소의 기술사례를 대면낭독에 적용하여 활동 매뉴얼의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