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 불편감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5초

암 환자의 질병.치료관련 요인에 따른 불편감과 영적안녕에 관한 연구 (Symptom Di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in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to Illness and Treatment)

  • 배수현;박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7-46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symptom di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in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cancer diagnosis, metastasis, treatment stage, number of hospitalizations and treatment modality. Method: The participants, 285 patients being treated in one of ten general hospitals either as in- or out-patients, completed the McCorkle and Young(1978) Symptom Distress Scale translated and adapted by Uhm(1986) and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by Paloutzian and Ellison(1982) translated by Choi(1990).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ne 19 to September 30, 2006. Results: For symptom di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cancer diagnosis(p=.018), metastasis(p=.000), treatment stage(p=.000), number of hospitalizations(p=.000), and treatment modality(p=.002). For spiritual well-being,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r cancer diagnosis(p=.002). Patients with ovarian/uterine cancer had the lowest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 For patients with cancer, symptom di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illness and treatment factors, in particular, stage of illness, while for spiritual well-being, patients with uterine ovarian cancer had the lowest spiritual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decrease symptom distress in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stage and to promote spiritual well-being, particularly in women with ovarian/uterine cancer.

  • PDF

비침습적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불편감 연구 (Undergoing Non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 신현자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9-8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scribe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critically ill patients undergoing noninvasive ventilation(NIV). Method: Open-ended ques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patients using NIV. Considering the outcomes of the interviews, literature, and experts'opinion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wenty patients in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answered the questions. Results: Through open-ended question interviews and survey, the patients using NIV reported feeling heavy, impotent feeling, pain, loss in feeling, loss in communication, and lack of sleep as physical distress and a loss in sense of time, pain, anxiety, mind of desiring to die, worry about family, and a sense of burden for medical-cure expenses as psychosocial distress. Conclusion: Critically ill patients undergoing NIV experience physical and psychosocial distress to artificial respiratory ventilation treatment.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with a large sample for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

  • PDF

석고붕대.견인환자의 불편감과 우울과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mfort and Depression of the Patients with Cast or Traction)

  • 정여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1-182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diacomfort. of patients with cast or traction. 112 parients were selected from several hospitals in Jeon-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 26th. to March, 2nd. of 1996 using survey interview designed by the investigator. Data analysis include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epression score and the discomfort score were positively correlated(r=.3654, P=.0001). 2. The result shows that the score of ADLs(activites of daily living) and the score of discomfort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activity r=-.1980, p=.0363 ; eating r=-3483, p=0002 ; bathroom r=-.4207, p=.0001 ; wearing r=-.4602 p=.0001 ; bathing r=-.3489, p=.0002).

  • PDF

50대 이상의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감 및 자살사고와 영양섭취에 관한 융합연구 :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 자료 이용하여 (Convergence on the related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nutrient intakes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

  • 황효정;최연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7-36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50-60대 골관절염 환자에서 우울감 및 자살사고 위험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영양소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의사로부터 골관절염 진단을 받은 4,112명을 분석하였다.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에 골관절염이 없는 경우에 비해 불안 및 우울 수준, 통증 및 불편감 수준, 2주 이상 연속 우울감 경험률, 1년간 자살 생각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일일 평균 영양소 섭취 차이에서 단백질, 지방, n-3계 지방산, n-6계 지방산, 칼슘,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나이아신 섭취량이 공통적으로 정상군에서 각각 골관절염과 우울감 및 자살사고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골관절염 환자의 정신적 건강과 추후 환자 건강 관리 향상을 위한 융합적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urning Mouth Syndrome)

  • Jin-Woo Chung;Ki-Yong Hyun;Sung-Woo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2호
    • /
    • pp.7-23
    • /
    • 1994
  •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객관적 징후없이 구강점막에 작열감을 나타내는 만성동통장애이다. 다양한 원인요소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강내 기능이상의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적 관찰과 원인요소의 분석등이 계속 연구 조사되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는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증상을 호소하는 112명의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자,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해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에 관한 설문조사 및 구강검사와 혈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점도계를 사용하여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자극이 전타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주로 페경기 전후의 여성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호발부위는 혀, 치주 및 치조점막, 구개, 협점막의 순이었다. 2.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에게서 대조군 비해 구강건조감, 미각 및 수면장애, 빈혈, 소화기 장애, 두통과 기타 다른 신체불편감의 호소 등이 더 많이 나타났다. 3. 혈액학적 검사결과,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중의 26%와 12%에서 각각 혈중 엽산농도와 철분농도의 저하를 나타냇다. 4. 자극시 분비된 전타액의 점도는 40대와 50대이상의 연령군에서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높았다.(p<0.01). 5.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군의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각 증상차원 및 전체지표의 T점수의 평균치는 정상범위내에 있었으며, 신체화(SOD)와 우울 (DEP)차원의 평균치가 가장 높았다.

  • PDF

음악요법이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시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of Patients who Take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Test)

  • 전병규;여진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89-301
    • /
    • 2011
  •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로 인한 불안정도와 검사시 불편감에 미치는 음악요법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설계의 유사실험이다. "음악요법을 받은 군은 음악요법을 받지 않는 군보다 검사 중 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음악요법 실시 후 실험군의 불안점수가 대조군의 불안점수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어 채택되었다. "음악요법을 받은 군은 음악요법을 받지 않는 군보다 검사 후 활력징후가 낮을 것이다"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지만, 맥박에서는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 부분적으로 채택 되었다. "음악요법을 받은군은 음악요법을 받지 않는 군보다 주간적 불편감이 낮을 것이다"는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주관적인 불편감의 하부요인 중 긴장감 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동통, 어지러움, 공포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음악요법은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중 환자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대체검사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구취 환자의 심리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al Malodor Patients)

  • 이승렬;김형석;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3호
    • /
    • pp.225-241
    • /
    • 2001
  • 구취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 감각은 다양한 심리학적 요소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취 환자의 심리학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취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446명과 일반적인 치과 치료를 위하여 내원한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 구취 설문검사, 구취 측정 검사를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성 구취 환자와 여성 구취 환자의 연령분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남성에서는 20대, 30대, 40대에 고르게 분포한 반면, 여성에서는 20대와 30대에 집중되어 분포하였다. 2. 구취의 인식 유형은 남녀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구취 인식 유형 중 타인에 의한 지적이나 타인의 행동으로 인한 추측 없이 스스로 구취를 인지하는 유형은 여성 구취 환자에서만 관찰되었다. 3. 구취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강박증, 불안, 적대감, 전체심도지수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4. 여성 구취 환자는 남성 구취 환자에 비하여 강박증(p<0.05), 불안 (p<0.05), 편집증 (p<0.001)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5. 남성 구취 환자에서는 표출증상합계를 (p<0.05) 제외한 모든 간이정신진단검사 항목에서 고농도 VSC군과 저농도 VSC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성 구취 환자에서는 저농도 VSC군이 신체화를 제외한 모든 간이정신진단검사 항목에서 고농도 VSC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6. 여성 구취 환자에서 주관적 구취심도는 강박증, 대인예민성,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전체심도지수, 표출증상심도지수 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5), 주관적 구취불편감은 모든 간이정신진단검사 항목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 PDF

음악요법이 경정맥요로조영 검사시 환자의 불안에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of Intravenous Urology Patients)

  • 여진동;고인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5-107
    • /
    • 2017
  •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경정맥요로조영 검사로 인한 불안정도와 검사 시 불편감에 미치는 음악요법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설계의 유사 실험이다. "음악요법을 받은 군은 음악요법을 받지 않는 군보다 검사 중 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음악요법 실시 후 실험군의 불안점수가 대조군의 불안점수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어 채택되었다. "음악요법을 받은 군은 음악요법을 받지 않는 군보다 검사 후 활력징후가 낮을 것이다"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지만, 맥박에서는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 부분적으로 채택 되었다. "음악요법을 받은 군은 음악요법을 받지 않는 군보다 주간 적 불편감이 낮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주관적인 불편 감의 하부요인 중 긴장감 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동통, 어지러움, 공포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음악요법은 경정맥요로조영 검사 중 환자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대체검사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하악전방이동장치 적용에 있어서 전방이동량이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in the Application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김영균;윤인영;김정훈;이철희;윤필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29-34
    • /
    • 2011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으로 하악 전방이동장치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에게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하악전방이동창치 치료시 하악의 전방이동량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을 주소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치료법으로 하악전방이동장치를 선택한 총 8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임상기록과 수면다원검사를 포함한 모든 환자의 자료를 검토 및 분석하였다. 결 과: 총 86명의 환자 중 65명(75.6%)에게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경과관찰 기간 중에 28명의 환자에게서 경미한 전치부와 턱관절의 불편감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하악의 전방이동량에 따른 불편감은 7.0 mm 이상의 환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보고되었다. 하악의 전방이동량과 임상 결과와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다. 결 론: 중증도와 상관없이 하악전방이동장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잠재적인 치과적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치료시에 하악의 전방이동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무치악 환자에서 완전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한 All-on-6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All-on-6 implant fixed prosthesis restoration with full-digital system on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이승진;정승미;정재헌;방일흠;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97-507
    • /
    • 2021
  • 무치악 환자에서 잔존 치조골을 최대의 효율로 활용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수복하는 치료법 중 하나로 All-on-6 개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치료과정에서 복잡함과 번거로움이 동반된다. 나날이 발전해 온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한다면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부터 보철물 제작 및 수복까지 높은 효용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76세 상악 무치악 환자의 일체형 나사 유지형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 수복(1-piece design, screw retained implant fixed prosthesis)에 대해 진단부터 임플란트 식립 그리고 보철물 제작까지 전 과정에서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술전 진단에서 구강직접스캔(Direct intraoral scan)을 통해 환자의 정보를 데이터화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임플란트 식립 수술 가이드와 식립직후 장착할 즉시 임시보철물을 디자인 하였다. 최적의 잔존 치조골 위치에 식립된 6개의 임플란트 위치정보에 따라 정밀하게 제작된 즉시 임시보철물을 수복하여 술 후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였다.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여 환자의 요구사항, 안정된 수직고경과 교합, 심미성을 고려하여 제작한 새로운 임시보철물을 거쳐 최종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여 무치악 환자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부터 보철물 제작까지 전 과정에 있어서 복잡한 임플란트 치료과정을 단순화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시키고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