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자안전수행역량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Patient Safety & Medical Service Quality and Changes of Management Activity after Medical Institution Accreditation: Mental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의료기관 인증 후 환자안전 및 질 관리 변화와 경영활동 변화 간의 관계: 정신병원과 요양병원 대상)

  • Lee, Young-Hwan;Lim, Jung-D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
    • /
    • pp.286-299
    • /
    • 201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 quality management changes of patient and changes in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hospital workers in five mental hospitals and five geriatric hospitals which should be required medical certifying authoriti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tudy, participation whether or not of certification service of mental hospital & geriatric hospital workers was positive correlation to improve change of 'Performance level of Safety Activities for the patient' 'Provide th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for the patient' 'Respect the Rights and Responsibility of the patient'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out of contents of Patient Safety & Medical Service Quality. Also developmental changes of Safety Activities for the patient Hospital Quality for the patient Rights and Responsibility of the patient out of contents of Patient Safety & Medical Service Quality need to the Capacity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Medical System & Evaluation of Management Provide th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for the patient out of contents of Patient Safety & Medical Service Quality need to the need to the Customer Orientation Process.

Job Competency in Ultrasonography of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한국 방사선사의 초음파진단검사 직무역량에 관한 고찰)

  • Lim, Chang Seon;Kim, Chuk Bok;Namkung, Jang Sun;Jin, Gye 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3 no.6
    • /
    • pp.857-864
    • /
    • 2019
  • Many countries, including Canada, operate a sonographer license system separately from a radiological technologist license. However, in Korea, radiological technologists perform ultrasound imaging under the guidance of doctors. Therefore, in order to have the opportunity to provide a systemat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job competency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ultrasound imaging, based on the Canadian National Competency Profile (NCP) lists, this study measured the job content validity of the job competences and detailed competencies required for performing ultrasonography in Korea. From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cor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job competencies and the degree of job performance, the average overall importance was 4.087, the average of overall performance was 3.640, showing that the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a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A Communication', 'B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D Operation of equipment' and 'G Workplace health and safety' showed high job content validity. However, it is said that as 'C Patient assessment and care', '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nd 'H Image' showed low job content validity,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strengthen and complement these competencies.

Effects of Clinical Nurses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Professional Pride,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역량, 전문직 자부심, 인간중심간호 수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Lee, Subin;Shin, Sujin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 /
    • v.16 no.3
    • /
    • pp.87-98
    • /
    • 2023
  • Purpose : This descriptive surve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professional pride,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183 clinical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Scale for Clinical Nurses Professional Pride the Person-Centered Nursing Assessment Tool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Tukey's HS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9.0. Results : The mean scor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4.65±0.34 out of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age (F=3.90, p =.010), education level (t=-2.56, p =.013), total work experience (F=3.87, p =.010), and the number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experiences (F=5.22, p =.006).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r=.337, p <.001), professional pride (r=.271, p <.001),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s (r=.399, p <.001).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son-centered care practices affecte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𝛽=.358, p <.001)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22.5%. Conclusion : To improve clinical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articipatory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ntegrate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conceptual knowledge of person-centered care. Intervention studies are needed to test the effect of person-centered care on patient safety when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