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 소음

Search Result 1,39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NN based Actuator Fault Caus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Noise (CNN 기반의 소음을 이용한 원동 구동장치 고장 원인 분류 시스템)

  • Lee, Se-Hoon;Kim, Ji-Seong;Shin, Bo-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7-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CNN 기반의 소음을 이용한 원동 구동장치 진단시스템(PHM)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구동장치로부터 발생된 소리로부터 특징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학습한 후 실시간으로 구동장치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장치에 종속되지 않고 학습할 데이터에 따라 적용 대상이 쉽게 가변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적용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외의 소음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 중 CNN을 적용한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제안된 시스템과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DNN 기반의 기계진단시스템을 학습데이터의 환경과 다른 처리배제가 필요한 소음환경에서 비교 실험하여 제안된 시스템이 새로운 환경적응 성능향상에 대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Meditation Music and Noise on Heart Rate Variability (명상음악과 소음이 심장박동율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김원식;조문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1b
    • /
    • pp.699-70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생활공간에서의 음 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긍정감성 유발 음환경으로서 시냇물 흐르는 소리를 배경으로한 명상음악을 제시하고 부정감성을 유발하는 음환경으로서 '헬리콥터소음'과 '마루삐그덕 소음'을 제시하여 자율신경계 생리반응으로서 심전도의 HRV를 분석하였다. HRV는 AR(autoregressive) 모델로 구하였으며 Power spectrum을 LF(0.01 - 0.08 Hz), MF(0.08 - 0.15 Hz), HF(0.15 - 0.5 Hz) 영역으로 나누어 LF. MF. HF 영역의 Power 및 LF/HF와 MF/(LF+HF) Power Ratio를 분석하였다.

  • PDF

A Brief Review of Noise Science (소음과학과 그 이해)

  • 이수갑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0
    • /
    • pp.933-938
    • /
    • 1995
  • 소음 공해의 문제는 수세기에 걸쳐 지속되어왔고, 현대 사회는 인간과 기계에 의한 소음으로 조용하고 평온한 삶을 영위하기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소음은 일반적으로 원하지 않는 소리라고 정의된다. '원하지 않는'이란 말이 소음(noise)을 물리학적인 소리(sound)와 구멸하는 것이다. 아름다운 음악도 어떤이에겐 청각적 혼돈 상태로 느껴질 수 있듯이 어떠한 주어진 소 리를 '소음'이라 서술하는 것에는 심리 음향학(psychoacoustics)적인 요소가 강하므로 소음에 대한 연구는 그저 단순한 과학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음향학에 단단히 기초하고 있고 그전문어들을 이용한다. 따라서 음향학의 기초적인 이론과 심리음향학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 소음의 영항과 소음 환경을 이해한 뒤, 소음의 제어에 대한 예를 보는 것으로 소음 과학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 PDF

Transportation noise annoyance in a simulated environment (가상의 음 재현 환경에서의 교통소음에 대한 주관적 반응)

  • Kim J.;Lim C. W.;Jeong W.;Hong J.;Lee S.;Jeung W.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5-228
    • /
    • 2004
  • 환경소음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음노출지역에 대한 소음 측정 및 사회적 조사(Social Survey)를 토대로 이루어 졌다. 이는 장기간 소음에 노출된 사람에 대한 소음평가의 수단뿐만 아니라 소음관련 법안 제정에 있어서 규제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논문에서는 소음에 대한 순간적인 반응 즉, 짧은 순간의 소음노출에 대한 주관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방법적 측면(Methodology)에서의 제약으로 인하여 가상의 음 재현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청감반응실험을 할 수밖에 없다. 먼저 항공기, 기차, 자동차 소음의 샘플을 녹음하여 일련의 신호처리 과정을 통하여 청감반응실험에 사용될 음원을 만들고, 청력검사를 통하여 청각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피검자의 데이터는 배제시킨 후 실험을 행하였다. 이러한 청감반응실험을 통하여 소음원의 종류, 성별, 연령, 소음 민감도 등에 따라 소음에 대한 성가심, 불쾌감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Railroad Noise and its Impact (철도소음과 그 영향)

  • 강대준;나진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00-109
    • /
    • 1995
  • 철도는 대량수송 및 정시제 운행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철도연변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소음공해를 미쳐 정온한 생활환경을 누릴 권리를 침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도소음을 관리하는 기준이나 대책등이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향후 5년 내에는 고속철도의 등장도 확실하지만 기존 재래식 철도에 대한 소음 실태 자료마저 충분치 않아 철도연변의 소음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 수단인 소음 기준 제시를 위해서는 폭넓은 기초 자료확보와 새로운 관련연구가 요청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전기기관차를 중심으로 영동선, 중앙선, 태백선, 경인선, 경원선 및 대도시 도심지를 관통하는 호남선 및 경부선 중에서 측정환경이 양호한 22개 지역을 선정하여 기존 철도의 구간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가소음도를 측정하였고 선로의 조건, 열차의 종류 및 속도, 거리권별 등에 따른 개별열차 통행시의 소음특성을 조사하여 철도소음의 기준 설정과 방지대책 강구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열차 통행속도로부터 최고소음도를 추정하여 주변지역의 등가소음도를 산정할 수 잇는 예측식을 도출하여 측정방법 개정에 활용하고, 그리고 선로변에 위치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층별 철도소음 노출도와 열차통과시의 공동주택 실내.외의 소음도를 비교조사하여 벽체 차음 효과를 조사하였고 철도소음에 대한 주민반응 조사를 하였다.

  • PDF

Endpoint Detection in the Car Noise Environment for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을 위한 자동차 소음환경에서의 끝점 검출)

  • 서동권;신원호;양태영;김원구;윤대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76-79
    • /
    • 1998
  • 소음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에너지 파라메터만으로도 정확한 끝점 검출을 수 행할 수 있으나 신호대 잡음비가 0dB에 가까운 자동차 환경에서는 끝점 검출이 거의 불가 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소음 환경에서 음성 구간 검출을 위하여 단구간 영교차율과 2∼4kHz의 주파수 영역 에너지를 사용한 끝점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과 기 존의 방법의 성능을 DTW를 이용한 단독음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인식률로 비교하였으 며 제안된 음성 구간 검출 방법을 적용한 경우가 보다 좋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ttenuation and Propagation of Construction Work Noise in Construction Field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공사소음의 전달 및 감쇠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재수;한명호;이병윤;박재영;윤해동;곽광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78-89
    • /
    • 1998
  • 도심에서 발생하는 건설소음은 건설현장 주변의 주민들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고 있 으며 점차 주거환경을 위협하는 환경 오염원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소음은 일반적 으로 건설기계소음과 건설공사소음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최근에 정부차원에 서 그 심각성을 인정하여 정책적으로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기 초적인 자료 및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이러한 건설소음을 저감 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부족과 자료의 결핍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에서 발생하는 건설공사소음의 전달 및 감쇠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건설소음의 기준 설정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환경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 이장명
    • Journal of the KSME
    • /
    • v.43 no.9
    • /
    • pp.46-48
    • /
    • 2003
  • 이 글에서는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환경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요성 및 기능 등에 대하여 소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