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승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자랑스런안전인 - 안전은 '근성'과 '끈기'로 완성된다 - (주)화승인더스트리 나창식 차장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68
    • /
    • pp.18-19
    • /
    • 2011
  • 1969년 한국 최초의 Chemical Shoes 공장을 설립한 (주}화승인더스트리. 그로부터 20여년 후인 1990년 화승은 또 한 번의 도전을 시작했다. BOPP 필름사업으로 업종을 변경한 것. 업계는 무모한 도전이라며 우려의 시선을 보냈다. 하지만 (주)화승인더스트리는 그간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기반으로 보란 듯이 승승장구를 거듭했다. 1993년 국내 최초로 통기성 필름사업을 시작한 이래 1995년 신규라인 확장, 1997년 BOPET 필름사업 진출 등 거침없는 성장을 이어간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이제는 누구나 인정하는 국내 최고의 종합필름기업으로 우뚝 올라섰다. 이같은 (주)화승인더스트리의 성공 배경은 무엇일까? 그것은 안전과 환경을 중시하는 이곳의 경영방침에서 찾을 수 있다. 이곳은 다양한 안전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는 가운데 환경경영시스템인 ISO14001 인증을 획득하는 등 우수안전기업, 친환경기업을 향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기업 스스로가 근로자들의 안전 그리고 지역의 환경을 우선시하면서 관련 업계와 소비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었던 것이다. 빈틈없는 안전관리로 (주)화승인더스트리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는 이곳의 안전관리자 나창식 차장을 만나봤다.

  • PDF

TTA와 함께하는 ICT표준자문서비스 - 화승엑스윌, 4차 산업혁명으로 내딛는 첫걸음

  • TTA 표준화본부 표준진흥단
    • TTA Journal
    • /
    • s.177
    • /
    • pp.116-119
    • /
    • 2018
  • 2007년 화승그룹, R&A에서 분사한 (주)화승엑스윌은 컨베이어 벨트, 산업용 유압 호스, 특수물, 시트 등의 산업용 고무제품과 철도 장비 등을 제조 도매한다. 특히 해양 방현재의 설계 및 제작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포스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해양수산부 등을 해외에서는 SUMITOMO, TEXCEL, TRELLEBORG 등을 주요 거래처로 하는 중견기업이다. (주)화승엑스윌은 세계적 대세를 따라 기존의 컨베이어용 벨트를 IoT 융합형 스마트 컨베이어로 업그레이드하고자 했고, 개발 기술의 표준화도 염두에 두었다. 그러나 제조업 기반 기업으로서 표준 IoT 관련 전문성은 외부에서 구할 수밖에 없었다. 주변의 추천으로 TTA 자문서비스를 신청한 (주)화승엑스윌은 현재 IoT 표준 제품의 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부 과제 참여를 검토 중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Burst Pressure and Abrasion Resistance of Concrete Hose with Aramid Fiber Reinforcement and Rubber Composition (아라미드 섬유강화 및 고무조성에 따른 콘크리트 도킹호스의 파열압력과 내마모도 특성)

  • Kim, Yong-Hwan;Lee, Seung-Hwan;Sung, Il-Kyung;Lee, Yu-wool;Kang, Myu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7 no.6
    • /
    • pp.105-110
    • /
    • 2018
  • A concrete docking hose of pump car's boom pipe line have been used in many construction sites. They are long structures with continuous cornering, similar to a trunk of the elephant, characterized by a very high pressure resistance of 20MPa. They need flexible materials and structure in order to move the hose smoothy. But commercial concrete hose is hard to handle and heavy owing to adaption of steel reinforcement. In this study, it is tried an experimental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 of inner rubber layer and abrasion resistance. Also, we are investigated the burst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of the hose and propose the usefulness of the hose reinforced with high strengthened aramid fiber.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Uigyeom School of Monk Artis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조선(朝鮮) 후기(後期) 부휴문중(浮休門中)의 불사(佛事)와 의겸파(義謙派) 불화(佛畫) -순천(順天) 송광사(松廣寺) 불화(佛畫) 조성(造成) 불사(佛事)를 중심으로-)

  • Kim, Dayoung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98
    • /
    • pp.154-175
    • /
    • 2020
  • Most Korean Buddhist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ere produced through collaborative projects (bulsa) between clans of Buddhist monks and monk artists (hwaseung), in which the monk clans would select themes and iconography for works that would then be produced by the artists and their school. Thus, any attempt to understand the Buddhist paintings of this period must consider not onl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monk artists, but also the conditions at the respective temple at the time of production. Applying this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monk artist Uigyeom and his fellow artists (hereinafter, the "Uigyeom School") that took place in Honam (湖南) and surrounding areas in the eighteenth century. In particular, the paper reveals the strong influence that the Buhyu clan exerted on paintings that the Uigyeom School produced in 1724 and 1725 at Songgwangsa Temple, the clan's main temple. Following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the Uigyeom School actively participated in similar projects at regional temples under the auspices of the Buhyu clan in Honam, Hoseo (湖西), and Yeongnam (嶺南). Consequently, the Buhyu clan granted Uigyeom several honorable titles-including "Hoseon" (毫仙), "Jonsuk" (尊宿), and "Daejeonggyeong" (大正經)-that were rarely conferred to a monk artist. Such acclaim helped Uigyeom's style of Buddhist painting to become widespread throughout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exemplify how the Buhyu clan and Uigyeom School collaborated to visualize the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the Buhyu clan. For the Uigyeom School, this project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building the reputation and esteem of Uigyeom, who became one of the most esteemed and influential monk artists of the late Joseon period. As such, the paintings created for Songgwangsa Temple in 1724 and 1725 have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Korean Buddhism, but also for art history in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