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Uigyeom School of Monk Artis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조선(朝鮮) 후기(後期) 부휴문중(浮休門中)의 불사(佛事)와 의겸파(義謙派) 불화(佛畫) -순천(順天) 송광사(松廣寺) 불화(佛畫) 조성(造成) 불사(佛事)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9.18
  • Accepted : 2020.11.18
  • Published : 2020.12.20

Abstract

Most Korean Buddhist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ere produced through collaborative projects (bulsa) between clans of Buddhist monks and monk artists (hwaseung), in which the monk clans would select themes and iconography for works that would then be produced by the artists and their school. Thus, any attempt to understand the Buddhist paintings of this period must consider not onl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monk artists, but also the conditions at the respective temple at the time of production. Applying this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monk artist Uigyeom and his fellow artists (hereinafter, the "Uigyeom School") that took place in Honam (湖南) and surrounding areas in the eighteenth century. In particular, the paper reveals the strong influence that the Buhyu clan exerted on paintings that the Uigyeom School produced in 1724 and 1725 at Songgwangsa Temple, the clan's main temple. Following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the Uigyeom School actively participated in similar projects at regional temples under the auspices of the Buhyu clan in Honam, Hoseo (湖西), and Yeongnam (嶺南). Consequently, the Buhyu clan granted Uigyeom several honorable titles-including "Hoseon" (毫仙), "Jonsuk" (尊宿), and "Daejeonggyeong" (大正經)-that were rarely conferred to a monk artist. Such acclaim helped Uigyeom's style of Buddhist painting to become widespread throughout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exemplify how the Buhyu clan and Uigyeom School collaborated to visualize the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the Buhyu clan. For the Uigyeom School, this project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building the reputation and esteem of Uigyeom, who became one of the most esteemed and influential monk artists of the late Joseon period. As such, the paintings created for Songgwangsa Temple in 1724 and 1725 have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Korean Buddhism, but also for art history in general.

조선 후기 불화 조성 불사(佛事)는 화승(畫僧)과 승려(僧侶) 문중(門中)의 유기적 관계 속 협업으로 진행되었다. 불사에서 승려 문중은 사상을 담기 위하여 주제와 도상을 선택하였고, 화승과 화파는 이를 시각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렇기에 조선 후기 불화의 이해를 위해서는 작가인 화승 및 그의 양식적 특징뿐만 아니라 조성 당시 사찰의 상황, 불사의 참여자 등을 파악하여, 조성 배경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호남 및 인근 지역에서 부휴문중과 불사를 함께 진행했던 18세기 대표 화승 의겸(義謙)을 중심으로 한 의겸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의겸파는 부휴문중의 종찰(宗刹)인 순천 송광사에서 1724년부터 1725년까지 2년간 진행된 불화 조성 불사에 참여하였다. 본 불사를 앞서 언급한 다각적 접근법을 통해 해석한 결과,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에 부휴문중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를 기점으로, 의겸파는 계속해서 호남, 호서, 영남 지역 등 부휴문중 영향권 내의 사찰과 그들이 주도한 불사에 활발하게 참여하며 부휴문중 사상 시각화에 주요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의겸은 부휴문중으로부터 '호선(毫仙)', '존숙(尊宿)', '대정경(大正經)' 등의 화승으로서는 이례적인 존칭까지 부여받았으며, 그의 화풍은 삼남(三南)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처럼 순천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는 부휴문중이 의겸파와 협업하여 문중의 사상을 시각화한 대표 사례이며, 의겸파에게 인맥적, 지역적 기반을 제공하여 의겸이 조선 후기 대표 화승의 위상에 오를 수 있도록 일조하였다. 의겸의 이와 같은 위상과 그가 남긴 작품들은 이후의 조선 후기 불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기에, 순천 송광사의 불화 조성 불사는 미술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無用堂遺稿
  2.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3. 承政院日記
  4. 雲谷集
  5. 曹溪山松廣寺史庫
  6. 枕肱集
  7. 고경.김희태.최인선.양기수, 역주 보림사 중창기-譯註 寶林寺 重創記, 장흥: 장흥문화원, 2001.
  8. 무용수연, 이상현 역, 무용당유고,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9. 이광우 역, 釋氏源流應化事蹟, 서울: 法寶院, 2006.
  10. 임석진(기산석진), 松廣寺誌, 순천: 도서출판 송광사, 2001.
  11. 국립문화재연구소, 掛佛調査報告,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1992-2004.
  12.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 도난백서 증보판, 서울: 조계종출판사, 2016.
  13.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사찰문화재, 대전: 문화재청, 2007-2014.
  14. 박세민(세민),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서울: 보경문화사, 1993.
  15.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畫, 양산: 성보문화재연구원, 1996-2007.
  16. 최순우.정양모, 韓國의 佛敎繪畫-松廣寺, 서울: 國立中央博物館, 1970.
  17. 고경 편저, 韓國의 佛畫 畫記集, 양산: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18.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성남: 신구문화사, 2010.
  19. 김정희, 불화,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파주: 돌베개, 2009.
  20. 문명대, 한국의 불화, 서울: 열화당, 1981.
  21. 안귀숙.최선일, 朝鮮後期僧匠人名辭典-佛敎繪畫-, 서울: 양사재, 2008.
  22. 유근자,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 서울: 불광출판사, 2017.
  23. 이정, 韓國佛敎人名辭典, 서울: 불교시대사, 1991.
  24. 장희정, 조선후기 불화와 화사 연구, 서울: 일지사, 2003.
  25. 고영섭, 벽암 각성의 생애와 사상-李景奭 撰 華嚴寺 碧巖堂 覺性大師碑文을 중심으로, 강좌미술사 52, 2019.
  26. 김다영, 조선후기 부휴문중의 불사와 의겸파 불화,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7. 김단일, 17세기 조선의 大方廣佛華嚴經疏 간행과 승려문파의 상관성 : 삭녕 용복사와 순천 송광사 간행본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19.
  28. 김단일, 17세기 大方廣佛華嚴經疏 간행과 승려문파-삭녕 용복사본과 순천 송광사본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83, 2020.
  29. 김세영, 송광사 불조전 53佛과 華嚴·懺悔 사상,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0. 김세영, 順天 松廣寺 佛祖殿 佛像과 浮休門中의 思想, 미술자료 92, 2017.
  31. 김세영, 朝禪 後期 華嚴 佛事의 地域的 流行과 僧呂門中 交流 : 송광사 화엄전 불사 중심으로, 미술사학 40, 2020.
  32. 김영희, 1730년 의겸(義謙)작 내원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연구-조선후기 백의관음신앙의 측면에서, 불교미술사학 29, 2020.
  33. 김정희, 불화(佛畫) 속에 표현된 호남적(湖南的) 감성(感性)-의겸(義謙) 불화(佛畫)의 도상(圖像)과 양식(樣式)을 중심으로-, 호남문화연구 49, 2011.
  34. 김정희, 碧巖 覺性과 華嚴寺 靈山會掛佛圖, 강좌미술사 52, 2019.
  35. 김태형, 朝鮮時代 法華經 變相版畫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6. 김현중(현주), 조선후기 벽암문도의 사상과 신중도 제작, 東岳美術史學 19, 2016.
  37. 문명대, 흥국사(興國寺) 1723년 의겸(義謙), 순민(順敏)작 목(木)수월관음보살상(水月觀音菩薩像) 불감(佛龕)과 복장 연구, 강좌미술사 37, 2011.
  38. 손성필, 17세기 浮休系 僧徒의 碑 건립과 門派 정체성의 형성, 조선시대사학보 83, 2017.
  39. 신광희, 여수 興國寺 十六羅漢圖 연구, 美術史學硏究 255, 2007.
  40. 신광희, 서른 세분의 위대한 조사(祖師)를 그려 모시다-선암사 <삼십삼조사도>, 문학/사학/철학 48, 2017.
  41. 신은미, 조선후기 十六羅漢圖 연구-畫譜圖像의 수용과 전개를 중심으로-, 강좌미술사 27, 2006.
  42. 안귀숙, 朝鮮後期 佛畫僧의 系譜와 義謙比丘에 관한 硏究(上,下), 미술사연구 8·9, 1994·1995.
  43. 양은용, 壬辰倭亂과 湖南의 佛敎義僧軍, 한국종교 19, 1994.
  44. 유경희, 여수 興國寺 義謙作 觀音菩薩圖 硏究,불교미술사학 8, 2009.
  45. 유지원, 朝鮮後期 畫師 義謙의 佛畫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6. 이강근, 華嚴寺 佛殿의 再建과 莊嚴에 관한 硏究, 불교미술 14, 1997.
  47. 이용윤, 朝鮮後期 三藏菩薩圖와 水陸齋儀式集, 미술자료 72·73, 2005.
  48. 이용윤, 退雲堂 信謙 佛畫와 僧侶門中의 後援, 美術史學硏究 269, 2011.
  49. 이용윤, 조선후기 嶺南의 畫僧과 僧侶門中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0. 이용윤, 조선후기 통도사의 僧侶門中과 畫僧 任閑, 불교미술사학 23, 2017.
  51. 이용윤, 조선후기 鞭羊문중의 佛事와 僧侶匠人의 활동, 미술사연구 32, 2017.
  52. 이용윤, 雪松門中 출신 畫僧 慈雲堂 指演의 활동과 助力者, 東岳美術史學 22, 2017.
  53. 이용윤, 조선후기 黃嶽山 畫僧의 활동과 碧巖門中의 助力, 美術史學硏究 297, 2018.
  54. 이용윤, 17세기 淸州 畫僧 信謙의 활동과 괘불도 조성, 미술사연구 36, 2019.
  55. 이용윤, 화승 義均의 불화 조성과 사명문중의 불사, 불교미술사학 28, 2019.
  56. 이용윤, 일제강점기 기록자료로 본 북한의 조선후기 불화-함경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美術史學硏究 304, 2019.
  57. 이용윤, 19세기 후반 영남의 喚醒系 僧侶門中과 四佛山畫派 畫僧, 南道文化硏究 39, 2020.
  58. 이은희, 雲興寺와 畫師 義謙에 관한 考察, 문화재 24, 1991.
  59. 이인식, 來蘇寺 靈山會掛佛圖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60.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서지학연구 56, 2013.
  61. 장미애, 해인사 영산회상도(1729년)의 연구, 강좌미술사 32, 2009.
  62. 정명희, 朝鮮 後期 掛佛幀의 硏究, 미술사학연구 242·243, 2004.
  63. 정명희, 조선시대 불교 의식과 승려의 소임 분화: 甘露圖와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31, 2016.
  64. 정명희, 1725년 義謙畫派의 송광사 불조전 <五十三佛圖>, 미술자료 95, 2019.
  65. 정병국, 金泉 七佛寺 三世佛會圖 考察, 東岳美術史學 7, 2006.
  66. 장희정, 朝鮮 後期 曹溪山地域 佛畫의 硏究, 美術史學硏究 210, 1996.
  67. 최은령, 금어 의겸 작 목조관음보살좌상, 향도부산 24, 2008.
  6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69.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