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순천 송광사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朝鮮) 후기(後期) 부휴문중(浮休門中)의 불사(佛事)와 의겸파(義謙派) 불화(佛畫) -순천(順天) 송광사(松廣寺) 불화(佛畫) 조성(造成) 불사(佛事)를 중심으로-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Uigyeom School of Monk Artis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 김다영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154-175
    • /
    • 2020
  • 조선 후기 불화 조성 불사(佛事)는 화승(畫僧)과 승려(僧侶) 문중(門中)의 유기적 관계 속 협업으로 진행되었다. 불사에서 승려 문중은 사상을 담기 위하여 주제와 도상을 선택하였고, 화승과 화파는 이를 시각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렇기에 조선 후기 불화의 이해를 위해서는 작가인 화승 및 그의 양식적 특징뿐만 아니라 조성 당시 사찰의 상황, 불사의 참여자 등을 파악하여, 조성 배경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호남 및 인근 지역에서 부휴문중과 불사를 함께 진행했던 18세기 대표 화승 의겸(義謙)을 중심으로 한 의겸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의겸파는 부휴문중의 종찰(宗刹)인 순천 송광사에서 1724년부터 1725년까지 2년간 진행된 불화 조성 불사에 참여하였다. 본 불사를 앞서 언급한 다각적 접근법을 통해 해석한 결과,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에 부휴문중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를 기점으로, 의겸파는 계속해서 호남, 호서, 영남 지역 등 부휴문중 영향권 내의 사찰과 그들이 주도한 불사에 활발하게 참여하며 부휴문중 사상 시각화에 주요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의겸은 부휴문중으로부터 '호선(毫仙)', '존숙(尊宿)', '대정경(大正經)' 등의 화승으로서는 이례적인 존칭까지 부여받았으며, 그의 화풍은 삼남(三南)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처럼 순천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는 부휴문중이 의겸파와 협업하여 문중의 사상을 시각화한 대표 사례이며, 의겸파에게 인맥적, 지역적 기반을 제공하여 의겸이 조선 후기 대표 화승의 위상에 오를 수 있도록 일조하였다. 의겸의 이와 같은 위상과 그가 남긴 작품들은 이후의 조선 후기 불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기에, 순천 송광사의 불화 조성 불사는 미술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순천시 이미지 통합계획(CI)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nchon City Identity)

  • 송진희;김제중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295-306
    • /
    • 2002
  • 34년만에 본격적인 지방화 시대가 열린 이후 개성 있는 도시 이미지 만들기 작업이 전개되고 있다. 지방화시대의 개방으로 각각의 지역은 유니크한 특성과 자율성을 형성하여 그를 바탕으로 지역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지역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즉 지역고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유니크한 아이덴티티를 창조하면서 미적인 경영을 지향하는 경영전략을 가지고 지방화 시대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순천시의 CI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자치단체 CI개발에 관해 다루었다. 순천시는 남도 관광의 보고인 송광사, 선암사, 낙안읍성, 순천만등 천혜의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다. 시민들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키고 외부 관광객들에게 순천시만의 개성 있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CI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노출 빈도가 높은 디자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순천시의 이미지를 시각화하였다.

  • PDF

새로 발견된 호남판(湖南板) <부모은중경언해(父母恩重經諺解)> 4종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A Bibliographical Study on 4 Newly Found Jeolla-do Editions of Bumoeunjungkyeongeonhae)

  • 송일기;박민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09-228
    • /
    • 2010
  • 이 논문은 호남지역에서 개판된 은중경 언해본 4종을 새로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하기 위한 글이다. 은중경언해본은 새로 소개하는 4종을 포함하여 현재 모두 36종에 이르고 있는데, 이 중 14종이 호남지역에서 개판된 판본이다. 새로 소개한 4종 중 3종에는 <십법계송>과 <십팔지옥>이 부록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러한 부록형식은 1563년에 전라도 순천 송광사에서 개판된 판본에서 시작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4종 가운데 백암사본(1628년)과 내장사본(1653년)에는 동일한 부록이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송광사본을 저본으로 복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순천 송광사 요사채의 환기지붕 설치 시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allation Period of Ventilation Roofs in the Suncheon Songgwangsa Temple)

  • 김희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4호
    • /
    • pp.7-17
    • /
    • 2017
  • Suncheon Songgwangsa has unique ventilation roofs. In the meantime, these roofs have been known as a characteristic element of Songgwangsa architecture and a unique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 would like to review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ventilation roof and check the installation time through Songgwangsa's records and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ventilation roofs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including the temple of Songgwangsa were installed between the 1920s and 1930s. This can be summarized by comparing the history of Songgwangsa and the history of each building of Songgwangsa by comparing the paintings of Songgwangsa in 1886 and 1915 with the photographs of 1920s and Songgwangsa in the 1930s. It is a matter of further study whether the installation of the ventilation roof of Songgwangsa Temple is influenced by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소조토의 제작기법과 원산지 해석 (Mak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Molding Clay of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sa Temple, Suncheon, Korea)

  • 조영훈;조성남;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60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송광사 사천왕상 소조토의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제작기법을 규명하고, 원료 산지를 추정하여 보존처리시 동일한 재료로 복원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 결과, 사천왕상의 제작에 사용된 소조토는 층위와 대상에 관계없이 성인적으로 거의 동일한 흙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조토가 상대적으로 두터운 부위에서는 초벌층과 마감층에서 입도와 유기물의 함량을 달리하였고, 두께가 얇은 부위는 층위의 구분 없이 한 종류의 흙만을 사용하였다. 또한 복원토는 사천왕상의 소조토와 성인적으로 아주 유사한 흙이 사용되었으며, 층위에 따라 정선도의 차이를 보였다. 원산지 해석 결과, 추정산지 일대 흙은 소조토와 동일기원으로 판명되어 보존처리용 재료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소조사천왕상의 무기재료학적 연구 및 보존처리에 크게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The Analytical Study of Pigments on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in Suncheon - Focusing on Pigments of Virupaksha -)

  • 이한형;박지희;홍종욱;한민수;서민석;허준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122-147
    • /
    • 2012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수리를 위한 조사과정에서 수습된 파편들로부터 과거에 사용된 채색안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은 1628년 중조(重造)된 이래 1720년부터 1976년까지 7차례의 중수개채(重修改彩)가 이뤄졌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의 시대별 사용안료를 연구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분석은 사천왕상 중 서방광목천왕에서 이탈된 파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SEM-EDX, XRD를 이용하여 시편의 상태를 확인하고, 안료의 구성성분과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파편들에서는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조직이 성긴 한지, 조직이 치밀한 한지, 견직물, 마직물 등 6종의 재료가 확인되었다. 이 중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은 소지부로 판단되며, 나머지 5종의 재료는 소조불의 중수개체 시 사용된 보수재료로 판단된다. 각 재료의 상 하부에 부착된 채색층에 대한 분석결과를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재료들은 '소지부 ${\rightarrow}$ 조직이 성긴 한지 ${\rightarrow}$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rightarrow}$ 견직물 ${\rightarrow}$ 마직물 및 조직이 치밀한 한지'의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 보수재료들에 적용된 안료와 소조불의 중수개채시기를 고려하면 조직이 성긴 한지는 1720~1891년, 섬유질을 다량 함유한 토층은 1926년, 견직물과 마직물은 각각 1941년과 1976년에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시대별 사용 안료의 특징을 살펴보면, 1891년 이전에는 백색과 녹색으로 연백과 염기성염화동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1926년 이후에는 화록청, 군청, 바륨화이트와 아연화 등이 등장하고, 1976년을 전후해서는 지당과 합분(패각분)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소조상에 적용된 시대별 안료에 대한 추론 결과는 향후 사찰벽화나 단청 등의 근대 안료연구에 비교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성탄소연대 위글매칭에 의한 순천 송광사 불패의 연대측정 (Wiggle Matching Radiocarbon Dates of a Buddhist Wooden Tablet (Bulpae) at Songkwangsa Temple, Suncheon, Korea)

  • 연정아;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ate a Buddhist wooden Tablet (No. 271) at Songkwangsa Temple, Suncheon, Korea, using wiggle matching of radiocarbon dates. For wiggle matching, three samples (2nd, 16th and 34~35th rings from inner side) in the pedestal of the Tablet were selected among total of 37 tree rings. Wiggle matching the radiocarbon dates of three samples resulted in A.D. 1660~1679 (95.4% confidence interval) for the outermost ring. This interval suggested the age of this tablet as the late 17th century, which was almost at the same age as other early Buddhist tablets in Korea.

  • PDF

한국 자생차의 몇가지 화학성분 비교분석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Native Tea Plants)

  • 박장현;김광식;김선우;최형국;김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7-224
    • /
    • 1997
  • 한국 자생 차나무의 채취 다엽에서 차의 품질관련 주요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질소 함량은 $3.59{\sim}4.89%$% 사이로 보성 대원사, 화순 쌍봉사, 순천 창천리, 하동 쌍계사, 강진 장원산업 다엽에서 함량이 많았다. 2. 다엽의 유기성분 함량중 tannin은 $12.5%{\sim}18.3%$ 범위였으며, 영광 천마리, 함평 용암리, 여수 우두리 다엽이 12.5%, 12.7%, 12.8%로 함량이 적고, 구례 천은사, 강진 백련사, 나무 불회사 다엽이 18.3%, 16.7%, 16.4%로 함량이 많았다. 3. Caffeine은 $2.21{\sim}3.11%$ 범위로 담양 양각리, 여수 우두리, 구례 화엄사 다엽이 2.21%, 2.23%, 2.23%로 적고, 광주삼애다원, 강진 장원산업, 순천 창천리다엽이 3.11%, 2.94%, 2.87%로 함량이 많았다. 4. Vit. C는 $167.9g{\sim}223.5mg/100g$ 범위로 장성 오산리, 순천 송광사, 영광 천마리 다엽이 167.9mg/100g, 185.6mg/100g, 185.8mg/100g로 적고 광주 삼애다원, 강진 장원산업, 순천 창천리 다엽이 291.5mg/100g, 271.8mg/100g, 269.5mg/100g으로 함량이 많았다. 5. 엽록소는 $187.4{\sim}332.7mg/100g$ 범위로, 평균 함량은 242.0mg/100g 이었다. 6. 아미노산은 $1,888{\sim}2,500mg/100g$으로 강진 장원산업이 2,500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높고, 순천 송광사가 1,888mg/100g으로 가장 낮았다. 7. 보성 대원사, 화순 쌍봉사, 순천 창천리, 하동 쌍계사, 강진 장원산업 채취 다엽이 전질소와 아미노산 함량이 많고, 탄닌 함량이 적어 품질이 양호하리라 생각된다.

  • PDF

국내 목조건축물 단청의 방염제 처리에 따른 영향 및 탐지방법 연구 (Flame Retardant Treatment's Effects and Detection Method on Wooden Buildings' Pigment Layer (Dan-cheong))

  • 김대운;김철웅;한성희;정용재;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3-406
    • /
    • 2014
  • 방염제 도포 후 나타나는 목조건축물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자료 분석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방염제 도포 후 백화현상과 단청 박락현상이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빈번히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둥, 연목, 가구부재 등 방염제의 도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상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방염제를 도포한 건물과 도포하지 않은 건물을 파악하기 위해 P-XRF를 이용하여 총 20개 종의 원소를 분석하였다. 이 중 현장의 모든 방염제 처리구에서 황 원소(S)가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방염제 도포의 탐지자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방염제의 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비파괴분석을 방법을 정립할 수 있었다. 실제 송광사(전남 순천)의 목조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잔류성분분석을 통해 실제 현장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일본흰개미 아종 모니터링 및 군체제거를 위한 예찰제어기 개발 연구 (Applicability Study on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Isoptera: Rhinotermitidae) Colony Eliminator to Preserve Wooden Cultural Heritage)

  • 정용재;김시현;김윤주;유재승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18-825
    • /
    • 2015
  • 전통 목조건축물의 보존을 위해 국내 전역에 서식하는 일본흰개미 아종(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의 방제에 적합한 흰개미 예찰제어기 제형을 개발하고 실내 실험 및 현장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를 통해 적합한 제형을 구성하였으며, 보다 빠른 군체제거가 가능한 독먹이로써 피프로닐 0.001% (w/w)이 선정되었다. 흰개미 예찰제어기는 기존 군체제거제와 다르게 지면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흰개미 가해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였다.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남 순천 송광사 권역에서 수행된 현장적용성 평가 결과 총 367개 중 약 9.8%에 해당하는 36개에서 흰개미가 탐지되었으며, 군체제거약제 교체 후 36개 모두에서 흰개미 군체가 제거되거나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