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성.동탄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U-City 시스템 도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 분석 (The Effect of Reducing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U-City System)

  • 정태웅;문수정;김윤관;구지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9-26
    • /
    • 2012
  • 기후변화의 원인 중 탄소배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탄소배출 감소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탄소배출을 감소하기 위한 국제적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녹색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며 탄소저감형도시(low carbon c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U-City 사업에 대하여 U-City 도입 이전 도시와 U-City 도입 도시의 탄소배출량 변화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비교, 분석하여 U-City 도입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U-City 도입이전의 도시는 1기 신도시 중에 성남시 분당구와 고양시 일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U-City 도입이후의 도시로는 화성동탄 U-City를 선정하여 비교한 결과 탄소배출량이 30%정도 줄어든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일체형 셔터 안전성 확보 방안 (Methods of Ensuring Safety for Integrated Fire Protection Shutt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 윤해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36-45
    • /
    • 2016
  • 일체형 방화셔터는 피난과는 무관하게 무분별하게 설치되고 있다. 학교 건축물의 복도, 통로, 계단 등에 주로 적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사고의 위험에 언제나 노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부천옥길과 화성동탄에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설치된 방화셔터의 설치현황과 방화셔터 관련 사고사례를 조사하여 일체형 셔터의 출입구 및 피난, 시공관리,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피난자가 출입구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바닥에 통로유도등 또는 표지를 설치하고, 방화셔터에 장애물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셔터에 깔리는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하였고, 방화셔터의 성능시험 확대, 방화셔터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 또는 월 1회 정도 성능시운전을 시행, 스프링클러설비는 $1000m^2$를 넘는 4층 이상에만 설치할 것이 아니라 학교용도는 규모에 관계없이 전 층에 반영하여 방화셔터 설치개소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파트 동출입구 디자인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화성동탄신도시 시범지구 및 1, 2공구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Entrances - Focus on Whasung Dongtan Apartments -)

  • 이기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84-193
    • /
    • 2009
  • In recent years, the architectural interest in the apartment design has been getting focused on qualitative improvement and design differentiation. Especially the facade design differenti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is m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s that can be referenced when architects are dealing with exterior design by analyzed desig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entrances. Target apartment of this study was whasung dongtan the 2nd phase new city districts which was planned to solve a housing shortage in the capital region. Having examined eleven pilot districts, four 1st construction areas, and eight 2nd construction areas, - total 23 complexes - 282 apartment entrances in 212 apartment buildings were carefully researched. Apartment entrance design can be divided into 15 different design elements: design types and combination types, direction, shape, height, approach types, exterior wall finishes of entrance, exterior wall finishes of lower parts of apartment, handrail types of slope, floor finishes of slope, distribution ratio of piloti, ceiling height of piloti, floor finishes of piloti, space use of piloti, window establishment between piloti and elevator hall, landscape elements of piloti. Design characteristics of building entrances were also analyzed in 4 groups (I, II, III, IV) divided by construction contractors ranking. In conclusion, first, design types and combination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15 different kinds, and the group I and II tend to show wider variety of entrance combinations. Secondly, the height and volume of extrude entrance type tend to increase in the group I and II. Third,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pilotis appears to show more of 'pass + store + break' rather than 'access', as we get closer to the group I.

과밀식재지 밀도관리 및 신규식재지 배식설계 모델 개발 연구 - 화성시 동탄신도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for the Density Management of Overcrowded Planting Sites and the Planting Design of New Planting Sites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s in the Dongtan New Town, Hwaseong -)

  • 최진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2-9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목의 과밀생육으로 인한 수형 및 생육불량, 녹지의 기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과밀식재지의 밀도관리 모델과 신규식재지의 배식설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화성시 동탄신도시의 완충녹지는 도로와 아파트단지 사이에 8~15m 폭으로 조성되었다. 완충녹지에 38개의 조사구를 설정하여 조경수 식재패턴 및 생육밀도를 조사하였다. 완충녹지 가로변에는 산딸나무, 복자기, 왕벚나무 등 경관기능의 낙엽활엽수가 67.9% 식재되었다. 마운딩 중앙부에는 스트로브잣나무 71.3%, 상수리나무 9.5%, 아파트변에는 스트로브잣나무 65.9%, 메타세쿼이아 10.2% 등 완충기능의 수목이 주로 식재되었다. 수목의 과밀생육 수준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관중복률 지표를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과밀생육이 가장 심각한 수종은 스트로브잣나무로 평균 수목밀도 0.3주/$m^2$, 평균 수관중복률 35.6%로 매우 높았고, 45% 이상인 지역도 많았다. 수관중복률 지표를 45% 이상(Type A), 30~45%(Type B), 30% 이하(Type C) 등 3단계 척도로 표준화하여 밀도관리 기준을 설정하였다. 생장불량 수목을 우선적으로 관리하는 모델, 식재패턴을 고려하여 유사규격의 수목을 선택하여 관리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밀도관리 대상수목에 대한 수형 경관성과 이식작업 용이성을 검토하여 이식, 간벌, 가지치기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는 관리방안 적용 체계를 작성하였다. 신규로 조성되는 완충녹지에는 스트로브잣나무의 식재밀도를 0.20~0.25주/$m^2$로 완화하는 대신에 관목의 식재밀도를 1.5~2.0주/$m^2$로 강화하여 하층을 최소한 30~40% 피복하는 배식설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고층아파트단지 필로티 공간과 옥외단위공간의 통합도(Integration) 비교 분석 연구 -화성동탄신도시아파트를 중심으로- (Study of the Integration Comparison Analysis of Pilotis Space and Outdoor Unit Space in an Apartment Complex -Focused on the Hwaseong Dongtan Newtown Area-)

  • 송병하;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62-76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고층아파트 단지 내에서 주요 계획요소로 자주 채택되고 있는 저층부 필로티 공간과 주요 옥외단위공간들의 통합도 값을 단지별 전체 통합도 평균값과 비교하여 필로티 공간의 통합도 값이 다른 옥외공간들과 비교할 때 어느 정도의 통합도 위상을 갖는지 분석하는 것이며, 또한 다음 단계의 연구인 필로티 공간 이용행태 관찰 및 이용빈도 조사의 기초자료로 삼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층아파트 단지의 필로티 공간을 포함한 주요 옥외단위공간들 중 '단지출입구' 또는 '광장' 공간이 가장 높은 통합도 값을 보이고 있다. 둘째, 고층아파트 단지의 필로티 공간 통합도 값이 다른 주요 옥외단위공간들의 통합도 값보다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세째, 고층아파트 단지의 필로티 공간들중 동출입구의 기능이 없는 '돌출형 출입 + 필로티 부가형' 유형의 공간일 경우 주민들의 공간이용률이 현격하게 저조하여 음성적 공간화 및 공동화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당선안과 조성 현장 비교를 통해 본 전통 재현의 양상 (The Study on Aspects of Representing Tradition in the Winners of Landscape Competitions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Original Designs and the Constructions)

  • 김현희;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38-149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 재현을 위한 합리적 계획 방향을 모색하고자 '의정부 민락 2지구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공모(2008)'와 '화성 동탄 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2012)' 당선안의 설계 도판과 조성 현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설계 도판에 제시된 텍스트와 평면도, 입단면도, 다이어그램, 사례이미지, 투시도를 분석하여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 재현 공간의 구성과 배치, 재현 시설물의 디자인과 식재 양상을 파악한 후 조성 현장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의 유형은 대상지의 향토 경관으로써 농업 경관, 전통마을의 생활공간, 전통 수(水) 공간, 전통문화로 구분된다. 둘째, 재현 공간의 구성 및 배치와 관련하여 주변 토지이용과 지역문화유산이 고려된 전통 테마 공간들을 구성하였으나 조성 시 일부는 근린공원에 요구되는 운동공간이나 편의시설공간으로 변경되었다. 셋째, 재현 시설물의 경우 방지원도(方池圓島), 정자, 화계는 현장에 도입되었으나 창의적으로 디자인된 시설물은 설치되지 않았다. 넷째, 전통 식재 기법은 마을숲, 방지 내 원도, 화계에 수목을 도입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다섯째, 전문 자료를 토대로 한 주제 선정과 실험적 시설물 디자인 제시 등 전통 재현 작업이 진일보한 측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조성 시 실현 가능한 주제 선정, 정보 해석을 위한 전문성, 전통 시설물의 창의적 디자인 등 앞으로 이루어질 전통 재현 작업에 요구되는 과제들을 짚어보았다.

고층아파트단지 필로티 공간의 이용도와 공간구문론 동선관련 지표값과의 상관성 연구 -화성동탄신도시아파트를 중심으로- (Interrelationship Study about Pilotis space utilization in high-rise apartment complex and indicator values related with Space Syntax circulation -Focusing on Hwaseong Dongtan Newtown Area Apartment-)

  • 송병하;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73-568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고층아파트 단지 내에서 주요 계획요소로 자주 채택되고 있는 저층부 필로티 공간의 이용실태를 관찰조사하고 공간구문론 축선도 분석(axial analysis)을 통한 동선관련 지표값들(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과 비교하여 단지내 필로티 공간의 배치와 공간 이용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혀 향후 아파트 단지내 필로티 공간 배치 계획 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필로티 공간은 '단순 이동' 공간으로만 주로 이용되고 있어 주민커뮤니티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주동별 필로티 공간의 이용 빈도 격차는 '돌출형 출입+필로티 부가형' 단지가 '필로티 출입형' 단지 보다 더 심하게 나타나고 있고, 환경파괴(vandalism) 현상도 더 관찰되고 있다. 셋째, 필로티 공간의 이용도는 공간구문론의 동선관련 지표값인 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와 관련이 있으며, 최소 2가지 이상의 지표값이 높은 필로티 공간은 이용빈도가 높은 경향이 있고, 최소 2가지 이상의 지표값이 낮은 필로티 공간은 이용빈도가 낮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