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홀로서기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홀로서기 위한 낙농가 스스로 자구노력이 중요

  • 김상지
    • 월간낙농육우
    • /
    • 통권170호
    • /
    • pp.116-117
    • /
    • 1996
  • 현재 분유체화로 어려움에 직면한 우리 낙농업은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으나 이를 계기로 낙농관련인들이 단합된 힘을 보여 어려운 국면을 타게해 나간다면 오히려 낙농산업을 한단계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내벤처에서 홀로서기 '성공예감'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27호
    • /
    • pp.20-21
    • /
    • 2004
  • 에스코프로는 그동안 서울 대치동에 위치한 포스코센터 건물의 에너지절감사업 이외에 광양제철소, 창원특수강, 포스코의 중국현지법인인 대련포금강판, 한국수자원공사의 전북칠보취수장 등지에서 ESCO사업을 수행했다. 포스코는 에스코벤처팀의 지난 2년간의 경영실적을 평가, 올 1월 성공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분사를 결정하게 되었다.

  • PDF

한부모 이혼 남성의 홀로서기과정 (The "Standing Alone" Process of Divorced Single Fathers)

  • 노정자;강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2호
    • /
    • pp.145-16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tanding alone" in divorced single fathers on the basis of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divorced single fathers.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in open coding, and 154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cess phenomenon of divorced single fathers' standing alone was "the restraint and chaos of pain". This study could identify the consecutive process of four identified stages: marriage life's rupture, pain and chaos, deliberation and decision, and role adaption.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to pass through the restraint of pain and embrace children and stand alone". There were three types of standing alone: maintaining barely, enduring hopefully, and living initiatively.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social support and the basic data by type analysis through the process of standing alone. This study provided substantive knowledge generated through the voices of the persons concerned.

  • PDF

방산업체 활성화에 지혜를 모으자

  • 조동성
    • 국방과기술
    • /
    • 12호통권286호
    • /
    • pp.48-55
    • /
    • 2002
  • 방산업체는 IMF를 거치면서 연구개발은 물론 경영개선을 통하여 기술혁신, 품질관리, 원가절감 노력들을 생존을 위해 뼈를 깎는 마음으로 점철되어 왔음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이제는 업체자체 개발의 경쟁적 체제를 정착시키도록 방산업체의 활성화에 지혜를 모아야 하며 국내시장중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홀로서기"를 위한 연구개발과 투자환경 조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국방정책과 무기체계획득의 의사결정자나 실무자들은 방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무엇이며 그들의 숨소리와 목소리를 겸허하게 경청하는 자세를 견지해야 하며 방위산업육성의 환경조성과 제도적 개선노력이 필요한 분야는 심층 검토하여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업체탐방 / 모제스

  • 신종훈
    • 디지털콘텐츠
    • /
    • 11호통권126호
    • /
    • pp.68-69
    • /
    • 2003
  • “지난 2001년 4월 얼마남지 않은 자본금으로 무엇을 해야 하나 라는 고심 끝에 뛰어든 분야가 모바일 게임 개발이었습니다. 소자본, 새로움에 대한 열정, 기술에 대한 자신감, 팽창하는 시장의 가능성, 수금 걱정 없는 비즈니스 모델 등이 꼭 저희를 위해 만들어진 사업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행히 자신감과 오만함, 그리고 내면의 절치부심이 어우러져 홀로서기가 가능한 회사를 일구어 낼 수 있었습니다.”지난 2001년 12월 모바일 게임 시장에 뛰어든 모제스의 서대도 대표는 모바일 게임이야말로 그들을 위한 최적의 아이템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창의성과 아이디어, 그리고 기술력만 있으면 충분히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 PDF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Achieving Independence after Divorce)

  • 손서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2호
    • /
    • pp.59-7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how divorced mothers had decided to take custody of their children and became single mothers. The experiences of their lives after divorce were also explored. Data were collected from 17 Korean divorced mothers who were divorced between 2004 and 2009, and were raising at least one minor chil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Thre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a) reasons for deciding to have physical custody of the children, (b) mothers' experiences of adjustment after divorce, and (c) mothers' need for a policy concerning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According to the divorced mothers, they decided to have physical custody of the children since they believed raising children was their natural duty of mothers or they were the most appropriate ones to raise the children rather than the fathers. While the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fter divorce in general, they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including child care and financial strain. In particular, most mothers experienced work-family conflict related to the lack of reliable child care. When their family lives and work lives collided, the mothers put their children first and chose jobs that helped them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t the same time. The divorced single mothers hoped that the social safety net for single parents would expand to support their independence. Implications for single-parent policy are discussed.

만손열두조충과 북미열두조충의 중합효소연쇄반응-마디길이여러꼴 분석법을 이용한 유전 형질 비교 (Genetic comparison between Spirometra erinacei and S. mansonoides using PCR-RFLP analysis)

  • 이수응;허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4호
    • /
    • pp.277-282
    • /
    • 1997
  • 만손열두조충과 북미열두조충 (Spirometra mansonoides)의 형태 차이점은 성숙편절의 자궁의 형대 가 전자근 차곡차곡 쌓인 꼴이고 후자는 알과벳 씨자 (C)형태이라는 점이다 이 비슷한 명태의 두 종 의 조충이 유전학적으로는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마디길이여러꼴 분석법(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을 이용하여 유전 형질을 비교하였다. 충체로부터 285리넓솜 리보핵산 (285 rDNA), 사립체 cytochlmsc 산화 효소 아단위 I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mCOI) 및 리보솜 내부 전사된 영역 1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ITSI)에 대한 중합효소반응 산물을 구하였다. 이 산를은 Msp I. Hue III, Alu I, Cfo I, Rsc I의 4 염기 제한 효소로 잘라서, 전기영동하여 길과를 PAUP 3.1.1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285 리보솜 리보핵산과 리보솜 내부 전사된 영역 1 유진자에서는 두 충체 가 동일 한 분류가지에 묶였고 홀로서기수 (bootstrap number)는 94, 100이었다. 사립체 cytochrome c 산 화효소 아단위 1에서는 다른 분류가지에 묶였고 홀로서기수가 74이었다. 위 결과로 투 조충이 같은 조상에서 유래함과 진화 단계에서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설거주 양육미혼모 삶의 경험에 관한연구 (A Study on Life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Residing in Shelter)

  • 이정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36-65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출산 후 시설에 거주하는 양육미혼모 삶의 경험구조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Methods: 2016년10월1일부터 2017년 2월까지 9명의 양육미혼모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Cola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출산 후 시설에 거주하는 양육미혼모 삶의 경험은 네 가지의 주제모음과 15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네 가지의 주제모음은 '출산과 양육과정', '모자보호시설의 생활', '당당한 엄마로 홀로서기', '풀리지 않은 실타래'으로 경험되었다. 결론 : 출산 후 양육미혼모들은 외롭고 고달픈 현실을 혼자 감당해야 한다는 심리적 압박감을 경험하지만 아이와 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양육미혼모들은 자신이 선택한 삶을 아이와 당당하고 행복하게 살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에 미혼모가 안정적으로 살아 갈 수 있는 주거 환경적 지원과 미혼모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사회적 시선과 차별을 버리고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며 함께 더불어 살아가도록 사회 전반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