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비율

검색결과 2,475건 처리시간 0.031초

쌀가루의 입자크기 비율에 따른 품질 특성

  • 금준석;이현유;조윤성;최봉규;태현주;최민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2.1-222
    • /
    • 2003
  • 쌀가루 제조 후 입자크기 비율에 따른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혼합 쌀가루의 색도를 보면 100-200메쉬 사이의 쌀가루 색도에 있어 자기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고 혼합쌀가루가 습식의 함량이 많을수록 쌀가루의 밝기가 증가됨을 나타내었다. 건식과 습식의 비율에 있어 밝기는 유의성을 나타내었지만 a값과 b값의 경우 혼합비율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혼합쌀가루 역시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건식쌀가루의 혼합 비율이 높을 수록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의 값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80메쉬의 혼합쌀가루는 건식쌀가루의 혼합 비율에 상관없이 거의 같은 WAI의 값을 나타내었고, 100-140메쉬의 혼합쌀가루의 WAI 값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WAI와 WSI의 값은 각각 쌀가루의 수분함량과는 유의적인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쌀가루의 입자의 크기와 건식, 습식쌀가루의 종류와 혼합 비율에 따라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의 크기에 따른 호화엔탈피의 변화는 200메쉬 이하의 입자 크기에서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200메쉬 이상에서는 호화엔탈피 값에 차이가 있었다. 혼합쌀가루의 경우 입자가 클수록 전분손상도가 낮게 나왔으며 건식쌀가루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분손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신문고지와 볏짚의 혼합이 포장 트레이의 물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xing of Recycled Newspaper and Rice Straw on Physical Properties of Packaging Trays)

  • 안병국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23
    • /
    • 1996
  • 신문고지에 볏짚펄프를 혼합하였을 때 그 혼합비율이 포장 트레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포장 트레이의 밀도는 볏짚펄프의 혼합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파열강도는 볏짚펄프의 혼합비율이 40%에 달할 때까지는 약간 감소하다가 그 이상의 혼합비율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볏짚펄프 단독으로 제조할 경우 트레이의 파열강도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포장 트레이의 압축강도는 볏짚펄프의 혼합비율이 40-80%되는 구간에서 비교적 낮게 나타난 반면 20%와 100% 수준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볏짚펄프의 혼합이 이루어진 처음 20% 수준에서 투기 시간은 급격히 감소하여 80%에 이를 때까지 약간 감소하다가 100% 수준에서 투기 시간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볏짚펄프의 혼합에 따라 트레이 표면의 L값은 약간 낮아지고 b값은 뚜렷하게 증가하여 황색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팜유 혼합유채유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Mixed Rapeseed oil with Palm oil)

  • 현영희;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7-322
    • /
    • 1993
  • Erotic acid함량이 높은 유채유(HEAR oil)와 erotic acid함량이 낮은 유채유(LEAR oil)에 대하여 팜유를 각각 30%, 50%, 70%의 비율로 단순혼합한 유채유와 ester 교환 혼합유채유를 제조하였다. 이들 혼합유채유의 혼합비율, 혼합방법을 달리한 때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온저장시($60\pm$2^{\circ}C$$)의 산값, 과산화물값, 유도 기간과 상대적항산화효과 및 요오드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혼합유채유의 튀김적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거품형 성성을 측정하였다. 1) 혼합유채유는 팜유의 혼합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산값과 과산화물값이 매우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HEAR oil과 LEAR oil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또한, ester 교환 혼합유채유는 단순 혼합유채유보다 산값과 과산화물값의 초기값이 다소 높았으나 산패의 경향은 유사하였다. 2) 단순 혼합유채유는 유도기간이 HEAR oil의 유도 기간보다 약 2.4~4배 연장되었다. Ester 교찬 혼합유채유에서는 약 2~3.2배 연장되어 단순 혼합유채유의 유도기간이 다소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 혼합유채유의 요오드값은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되었으나 혼합방법에 따른 요오드값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였다. 4) 팜유를 동량혼합한 경우가 가장 거품형성양이 많았으며, 혼합비율을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거품형성양은 감소되었다. 한편 ester교환 혼합유채유는 단순 혼합유채유보다 거품형성양이 약 28~40% 감소되었다. 이 상의 결과로 팜유 혼합유채 유는 HEAR oil과 LEAR oil보다 산화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며, ester교환으로 혼합할 경우 거품형성량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튀김유로의 사용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스프레드시트 기법을 이용한 고형퇴비화 재료 혼합비율의 계산 (Calculating Raw Materials Mixing Ratios for Solid Composting Using a Spreadsheet Approach)

  • 홍지형;박금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7-202
    • /
    • 1999
  • 퇴비화 재료를 혼합하는 목적은 재료를 퇴비황에 최적조건으로 조성하여 퇴비화 성능을 향상 시키고 취기발생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퇴비화성능에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C/N비, 수분 함량, 산도(pH), 산물밀도, 입자크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C/N비는 적정값으로 조성하기 어렵다. 본 자료는 퇴비재료의 적정 수분 함량 및 C/N비를 조성하기 위해 각 요소재료의 혼합비율을 제시하고 있다.

왕겨의 혼합비율에 따른 톱밥⋅왕겨 혼합세라믹의 성질 (Properties of Sawdust-Rice Husk Mixed Ceramic According to The Rice Husk Mixing Ratios)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20-427
    • /
    • 2014
  • 제재과정에서 발생되는 톱밥과 농업부산물인 왕겨의 활용방안을 찾고자 왕겨의 혼합비율에 따라 혼합보드를 제조하고 수지함침 및 탄화과정을 거쳐 혼합세라믹을 제조하여 왕겨의 혼합비율에 따라 물성을 조사하였다. 같은 수지함침율에서 왕겨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 후 밀도 및 휨강도는 증가하였으나 중량감소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같은 탄화온도에서 밀도와 휨강도는 왕겨혼합비율이 40%일 때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라듐 동위원소와 염분을 이용한 동중국해, 남해 및 대한해협 해수의 기원가 혼합비율 추정 (Origin and Mixing Ratio of Water Masses in the East China Sea, the South Sea and the Korea Strait using Radium Isotopes and Salinity)

  • 김기현;한정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3호
    • /
    • pp.216-223
    • /
    • 2000
  • 동중국해, 남해와 대한해협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의 $^{228}$Ra/$^{226}$Ra방사능비와 염분을 이용하여 , 장강수(CW), 황해수(YSW) 그리고 쿠로시오수(KW)간의 혼합비율을 추정하였다. 동중국해의 경우 97년 8월 채집시료의 $^{228}$Ra/$^{226}$Ra방사능비와 염분을 이용한 혼합도는 이 지역이 KW, YSW그리고 CW순으로 세 단성분 모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동중국해의 경우 CW의 혼합비율은 염분만으로도 추정이 가능하였다. 남해와 대한해협의 경우혼합비율 추적자로 $^{228}$Ra/$^{226}$Ra방사능비와 염분을 이용하고 세 개의 단성분을 이용한 혼합비율추정에서 대부분의 정점은 CW의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값들은 혼합비율 추적자로 $^{228}$Ra/$^{226}$Ra방사능비를 이용하고, CW를 제외한 두 개의 단성분만을 이용하여 추정된 혼합비율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CW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는 우기나 단성분간 정확한 혼합비율 추정이 요구될 경우 혼합비율 추정에는 세 단성분을 이용하여, $^{228}$Ra/$^{226}$Ra방사능비와 염분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 PDF

유기자재 종류별 혼합비율이 2년생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유목 생육과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Substrates Mixture Ratio on 2-year-old Highbush Blueberry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 김홍림;김형득;김진국;곽용범;최영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58-863
    • /
    • 2010
  • 블루베리는 유기물 함량이 높고 물리성이 양호한 산성토양에서 안정적인 생육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작물 재배토양은 배수가 불량하고 유기물 함량이 낮은 알칼리 토양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블루베리 재배 농가들은 적합한 토양으로 개량하기 위하여 피트모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작물생육과 경제성이 고려된 혼합비율의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제성과 안정생육을 고려한 적정 피트모스 혼합비율 구명과 이와 비슷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가진 톱밥과 코코피트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기자재는 피트모스, 코코피트 그리고 신선한 톱밥이며, 각각의 유기자재는 토양에 부피비율로 0%, 12.5%, 50% 그리고 100%로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시험 후 유기자재별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 pH는 피트모스와 톱밥이 각각 100%인 처리구가 3.67과 3.73으로 가장 낮았으며, 피트모스 50% 혼합구가 5.30으로 뒤를 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모든 자재가 혼합비율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코코피트 혼합구의 치환성 칼리 함량에서도 동일하였다. 그러나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은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처리별 엽중 질소함량은 피트모스와 코코피트 처리에서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톱밥 처리는 혼합비율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인산 함량은 톱밥과 코코피트 처리에서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칼리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은 유기자재간 혼합비율간 차이가 없었다. 유기자재별 혼합비율에 따른 블루베리의 초장, 경경, 건물중 등의 생육은 피트모스 50%> 피트모스 12.5%> 코코피트 12.5% 순 이었으며, 피트모스 100% 처리구의 생육은 매우 저조하였다. 따라서 블루베리의 토양환경 개선과 우량한 생육을 위한 토양 개선자재로서는 피트모스가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경제성을 고려한 혼합 비율은 25-50% 범위가 타당하다 보겠다.

3성분계 시멘트에서 FA 및 BS의 최적혼합비율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Proportion of FA and BS for Ternary Cement)

  • 한천구;박성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3-148
    • /
    • 2016
  • 본 연구는 3성분계 시멘트에서 FA와 BS의 최적혼합비율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혼화재 치환율 별 FA 및 BS의 다양한 혼합비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플로의 경우는 혼화재 치환율 및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은 혼화재 치환율이 증가하고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단위용적질량은 혼화재 치환율 25% 및 45%에서는 공기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5% 및 100%에서는 FA 치환율 20%까지는 증가하였지만 그 이상에서는 FA의 저밀도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응결시간은 혼화재 치환율 및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의 경우는 재령 91일에 혼화재치환율 25% 및 45%에서 FA : BS의 비율이 40 :t 60인 배합에서 가장 우수한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압축강도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혼화재 치환율 25% 및 45%인 경우에서 FA : BS의 비율 2 : 3인 경우가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는 최적의 혼합비율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대추가루와 설탕의 혼합비율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특성 (The Properties of Seolgiddeok by Mixed ratio of Jujube Powder and Sugar)

  • 박노현;정현숙;최옥자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89-9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대추가루와 설탕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일반성분, 수분결합력, 색도, texturometer에 의한 기계적 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추가루와 설탕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일반성분 중 대조구의 수분 량은 43.93%로 나타났고 대추가루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조단백,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대추가루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설기떡의 수분결합력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추가루 혼합비율이 많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추가루를 혼합한 설기떡의 색도 L값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값과 b값은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대추가루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지고, a값과 b값은 높게 나타났다. texturometer 측정에 의한 설기떡의 기계적 특성은 대추가루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견고성,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은 높게 나타난 반면, 부착성은 낮게 나타났다. 대추가루를 혼합한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 질감, 입안에서의 느낌, 외형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색, 향미,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쌀가루 1,000g에 대하여 대추가루 75.0g와 설탕 57.6g을 혼합한 설기떡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최적 비율의 뽕잎과 오디 분말 첨가 기능성 녹두죽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Nokdujuk prepared with optimum mixing ratio of mulberry leaf and fruit powder by response surface method)

  • 김민주;김애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99-70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이용하여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 녹두죽을 개발하는데 있다. 뽕잎과 오디의 최적 혼합비율을 산출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로 뽕잎분말(X1)과 오디분말(X2)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pH(Y1), 당도(Y2), 점도(Y3), L(Y4), a(Y5), b(Y6), 색(Y7), 향(Y8), 맛(Y9), 전반적인 기호도(Y10), 총 폴리페놀 함량(Y11) 및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Y12)으로 설정하였다. RSM을 이용하여 산출된 뽕잎과 오디의 최적 혼합비율은 뽕잎분말 3.88 g, 오디분말 6 g이었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30.99 mg TAE/100 g이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은 650.10 g/mL으로 나타났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pH는 6.53이었으며, 당도는 $8.93^{\circ}Bx$로 나타났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색도에서 명도 값은 34.41, 적색도 값은 1.36, 황색도 값은 4.47이였고, 점성은 3584 cP로 나타났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관능평가에서 색은 5.20, 향은 5.85, 맛은 6.00이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6.22로 관능평가 점수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뽕잎과 오디 최적혼합비율이 첨가된 기능성 녹두죽은 산화방지 활성 뿐만 아니라 죽이 갖추어야 할 품질특성도 우수하여 바쁜 현대인의 식사대용으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