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합각

Search Result 2,30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ect of Intersecting Angles of Rock Fractures on Solute Mixing at Fracture Junction (암반단열의 교차각이 교차점에서의 용질의 혼합에 미치는 영향)

  • Kim, Dahye;Yeo, In Wo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4
    • /
    • pp.465-473
    • /
    • 2021
  • This numerical study aims at analyzing the effect of flow characteristics, caused by geometrical features such as intersecting angles, on solute mixing at fracture junctions. It showed that not only Pe, the ratio of advection to diffusion, but also the intersecting angl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lute mixing at the junction. For the intersection angles less than 90°, the fluid flowed to the outle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jected flow direction, which increased the contact at the junction with the streamlines coming from the different inlets. On the other hand, for the intersecting angles greater than 90°, the fluid flowed out to the outlet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in the inlet, leading to minimizing the contact at the junction. Therefore, in the former case, solute mixing occurred even at high Pe, and in the latter case, solutes transport along the streamlines even at low Pe. For Pe < 1, the complete mixing model was known to occur, but for the intersecting angle greater than 150°, no complete solute mixing occurred. Overall, the transition from the complete mixing model to the streamline-routing model occurred for Pe = 0.1 - 100, but it highly depended on the intersecting angles. Specifically, the transition occurred at Pe = 0.1 - 10 for intersecting angles ≧ 150° and at Pe = 10 - 100 for intersecting angles ≦ 30°. For Pe > 100, the streamline-routing model was dominant regardless of intersecting angles. For Pe > 1,000, the complete streamline-routing model appeared only for the intersecting angles greater than 150°. For the intersecting angles less than 150°, the streamline-routing model dominated over the complete solute mixing, but solute mixing still occurred at the fracture junction.

Effect of Varietal Mixtures on Growth and Yield of Barley (대맥품종간 혼합파종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Cho, C.H.;Chung, T.Y,;Park, M.W.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4 no.2
    • /
    • pp.43-50
    • /
    • 1979
  •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mixtures of different barley genotypes, four barley varieties that were similar to the variety Kangbori for earliness, culm length, spike type and spike color were tested. The variety Kangbori was mixed with the 4 other barleys in ratios ranging from 20% to 80% of Kangbori. Tests were conducted at Suweon and Iri.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differences in heading date, maturing date and culm length in the various mixtures. In the mixed populations the degree of lodging was decreased due to the superior straw strength of Kangbori. The mixtures of 20% Kangbori and 80% Bunong and 20% Kangbori and 80% Milyang #6 gave the highest yield increase among the combinations.

  • PDF

일반화혼합회귀 추정량과 베이지안 회귀추정량의 비교

  • 김주성;김영권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3 no.3
    • /
    • pp.1-9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 회귀모형의 회귀모수${\beta}$에 대한 사전정보의 형태에 따른 각 추정량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사전정보가 ${\beta}$에 대한 사전분포로 주어지는 경우에 해당하는 베이지안 회귀추정량을 제시하였고, 다른 하나는 ${\beta}$에 대한 사전정보모형으로 선형회귀모형식이 주어진 경우의 일반화 혼합회귀추정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두가지 경우로부터 얻어진 각 추정량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추정량의 공분산행렬을 이 용하여 서로 비교하여 보았다. 각 추정량의 분산비들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일반화 혼합회귀추정량이 베이지안 회귀추정량들보다 비교적 작은 분산값을 가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Gaussian Density Selection Method of CDHMM in Speaker Recognition (화자인식에서 연속밀도 은닉마코프모델의 혼합밀도 결정방법)

  • 서창우;이주헌;임재열;이기용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8
    • /
    • pp.711-716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select the number of optimal mixtures in each state in Continuous Density HMM (Hidden Markov Models), Previously, researchers used the same number of mixture components in each state of HMM regardless spectral characteristic of speaker, To model each speaker as accurately as possible, we propose to use a different number of mixture components for each state, Selection of mixture components considered the probability value of mixture by each state that affects much parameter estimation of continuous density HMM, Also, we use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reduce the correlation and obtain the system' stability when it is reduced the number of mixture components, We experiment it when the proposed method used average 10% small mixture components than the conventional HMM, When experiment result is only applied selection of mixture components, the proposed method could get the similar performance, When we us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feature vector of the 16 order could get the performance decrease of average 0,35% and the 25 order performance improvement of average 0.65%.

Mixed Norm for Multichannel Image Restoration Algorithm (다중 채널 영상복원을 위한 혼합 노름 기법)

  • 김도령;송원선;홍민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1715-1718
    • /
    • 2003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정규화 된 혼합 노름(norm)을 이용한 다중 채널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채널 내부와 채널 사이의 결정론적 정보를 이용하는 다중채널 복원 문제를 고려한다. 각 채널에서, LMS(Least Mean Square), LMF(Least Mean Fourth), 평탄 함수가 결합된 함수가 제안되었다. LMS와 LMF 사이의 적절한 분배를 제어하는 혼합 노를 매개변수와 해의 평탄 정도를 정의하는 정규화 매개 변수를 소개하며, 두 매개 변수는 각 채널의 잡음 특성에 따라 매번 반복적으로 갱신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 채널의 잡음분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지 앉고 앞에서 언급된 매개 변수는 부분적으로 복원된 영상에 기반을 두고 조절하게 된다.

  • PDF

Spectral Mixture Analysis in forest using Landsat-7 ETM+ (Landsat-7 ETM+영상을 이용한 산림지역의 혼합화소분석)

  • 이지민;이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57-162
    • /
    • 2003
  • 중저해상도 광학영상의 순간시야각(instantaneous filed of view -IFOV)에 포함되는 공간에는 반사특성이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지표물이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상분류와 같은 기존의 영상처리기법에서는 하나의 화소가 단일의 지표물을 대표한다는 가정에서 접근하였으나, 최근 화소의 혼합정도를 세분하는 분광혼합분석(spectral mixture analysis)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분광혼합분석법을 이용하여 혼합된 화소에 포함된 지표물을 분해(unmixing) 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여 경기도 광릉국립수목원의 시험림 지역을 대상으로 Landsat-7 ETM+영상을 이용하여 선형혼합 모델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 각각의 화소를 6개의 End-member의 혼합비로 구분하였다. Endmember의 비율을 나타낸 영상을 분석하여 점유비율에 따른 활엽수와 침엽수의 구분을 할 수 있었고, 각 임상별의 특징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침엽수의 경우 그림자의 효과가 높다는 특성도 파악 할 수 있었다. 분광혼합분석법은 기존의 전통 분류방법과는 달리 다양한 산림의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 PDF

Spray Characteristics on Impingement Angle Variation and Mixture ratio of Impinging Injectors (충돌각과 혼합비 변화에 따른 충돌형 분사기의 분무특성에 관한 연구)

  • Gang, Sin Jae;Song, Beom Geun;Song, Gi Jeong;Lee, Jeong 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5
    • /
    • pp.72-79
    • /
    • 2003
  • Spra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impinging F-O-O-F type injector with varying the impingement angle through 15, 20 and 30 degree and the mixture ratio(O/F ratio) from 1.5 to 3.0.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ispersion and impingement angle is not influenced of the mixture ratio variation, but which has influence on number density, and there is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dispersion and impingement angle. Velocity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 and SMD of droplets are decreased as the impingement angle increas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droplet size are in accordance with Rosin-Rammler and Upper-limit distribution.

Physical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Ash and Granite Soil (매립된 석탄 혼합회의 물리적 공학적 특성)

  • Kim, Dae-Hyeon;Kim, Sun-Hak;Kim, Ho-Chal;Goh,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3a
    • /
    • pp.951-9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bigcirc\bigcirc$화력발전소 회사장에 매립되고 있는 혼합회가 도로성토 및 철도노반 등 성토재로 사용될 수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물리적 및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비중, 액소성 시험, 입도분석, XRD 시험, 강열감량시험, 실내투수시험을 통해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고 다짐시험, CBR 시험, 배수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두 가지 혼합회에 실험한 결과 비중은 2.181~2.189, 투수계수는 $1.32{\times}10^{-4}{\sim}1.89{\times}10^{-4}cm/sec$, 수정CBR은 19.5~21%, 배수마찰각은 $36.43{\sim}41.39^{\circ}$로 평가 되었다. 혼합회의 투수계수는 실트질 흙과 유사한 범위에 있으며 배수마찰각은 상대밀도가 큰 모래질 흙이 보일 수 있는 내부마찰각의 범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혼합회는 도로성토 및 철도노반 등 성토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Review Study of Ocean Surface Mixed Layer Modelling (해양 표면 혼합층 모델링에 대한 고찰)

  • 오임상;이영로
    • 한국해양학회지
    • /
    • v.27 no.4
    • /
    • pp.311-323
    • /
    • 1992
  • The study of ocean surface mixed layer modelling has three different approaches: integral models. diffusive models including K theory and higher turbulence closure scheme, and transilient models. None of them is suitable for all occasions because each model has its specific merits and defects. In the present paper, these three types mixed layer models are described, and their relative advantages and applicabilities are discussed in order to guide the researchers who initiate ocean mixed layer study.

  • PDF

Analysis of Parameter Sensitivity of 2D Numerical Model for Simulation of Toxic Contaminants Transport in Stream (하천에서 독성물질의 혼합거동모의를 위한 2차원 수치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Shin, Dongbi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6-106
    • /
    • 2019
  • 많은 도심의 하천들은 오염물질의 유입에 취약하다. 최근 신소재 공학 등 첨단산업이 발전하게 되면서 유해화학물질의 유입문제는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 유해화학물질 유입사고 발생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국내 취수량의 90%는 지표수에서 취수하고 있어, 하천오염사고는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환경에 유입된 유해물질의 거동 매커니즘을 반영한 수질해석이 필요하다. 수체 내에 유입된 유해화학물질은 기본적으로 흐름에 따른 이송 확산을 하며 흡 탈착, 휘발, 침전 부유, 생화학 반응과 같은 다양한 반응과 함께 혼합거동을 한다. 특히 소수성물질의 경우 용해된 상태뿐만 아니라, 유사에 흡착된 상태로 수체에 존재하게 된다. 결국 유해화학물질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흐름 해석뿐만 아니라 수체에 존재하는 유사의 이송 또한 해석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흐름해석을 위하여 서울대에서 개발한 흐름모형(HDM-2D)을 사용하였으며, 부유사 거동모의를 위해 부유사거동모형(STM-2D)을 개발하였다. 또한 유해화학물질의 거동모의를 위해 서울대에서 개발한 수질모형(CTM-2D)에 생성/소멸항을 추가하였으며 흐름모형과 부유사모형과의 연계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혼합거동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각 반응항(흡 탈착, 휘발, 침전 부유, 생화학 반응)을 수치모형에 반영 시에는 보통 두 계(물-토양, 물-공기) 사이의 선형 물질교환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물질의 각 반응 별 평형농도와 물질교환속도계수를 추정식을 통해 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각 기작이 반영유무에 따라 계산시간 및 필요입력변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유해화학물질 유입사고와 같은 빠른 대처가 필요한 경우 각 반응 텀의 유의성을 판단하여 모형에 반영여부를 결정을 통해 경제적인 모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모형의 각 매개변수들의 민감도를 분석하고, 흐름조건 및 물질의 특성에 따른 반응항의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모형(부유사거동모형, 유해화학물질의 혼합거동모형)은 해석해 및 현장 데이터와 비교검증을 통해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각 반응항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매개변수의 임계값을 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