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 기능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27초

기능관리에 의한 건강관리(1) - 생활습관의 평가와 관리에 있어서 기상계 호흡기능검사의 역할 (Health management through the function monitor utilization the role of respiratory function tests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life style.)

  • 윤임중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142호
    • /
    • pp.29-36
    • /
    • 2000
  • 중장년자에서는 생활습관에 의한 질병이 대부분인 바 그 주요 원인인 생활습관은 산소소모가 공통적인데도 불구하고 이를 근거로 한 기능관리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취급된 바 없다. 띠리사 기능관리에 의한 건강관리의 예로써 생활습관의 평가와 고나리에 있어서의 기상계 호흡기능검사의 역할을 소개하고 기능관리에 의한 건강관리, 건강상태를 이용한 건강관리, 일반호흡기능검사의 의의와 한계, 새로 개발된 기상계 호흡기능검사 지표의 의의, 건강정도로 본 건강관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가로막 호흡재교육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들숨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Reeducation Exercise using EMG Biofeedback on Inspiratory Func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이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195-19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가로막 호흡 재교육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들숨 기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연구 결과 EBDBEG에서 최대들숨압(PIP)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바이오피트백을 적용한 시각적 되먹임을 통해 가로막호흡운동 시 보다 정확하게 가로막의 수축과 이완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호흡 보조근을 억제를 유도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되며 좀 더 장시간의 적용은 호흡기능 및 전방머리자세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호흡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Rectus Abdominis on Respiratory Capabilitie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조미숙;박래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4호
    • /
    • pp.601-612
    • /
    • 2005
  • 본 연구는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1회 호흡용적과 폐활량 등의 호흡능력과 복직근의 근육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구 시내 OO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14세 이상 16세 미만의 경직형 사지 뇌성마비 아동 6명(남자 3, 여자 3)을 대상으로 하여 복직근에 1회 20분. 주 3회씩 총 6주간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하였다. 기능적 전기자극의 적용 6주 전과, 직전에 두 번의 사전 검사와 적용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MP30(Biopack, USA)을 이용하여 폐활량과 예측치 폐활량 백분율, 1회 호흡용적을 검사하였으며 Table면전극 근전도(Noraxon, USA)를 이용하여 복직근의 근육 활동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폐활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폐활량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2.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예측치 폐활량 백분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예측치 폐활량 백분율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3.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1회 호흡용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1회 호흡용적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4.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복직근의 활동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복직근의 활동 값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6주간의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 있어서 복직근의 근력을 강화시킴으로써 폐활량과 1회 호흡 용적 등의 호흡능력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호흡기류를 동압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성 일회용 호흡관 (Functional disposable use flow tube converting the respiratory air flow rate into averaged dynamic pressure)

  • 김경아;김현식;이태수;차은종
    • 센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5-131
    • /
    • 2002
  • 호흡기류는 모든 호흡기능검사시 계측해야 하는 필수적인 생체신호이다. 기존에 사용되는 호흡기류 계측기들은 검사의 신뢰도와 위생상의 문제가 상존해 있는 바, 새로운 계측기술을 창안하였다 베르누이의 물리적 에너지 보존원리에 입각하여 양방향 호흡기류를 평균동압력으로 변환함으로써 호흡기류를 계측하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플라스틱 재질의 계측소자를 종이 재질의 호흡관에 체결한 기능성 일회용 호흡관을 설계 제작하였다. 미국 흉부학회의 표준 실험방법에 따라 계측의 정밀도를 평가한 결과 용적계측의 95% 신뢰구간이 약 ${\pm}1.5%$이었다. 미국 흉부학회의 오차기준이 ${\pm}3%$이고 상용센서들의 오차 측정치가 최대 ${\pm}8%$까지 도달함을 닥 때 월등히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였다. 일회용으로 설계 제작한 결과 사공간과 위생상의 문제도 없으므로 기존의 호흡기류 계측기술들이 내포하는 문제점들을 모두 제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기능성 일회용 호흡관은 폐활량계와 같은 임상검사를 위한 호흡기류 계측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가 심혈관계의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on Changes of Cardiovascular Function)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2호
    • /
    • pp.129-139
    • /
    • 1997
  •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의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를 동반한 환자들에서는 여러가지 심혈관계 기능부전이 초래되어 이들 환자의 임상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수면 무호흡증후군,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수면장애의 여러 가지 원인 중 임상영역에서 가장 흔히 볼수 있는 질환으로 전신성 고혈압,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및 우심실 부전,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뇌졸증등의 발병률이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달리 중추성 수면 무호흡은 수면중에 호흡중추를 불안정하게 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역시 심혈관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악화될 수 있는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달리 만성적인 저산소증과 고탄산증이 동반되며 이로 인해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우심실 부전(폐성심) 등의 심혈관계 이상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수면과 관련된 호홉 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는 호흡기계 질환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더불어 동반될 수 있는 심혈관계의 기능부전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기관절개술, 기계적 호흡, 지속적 양압공급치료, 적절한 산소요법 등의 적극적이고도 효과적인 치료법을 적용함으로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환자에서 호흡운동 치료가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eathing Exercise on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Case Study)

  • 정영종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71-80
    • /
    • 2001
  •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환자에게 있어 호흡기능장애는 죽음에 이르게 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이 있으며 호흡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51세의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호흡운동 치료를 시행한 후 폐기능(pulmonary function)이 증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주간의 호흡운동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호흡운동 치료 프로그램은 횡경막 호흡(diaphragmatic breathing), 복부근육강화(abdominal mu scles strengthening), 지갑입술 호흡(pursed lip breathing), 그리고 동기 유발성 흡기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한 흡기운동 등으로 구성되었다. 폐기능 검사는 이동식 호흡측정기(spirometer: MICROSPIROHI-198)를 이용해서 시행하였다. 또한 하지 에르고미터(cycle- ergometer)를 이용해 운동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폐기능의 증진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6주간의 호흡운동 치료 기간 동안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과 정상 예측치에 대한 노력성 폐활량의 비율(percentage of the predicted forced vital capacity: %FVC), 그리고 하지 에르고미터의 운동 시간에 있어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1초간 노력성 폐활량 비(FEV1/ FVC)에 있어서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환자에게 6주간의 호흡운동 치료를 실시한 결과, 폐기능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 대상자에게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Respiratory resistance on Respiratory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병수;박삼호;박효정;이명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34-243
    • /
    • 2019
  • 본 연구는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환자 17명을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n=8)과 일반 진동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군(n=9)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30분간 1일 1회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폐활량과 호흡근력 그리고 동적/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군에서 정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근력의 전 후 비교 결과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그리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근력의 결과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실험군의 폐활량과 호흡근력 또한 실험전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훈련은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20대 성인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ffects of Abdominal Bracing Exercise on Respiratory Function of Normal Adults)

  • 장혜리;황보각;이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36-241
    • /
    • 2019
  • 요부안정화 운동은 척추 주변 근육과 복부 근육을 강화시켜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운동 방법이지만 호흡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요부안정화 운동인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정상 성인의 호흡기능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대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각각 복부 브레이싱 운동을 25분간 실시하는 실험군과 일상생활을 25분간 하는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호흡기능의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최대호기유속을 통해 폐기능 검사를 하였고, 호흡압력의 변화량을 알아보기 위해 최대 호기압력과 최대 흡기압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실험군에서 폐기능과 호흡압력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최대 흡기압력을 제외한 나머지 수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호흡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운동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하모니카를 활용한 호흡재활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 Harmonica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 김혁건;김민서;임한밀;정소;신욱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2호
    • /
    • pp.23-39
    • /
    • 2018
  • 본 논문은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한 하모니카 활용 프로그램이 호흡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한 연구이다. 평균 연령 37세의 복식호흡이 불가능한 척수손상환자 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3개월 동안 1회 60분씩 총 10회의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호흡재활 전후 호흡량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움직임, 특히 목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환자 특성을 고려하여 길이가 짧은 10홀로 구성된 다이아토닉 하모니카를 사용하였고, 척수손상 정도에 따라 손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목걸이 거치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과거 음악경험과 상관없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악곡을 선정하였고, 음정을 내기 위해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긴 음정과 강한 호흡이 필요한 지점들을 훈련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호흡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흡 기능과 관련된 어지럼증과 가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이 증가하고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척수손상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개입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계속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척수손상환자의 호흡 기능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뇌졸중 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호흡기능, 하지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중심으로 - (Effect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Balance for the Wellness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Combined with Breathing Exercise -)

  • 강정일;양상훈;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7-4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이 결합된 들숨근 훈련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 및 다리근육의 기능향상을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21명을 임상 표본추출하여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적용한 집단 11명을 실험군I로, 호흡운동을 결합한 위약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I로 각각 무작위 배치하여 5주 간, 4일/주, 1회/일, 4세트/1회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최대들숨압 측정기로로 호흡기능을 측정하였고, 표면 근전도로 하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버그발란스 검사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5주 후에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 및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군I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과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향후에도 신경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운동과 전신진동에 대한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