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재활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2초

풍선불기와 상복부운동이 호흡재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lloon Blow-ups and Upper Abdominal Exercise on Respiratory Rehabilitation)

  • 이삼철;신승호;정재연;오상부;김상호;김봉환;손경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24
    • /
    • 2011
  • Background : Pulmonary rehabilitation, called pulmonary rehab or PR, is a broad program that helps improve the well-being of people who have chronic (ongoing) breathing problem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upper abdominal exercise and balloon blow-up on the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ability for 20's adults. Method : Recruited Subjects were healthy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Twenty-one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I group applied upper abdominal exercise, IIgroup applied balloon blow-up, III group applied both upper abdominal exercises and balloon blow-ups. Upper abdominal muscle exercises was applied supine position and $30^{\circ}{\sim}40^{\circ}$ in the upper body lift braced for about 3 seconds, and balloon blow-ups was performed 10 times a day. The exercise programs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5 weeks. Results: After 5 weeks of exercises, all three groups were comparable with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ability. Subjects in upper abdominal exercise group, balloon blow-ups group, and upper abdominal exercises and balloon blow-ups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verage of abdominal muscle strength(p<.05) The statistical comparison among the group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gicant increase in respiratory ability. In comparison of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pper abdominal exercises and balloon blow-ups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ability.

  • PDF

허리와 손목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신체활동 에너지 소비량 예측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Physical Activity Energy Expenditure Prediction Algorithm using Accelerometer at Waist and Wrist)

  • 김도윤;정유석;전소혜;강승용;배윤형;김남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축 가속도 동작 감지기를 이용하여 신체활동 에너지 소비량 예측 알고리즘을 구현 하였다. 피험자 33명(남성: 15,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에서 호흡가스분석기, 3축 가속도 동작 감지기(피트미터)를 허리와 손목에 착용 후 2 km/h ~ 11 km/h 까지 각 단계별 2분 수행 후, 1 km/h 씩 증가 시키면 실험을 진행하였다. 3축 가속도 동작 감지기의 x, y, z축 출력 값을 하나의 대표 값으로 처리하는 신호벡터크기(Signal Vector Magnitude: SVM)와 산소소비량과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신체활동 에너지 소비량 예측 알고리즘을 구현 하였다. 허리, 손목, 허리와 손목의 3축 가속도 동작 감지기 착용 위치에 따라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각각의 알고리즘 별로 비교하여 신체활동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 PDF

기관 내 삽관을 위한 내시경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Endoscope System for Endotracheal Intubation)

  • 김형수;강상규;김기영;한영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3-160
    • /
    • 2015
  • 최근 IT융합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의료기기에 대한 IT융합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응급 상황시 가장 기본적으로 우선적으로 시행 되어야 하는 것은 환자에 호흡이고 동시에 응급 환자에 기도를 유지하고 응급 처치를 해야 한다. 그러나 기도를 확보하는 술기인 기관 내 삽관을 하려면 응급 처치 사가 능숙한 경력과 경험을 요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술기에 실패 해 환자에서 후유증을 가져다 줄 수도 있는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술기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기관 내 삽관 술기의 성공률은 50%정도로 높은 수준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기관 내 삽관을 하는 과정에서 인투베이션 튜브에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하여 삽관하고 실시간 모니터링과 무선 영상 전 송 방법인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에서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여 응급 처치 사들의 기관 내 삽관 성공률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척수손상환자의 고령화에 따른 2차합병증 발생과 만성질환발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ccurrence of Secondary Complications and Chronic Diseases due to Aging of Spinal Cord Injury)

  • 민여진;김종배
    • 재활복지
    • /
    • 제22권4호
    • /
    • pp.83-102
    • /
    • 2018
  • 본 연구는 척수손상이 고령이 됨에 따라 만성질환과 2차 합병증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효율적으로 관리와 예방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자는 2013년 4월부터 2018년 4월까지 S병원에 입원한 척수손상 200명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 간염, 결핵과 2차 합병증으로 폐렴, 기립성저혈압, 욕창, 부종, 자율신경반사항진, 심부정맥 혈전증, 이소성골화증, 중추성통증, 경직(상지/하지), 근 골격계 통증, 변비, 구축, 우울증, 골절, 고칼슘혈증, 불면증, 신장결석, 신경인성 방광 및 장, 비요로감염, 비만, 골다공증, 폐혈증, 수면무호흡, 요로감염의 발생유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50세 미만보다 50세 이상 척수손상이 만성질환 및 2차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의 만성질환 유병 오즈비는 고혈압 11.8배, 당뇨 6.7배이며, 2차합병증 유병 오즈비는 골다공증 7.5배, 폐렴 5.2배, 신경인성통증 0.4배로 나타났다. 고령척수손상의 만성질환 및 2차합병증의 지속적인 관리와 서비스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향후 대상자의 확대와 다양한 특성을 포함한 연구가 이루어줘야 할 것이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호흡근 강화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 이명호;김명권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5-8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ulmona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and a stable support surfa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2 stroke patients undergoing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treatment. After excluding six dropouts, eight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ight people in the control groups were classified by random sampling. Both groups performed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therapy and were provided a 10-minute break.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n unstable support surface using Togu, and the control group was trained to strengthen the respiratory muscle in a stable support surfac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per week for 20 minutes. Before and after each group of experiments, a nonparametric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a Mann Whitney U-test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vari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α) were set at 0.05. RESULTS: Both groups showed increases in the pulmonary function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ak expiratory flow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n impaired nervous system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n unstable support surfac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ulmonar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herefore, the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physical therapy programs to help various functional activities.

뇌졸중 환자 대상의 연하재활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 논문 분석 (Analyses of Studies on Swallow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 곽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394-740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2010-2014) 뇌졸중 환자 대상 국내에서 실시된 연하재활중재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문헌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 riss4u.net), 국회도서관과 한국학술정보(kiss.kstudy.com)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총 12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간호학 전공 논문은 4편이었으며, 8편은 작업치료학과 등 타과 논문이었다. 논문의 질적 평가는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2013)에서 제시한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틀을 이용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내용을 종합한 결과, 10점 만점에 7점인 연구가 4편이었으며, 5-6점인 연구는 6편, 4점인 연구가 2편이었다. 연하 재활 중재내용을 분석한 결과 평균 25분을 시행하였으며, 1주일에 평균 4.1회의 빈도로 총 시행횟수는 평균 33.7회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인두를 포함한 구강 운동과 호흡운동의 포괄적 중재, 직접 삼킴 훈련이 삼킴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이를 간호학 중재로 활용하여 근거기반 간호 실무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통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산출 기능 향상 사례 (Therapeutic Singing on Speech Production Parameter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Case Studies)

  • 김주희;김수지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189-208
    • /
    • 2018
  • 본 연구는 세 명의 두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말산출 관련 기능 개선을 목표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를 시행하고, 각 사례 별로 변화를 관찰 기술한 사전-사후 개별 사례연구이다. 중재는 개별 세션의 형태로 매 회기 30분, 주 2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시행된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을 위한 신체움직임, 조음기관의 운동범위 확장 및 성대이완을 위한 발성훈련과 치료적 노래부르기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에 따른 대상자들의 말산출 관련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음성의 질, 길항반복운동속도(diadochokinesis, DDK), 모음공간면적(vowel space area, VSA) 변화 등의 음향학적 분석과 <산책>문단 읽기 과제 시의 청지각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시의 관찰 및 사전 사후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심리정서적 변화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중재 과정에서 모든 대상자의 재활동기 및 음성 사용에 대한 긍정적 변화 양상이 관찰되었고, 중재 후에는 음성의 질, DDK에 변화가 있었으며, VSA의 확대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프로그램이 두경부암 환자들의 음성 기능 및 잔존하는 조음기관 운동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호흡 양상 장애에 대한 사각근의 역할과 치료법에 대한 소고 (A Study of the Role and Treatment of Scalene Muscle in Breathing Pattern Disorder)

  • 변동욱;유홍창;하원배;이정한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
    • /
    • 2020
  • There are studies on breathing pattern disorder (BPD), but the causes of BPD are still complex, and various studies are ongoing. This study reviewed several studie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pathological changes in the scalene muscles may be one of the causes of dyspnea, and that treatment of them may improve respiratory disorders. Anatomically, the scalene muscles are located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transverse process of the ribs and act as a respiratory muscle. If there is a problem or excessive in its role, it can cause chest breathing or oral breathing. These problems may further affect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hyperventilation syndrome, obstructive disease, restrictive disease, and respiratory disord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t seems that manual therapy or exercise therapy for the scalene muscles can contribute to the treatment of BPD.

뇌졸중 환자의 배근력과 호흡기능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강태욱;이재석;한동욱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303-310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measures of respirato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17 (male: 12, female: 5)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at W rehabilitation hospital in Busan, South Korea. Abdominal muscle strength was assessed using a digital manual dynamometer for 5 seconds contacting the sternal notch of the participants to bend the trunk. Respiratory function (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orced vital capacity, and peak expiratory flow) was assessed using a spirome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0.05.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peak expiratory flow. However,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orced vital capacity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function. Exercise programs to strengthen the abdominal muscles are therefore necessary to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협심증으로 발생한 호흡곤란, 흉통 및 피로 환자에 대한 생맥산 합 보중익기탕 가미 1례 증례보고 (A Patient with Dyspnea, Chest Pain and Fatigue due to Angina Pectoris Treated with Saengmaeg-san-hap-Bojungikgi-tang-gami: A Case Report)

  • 박도연;문향란;노희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78-487
    • /
    • 2024
  • Objectives: This case report describes good clinical progress in a patient with symptoms related to angina pectoris treated with a herbal medication. Methods: The 66-year-old male patient hospitalized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NUH) in May 2020 for symptoms of dyspnea and chest pain was diagnosed with angina pectoris, medicated, underwent PCI in August 2020, and continued to take the medicine prescribed at CNUH during hospitalization. Korean medical treatments, including herbal medicines (Saengmaeg-san-hap-Bojungikgi-tang-gami, Yeonggyechulgam-tang), acupuncture, and cupping therapy were administered for 22 days. Symptom severity was assessed with a daily visual analog scale (VAS) for dyspnea and chest pain and standard deviation of NN (SDNN) score of heart rate variability. Results: Post-treatment, severity of dyspnea, chest pain, and fatigue reduced from VAS 7 to VAS 2, VAS 6 to VAS 1, and VAS 7 to VAS 1, respectively. The SDNN score improved from 16.474 ms to 23.270 ms. There were no side effects from Korean medicine treatment. Conclusion: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could effectively treat symptoms related to angina pecto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