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장근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초

호장근 약침이 흰쥐의 콜라겐 유발 류마티스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armacopuncture with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Solution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Wistar Rats)

  • 정준희;김용민;박종필;류인선;임강현;김창주4;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1호
    • /
    • pp.79-89
    • /
    • 2011
  •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은 관절통, 만성 기관지염, 황달, 월경분순, 고협압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류마티스 관절염 병태모델에서 호장근 약침이 류마티스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bovine type II collagen으로 유발된 흰쥐의 류마티스 관절염 병태모델에서 인체의 족삼리(ST36)에 상응하는 부위에 호장근 약침액을 주입한 후, 체중변화, 족부종의 변화, 족근관절폭의 변화, cytokine의 변화, NOS 발현 양상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 족부종 감소율은 고농도 호장근 약침군에서 높았고, 족근관절폭 감소율은 고농도 및 저농도 호장근 약침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족부 삼출물 내의 TNF-${\alpha}$ 함량은 고농도 호장근 약침군에서 높았고, IL-$1{\beta}$ 함량은 고농도 및 저농도 호장근 약침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대뇌 피질에서 NOS 양성 신경세포수는 고농도 및 저농도 호장근 약침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호장근 약침은 type II collagen으로 유발된 흰쥐의 류마티스 관절염 병태모델에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인간유래각질형성세포에서 호장근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능과 보습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eynoutria japonica on skin-barrier and moisturizing in HaCaT cells)

  • 강은정;박지아;최윤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965-976
    • /
    • 2023
  • 호장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잘 자생한다. 호장근은 호장의 뿌리로 항염증과 진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유효성분으로 emodin을 포함하고 있다. 피부의 표피는 자극, 해로운 물질을 차단하고 수분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체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장근과 그 유효성분인 emodin이 피부 장벽과 보습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호장근은 ABTS+ radicals을 우수하게 제거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시간 중합연쇄효소반응을 통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ilaggrin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결과, 호장근과 emodin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filaggrin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호장근과 emodin은 히알루론산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AS-2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emo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장근은 피부 장벽 강화와 보습능 증강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을 이용한 배지에서의 느타리 균사 생장 효과 (The Effect of Reynoutria sachalinensi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 박원목;김영호;고한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322-328
    • /
    • 1996
  •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은 국내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로써 단위 면적당 Biomass가 매우 높으므로 버섯재배의 첨가 기질로써 이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대조구인 malt extract agar보다 왕호장근 1/4 희석 배지에서 느타리 균사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1/8 희석 배지에서는 대조구보다 3배나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균총의 밀도도 매우 높았다. 또한 느타리 균사가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최적 산도 및 희석비율을 알아본 결과 pH 6.5, 희석비율 1/8이 느타리 균사생장에 가장 적합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및 미강를 각각 혼합하여 균사생장을 비교하여 본 결과 왕호장근을 넣은 배지에서 느타리 생강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1.5 내지 2배의 균사생장을 보였다.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희석비율 l/4, 1/8와 pH 4.5, 6.5, 8.5에서 느타리 균사와 Trichoderma sp.의 대칭배양에서 산도 및 희석농도와 관계없이 느타리 균사생장이 월등하게 나타났으며 Trichoderma sp.의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미강을 혼합하여 종균 제조시 톱밥+왕호장근 10%+미강 10%의 배지에서 균사활착이 대조구보다는 4내지 5일 빨랐으며 2배 이상의 균사생장을 보였고 균사의 밀도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호장근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 저해 (Growth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o by Reynoutria elliptica Migo.)

  • 이인선;임효권;이승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82-1187
    • /
    • 2003
  • 위질환 원인균으로 알려진 H. pylori 생육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호장근 메탄을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H. pylori에 대한 항균실험 및 urease 활성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호장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실험을 실시한 결과 5mg/cylinder의 농도일 때 inhibition zone이 17mm 정도로 높은 항균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획물의 경우 1mg/cylinder의 농도일 때 hexane 분획과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각각 24mm, 17mm로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H. pylori의 crude urease를 분리하여 urea broth에서 흡광도와 pH를 조사한 결과, 반응 2시간 후 pH가 8.35까지 증가하였고 $O.D._{560nm}$에서의 흡광도는 0.859까지 증가하였다. 호장근에 의한 urease 활성억제는 호장근의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0.5 mg/mL에서 대조구에 비해 35% 억제효과를 보였고, 2 mg/mL에서는 85% 이상으로 매우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또한. 각 분획물의 저해 효과를 10배 농도의 메탄올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20\;{\mu}g/mL$의 농도에서 water 분획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들이 반응 2시간 후 $30{\sim}40%$의 저해를 보여 $200\;{\mu}g/mL$ 농도의 메탄올추출물이 20% 이하의 저해를 보인 것과 비교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호장근 메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한 H. pylori의 형태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사 및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균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 시 대조구는 균체 표면이 깨끗하고 완전한 구형을 이루고 있는 반면, 호장근 처리구는 균체 표층 구조가 심하게 허물고 떨어져 나간 것을 볼 수 있었고 또한 세포가 팽대하였고 일부 세포벽은 완전히 파괴되어 균체내 성분이 모두 유출되어 균 형태가 없어져 버린 것도 관찰되었다.

호장근(Reynoutria elliptica) 발효 추출물의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억제효과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a elliptica)

  • 임애경;정유정;김길수;김용해;곽정훈;홍주헌;김학윤;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69-375
    • /
    • 2010
  • 호장근 발효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노화 억제활성을 살펴보고자 발효 전후의 호장근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 홍반도, 유수분 함량, 형태학 조직병리학적 검사, GSH, TBARS 그리고 XO, SOD, CAT 등의 항산화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피부 홍반도에 있어서는 대조군에 비해 호장근 발효 추출물 처리군에서 뛰어난 홍반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수분 함량에 있어서도 FR-1000군이 유분함량은 $21.75{\pm}0.72$, 수분함량은 $55.13{\pm}1.07$로 CO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형태학적으로는 FR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피부의 주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도 표피 및 진피의 화농과 염증의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장근 발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GSH는 증가하고 TBARS와 XO의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UVB 조사로 노화가 유발된 hairless mouse에서 호장근 발효 추출물의 도포가 노화된 피부에 염증반응을 약화시키며 유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장벽의 손상을 방지하며, 항산화 효소 및 resveratrol과 같은 항산화 물질을 증가시켜 항노화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호장근 발효 추출물은 피부노화 예방 및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호장근으로부터 분리된 emodin의 혈관신생 억제 활성 (Emodin from Polygonum cuspidatum showed Angiogenesis Inhibiting Activity in vitro)

  • 이태규;김종화;소준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50-54
    • /
    • 2003
  • 호장근에서 분리한 emodin은 VEGF로 유도된 혈관신생의 한 단계인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emodin은 혈관내피세포 이동을 억제시킨 $0.1\;{\mu}g/ml$ 농도에서 시험관내 혈관신생을 억제하였으며, 그 효과는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보였다. 생체내 혈관신생 모델인 CAM assay에서도 emodin은 혈관신생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modin이 현재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생리활성 이외에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emodin을 함유하고 있는 호장근은 혈관신생 관련 질환에 대한 천연물 유래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중요한 식물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호장근 추출물의 항혈전 효능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Antithrombotic Effect and Antiplatelet Activity of Polygonum cuspidatum Extract)

  • 양원경;성윤영;김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8-173
    • /
    • 2012
  • 항혈전 효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호장근 추출물로 혈전 용해능 활성과 혈액 응고시간 지연효과 즉 PT(prothrombin time),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와 혈소판 응집억제 활성 등에 대해 항혈전 효능을 평가하였다. 혈전용해도를 측정하는 fibrin plate가 용해되어 형성된 투명환의 넓이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혈전 용해도가 농도의존적으로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혈액응고 cascad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액 응고시간 지연 및 단축 효과를 확인하고자 APTT와 P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PT의 경우 대조군보다 단축됨을 보였다. APTT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혈소판의 응집에 따라 형성되는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적 저항의 변화로 나타나는 실험을 시행한 결과 호장근의 ADP로 유도한 결과에서 뛰어난 응집억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호장근을 향후에 혈전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ytobiotic소재 선발을 위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Screening Phytobiotic Material)

  • 정희경;김영진;박병권;박승춘;정유석;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35-1240
    • /
    • 2007
  • Phytobiotic으로 활용 가능한 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9종의 약용식물인 진피, 매자나무 뿌리, 매자나무 줄기, 상백피, 석곡, 석창포, 취나물, 택사, 호장근의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성 및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호장근은 총폴리페놀 함량이 $725.8{\mu}g/mL$로 가장 높았으며, 전자공여능이 85.9%, 아질산염 소거능이 92.7%로 우수한 항산화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호장근은 0.8 mg/mL의 농도에서 P. aeruginosa, E. coli, B. cereus,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K. pneumoniae, S. aureus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호장근 추출물은 7종의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K. pneumoniae, S. aureus에 대해서 지속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K. pneumoniae, S. aureus에 대한 $IC_{50}$은 각각 6.24 mg/mL, 1.8 mg/mL이었다. 호장근은 항산화성 및 항균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기능성 약용식물 추출물로 가축의 phytobiotic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호장근 추출액에 의한 염색성(Ⅱ) - 호장근 추출액의 자외 · 가시부 분광 특성 - (The Dyeing Properties of Korean Knotweed Extract(Ⅱ) - The UV-visible Spectrophotometric Characteristics of Korean Knotweed Extracts -)

  • 김미숙;최석철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0-1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trophotometric characteristics of Korean knotweed extracts. The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it′s extracting solvent, effect of metallic ion, variations of pH values and effect of light expos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The highest absorbance was found in methanol extract of Korean knotweed, while the lowest absorbance was carbon tetrachloride extract. The UV-vis. spectra of Korean knotweed colors in several solvents showed hypsochromic shift of n-π/sup */ transition with the polarity of solvent. Absorbance and peak of UV-vis. spectra of Korean knotweed colors became lower and broader by addition of metallic ion. The light stability in irradiation with xenon ]amp of the color solution with Cu were higher than those of Al and Fe. The UV-vis. spectra of Korean knotweed extracts in various pH values showed bathochromic shift under alkaline condition, and their peaks disappeared after 5 hours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