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적 분류

Search Result 3,18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axonomic position of Cymopterus melanotiligia (H. Boissieu) C.Y. Yoon based o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형질에 의한 큰참나물의 분류학적 위치)

  • Yoon, Chang-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1 no.3
    • /
    • pp.253-265
    • /
    • 2001
  • Cymopterus melanotilingia (Apiaceae) was reviewed by external morphology and cross-section of leaf-margin and mericarp, and the taxonomic position of species and genus was reexam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scription and adistribution map of C. melanotiligia were obtained. The leaf-margin forms a collenchymatous ridge by projecting toward the lower part. One mericarp has 2-lateral ribs and 2-intermediate ribs and the other mericarp has 2-lateral ribs and 1-dorsal rib, suggesting each of them is asymmetric. These characters show that this species does not belong to the genus Ostericum s.s., but should be treated as the genus Cymopterus.

  • PDF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zia(Gentianaceae) in Korea 1.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1. 외부형태 및 분포)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2 no.4
    • /
    • pp.324-339
    • /
    • 1999
  • Morphological reinvestigation, external characters and discriminant functional analysis(44 qualitative characters) were examined on 6 taxa of Korean Ophelia, including 5 taxa distributed in south Korea, and one taxon considered to be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in order to clarify the limit of intersection and interspecies. And to establish the taxonomic position. One taxon distributed in north Korea was included in the description of species by observation of herbarium specimen of the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The two sections were successfully distinguished by internal structure of ovary, morphology of nectary, number of corolla lobe and calyx lobe, and species were also distinguished by morphology of cauline leaf, and color and spot of corolla, respectively.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was not distinguished with other species except for absent or present of purple spot in corolla lobe.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l func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characters of corolla were the most important qualitative characters to distinguish the Ophelia taxa, and morphology of seed and seed coat was useful characters to distinguish taxa higher than species. Therefore the difficult problems of identification of species were successfully solved, and the taxonomic position in intrageneric level was clarified on Korean Ophelia.

  • PDF

BENTHIC POLYCHAETOUS ANNELIDS FROM GEOMUN-DO AND BAEG-DO ISL., KOREA (거문도 백도산 다모환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 PAIK Eui-I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2 no.1
    • /
    • pp.41-63
    • /
    • 1979
  • 한국산 다모환충류의 분류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1978넌 남해수역의 중심지역인 거문도와 백도에서 채집한 저서성 갯지렁이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11과 19속 24종의 다모환충류를 얻었기에 그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과와 종의 분류검색료를 작성하였다. 이 가운데 Syllis sclerofaema 흰점염주발갯지렁이, Amphitrite cirrata 유령꽃갯지렁이, Salmacina dysteri 가는관덮개꽃갯지렁이, Dexiospira foraminosus 동그라미관덮개꽃갯지렁이 등의 3과 4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우리나라 동물상에 최초로 기재된다.

  • PDF

HUDF 은하의 형태와 진화

  • Kim, Chang-Yun;Choe, Seok-Hyeon;Jo, Wan-Jin;Han, San;An, Hong-Ba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45.1-45.1
    • /
    • 2012
  • 은하의 형태학적 진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허블 울트라 딥 필드 (Hubble Ultra Deep Field; HUDF)에 있는 밝은 은하를 조사하였다. Coe et al. (2006)의 HUDF 카탈로그에 포함된 적색편이, 적경, 적위, 밝기 등급, 픽셀 면적 값을 사용하여 HUDF은하의 B필터 영상에서 밝은 순서로 1000개의 천체를 선택하고 이로부터 939개의 은하의 육안 분류를 수행하였다. Elmegreen et al. (2005)의 분류 방법에 기초하여 타원 은하, 렌즈 은하, 나선 은하, 올챙이 은하(Tadpole), 이중 은하(Double), 사슬 은하(Chain), 덩어리 은하(Clump cluster)와 그 외의 불규칙 은하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은하의 분류형과 은하의 적색이동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HUDF 은하의 적색편이에 따른 형태학적 진화 양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올챙이 은하, 이중 은하, 사슬형 은하, 덩어리 은하 등 병합 단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은하들은 적색편이가 작을수록 그 수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나선은하들은 적색편이가 작을수록 그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적색편이와 은하 크기 사이의 관계를 보았을 때 낮은 적색 편이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으로 큰 은하들이 대부분 나선 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은하 생성의 Bottom-Up 가설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은하 형태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각 은하의 CAS와 함께 M20, Gini Coefficient(G)를 구하여 이들과 육안 분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CASGM20, 으로부터 은하의 분류 형을 찾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 PDF

Systematic Studies of Korean Rodents : II. A Chromosome Analysis in Korean Field Mice,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Thomas (Muridae, Rodentia), From Mungyong, with the Comparison of Morphometric Characters of these Korean Field Mice to Symptric Striped Field Mice, A. agrarius coreaee Thomas (한국산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II. 문경산 흰 넓적다리 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Thomas, 의 염색체 분석 및 문경산 등줄쥐, odemus Apagrarius coreae 와의 형태적 형질의 비교분석)

  • 고흥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2 no.1
    • /
    • pp.1-10
    • /
    • 1986
  • 문경산 흰 넓적다리 붉은 쥐,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의 염색체 핵형 분석과 단변량 및 다변량분석방법들을 사용한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 와의 형태적 형질의 비교를 하였다. 흰 넓적다리 붉은 쥐의 염색체수는 2n=50-54R지 수적 변이를 보였다. 차단부 염색체의 수는 48개로 개체간에 일정하였으나 , 중부 염색체의 수는 2-6개의 변이가 나타났다. 형태적 형질의 분석결과는 등줄쥐보다 흰 넓적다리 붉은 쥐가 크다고 판정되었으며 가장 구별이 잘 되는 경구개의 길이였다.

  • PDF

Systematic study of Korean Asparagus L. based on morphology and nuclear ITS sequences (외부형태와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한국산 비짜루속 식물의 분류학적 고찰)

  • Cho, Seong-Hyun;Kim, Young-D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3
    • /
    • pp.185-196
    • /
    • 2012
  • Morphological and geographical examinations as well as phylogenetic analyses using ITS sequences were performed for Asparagus L. in Korea. A total of five species of Asparagus were confirmed to be distributed in South Korea. The shape of cladophylls, length of pedicels, and shape of perianth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the identification of Koran Asparagus species. A monophyly of each species was evident in the ITS phylogenetic trees in which multiple accessions (5 to 24, depending on species) represented each of the five Korean species. A. rigidulus Nakai, once considered conspecific to A. schoberioides Kunth, formed a distinct lineage in the ITS trees. Pedicels of A. rigidulus, which is distributed mainly in coastal areas, were about two times longer than those of A. schoberioides occurring in inland areas, suggesting that they should be treated as distinct taxa.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Dioscorea L. (Dioscoreaceae)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한국산 마속(마과)의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 Chung, Dae Hee;Chung, Gyu 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4
    • /
    • pp.380-390
    • /
    • 2015
  •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observed in six taxa in the genus Dioscorea of Korea (D. polystachya, D. japonica, D. nipponica, D. quinqueloba, D. tenuipes, and D. dokoro).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formation of bulbil were useful characters for separating sect. Enanatiophyllum from sect. Stenophora. The important characters for discriminating taxonomic entities were as follows: the position of the anther and the shape of the pistil in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s, including the protuberance of the base of the petiole, the shape and color of the flower, the shape of the fruit, and the shape of the seed wing. Based on the results, a key to Korean Dioscorea is provided and the distribution of these species in Korea is described.

Analysis for River Network Classification based on Beta Distribut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s (Beta Distribution 과 Support Vector Machines를 적용한 하천유역 분류 기법 개발)

  • Jung, Kichul;Shin, Ju-Yong;Um, Myoung-Ji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1-411
    • /
    • 2019
  • 지형학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하천유역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뚜렷한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건은 하천유역의 발달 및 수문학적 특징에 영향을 미친다. 금회 연구는 여러 가지 유역의 특징 중 유역을 대표할 만한 특징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유용한 하천 유역 분류 기법을 제시하였다. 하천유역의 여러 특징 중 지류교차각(Tributary Junction Angle)은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른 특징들과 함께 유역 구분을 위해 분석되어 왔다. 하지만, 지류교차각만 이용하여 유역 분류를 제시하는 기법은 연구되지 않았다. 하천유역 분류 기법 제시를 위해 수지형 유역, 평행형 유역, 부채형 유역, 직사각형 유역, 격자형 유역 등 5가지의 형태를 중심으로 50개의 하천유역을 사용하였고, 지류교차각의 Beta Distribution 모델을 적용하여 매개변수 추정치 산정 후 유역 분류를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 추정치는 각 유역 형태 구분을 위해 적용되었고, 이후 Support Vector Machines를 이용하여 하천유역 형태를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일반적인 통계기법과 다른 유역형태 구분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수지형, 평행형, 부채형 유역 형태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얻어지는 결과는 중요한 수문학적 정보 제공에 사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금회 연구를 통해 Beta 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치는 하천유역 분류 적용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하나의 주요 유역 인자로 유역 구분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하천유역 분류를 통해 수문학적인 동질 유역을 구분하여 수문모델의 수행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문모델 분석과 개발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Ophioglossaceae): First report in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고사리삼과): 한반도 미기록 식물의 형태로 본 계통적 위치)

  • Lee, Chang Shook;Kim, Yoo S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1
    • /
    • pp.68-75
    • /
    • 2012
  • Two unrecorded species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previously known only in Japan, were found in a forest in Dosun-dong, Seogwipo-si, Jeju-do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 atrovirens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species of the genus Sceptridium in Korea by having the thickest rhizome and root, irregularly crenulate or roughly serrate, and a shorter sporophore blade. The local name was newly given as 'Sup-go-sa-ri-sam' for the species, denoting the habitat. S. microphyllum was distinguished by having the smallest plant height, compact sterile blades, and partly lateritious tropophyll in winter. The local name was newly given as 'Aegi-go-sa-ri-sam' for species, meaning of a small size. To reveal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within the genus Sceptridium in Korea, cladistic analysis was performed for 27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of the two taxa, as well as photographs at the habitat, are provided with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Sceptridium in Korea.

A Study of different Combination of contemporary Korean Idiomatic Phrase (현대 국어 관용구의 결합 관계 고찰)

  • Lee, Hee-J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333-352
    • /
    • 1994
  • 이 글은 그 동안 '숙어' 또는 '관용어'라는 이름 하에 별 다른 구별 없이 일괄적으로 다루어져 왔던 현대 국어 관용구를 그의 형태적 통사적 의미론적 결합 관계의 특성에 따라 재분류하여 그들의 특성과 하위 분류 등을 밝혀 보았다. 즉, 관용구를 그 내적구조의 특성, 구성요소들 사이의 의미상의 관련성의 긴밀도, 어휘와의 정도에 따라, 어휘화된 정도가 가장 높고 긴밀도에 있어서도 가장 높고 내적구성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특성을 보이는 것을 '숙어'라 하고, 그 이외의 것을 '연어'라 했다. '연어'가 생겨난 요인에 따라 '형태적 연어'와 '통사적 연어', '의미적 연어'로 나누었다. 이러한 분류는 국어 관용구의 특성을 밝혀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 나아가 각 관용구의 특성에 따른 올바른 기술을 통해 국어의 특수한 어휘 결합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꾀할 수 있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