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적 분류

Search Result 3,18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목재부후균류(담자균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고찰

  • 정학성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5 no.2
    • /
    • pp.20-23
    • /
    • 1989
  •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의 분류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남아 있다. 그 이유는 민주름버섯류가 그만큼 특징들이 다양하고 형태는 유사하나 기원이 다른 이질적인 종류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민주름버섯류의 분류 대가인 Donk도 자신이 추구한 분류체계에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고 후대의 학자들이 도전해야 할 문제점들을 자주 제시한 적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민주름버섯류의 분류가 자연분류와 계통분류를 지향하여 보다 종합적인 방법으로 종의 개념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제 위에 언급한 영양생활, 형태, 배양, 또는 유전적인 특징외에 진화와 계통, 환경과 생태, 지리적 분포와 식생, 핵산구조와 분자계통분류 등과 같은 과제들을 아울러 다룰 수 있는 포괄적인 분류체제의 대두가 요청되고 있다.

  • PDF

Systematic Studies of Korea Rodents : III. morphometric and Chromosomal Analyse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hemuensis Jones and Johnson, from Jeju-Do (한국산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III. 제주도산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Jones and Johnson)의 형태적 및 염색체 분석)

  • 고흥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3 no.1
    • /
    • pp.24-40
    • /
    • 1987
  • Striped filed mice from Jeju-Do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were used for morphometric and chromosomal studies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striped field mice from the korean peninsula (A. Agrarius coreae). It was found that A.agrarius chejuensis and A. agrarius coreae are similar in karyotyp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er is a large-size group and the latter is a small-size group.

  • PDF

최소신장트리를 이용한 흑점군 자동분석 프로그램 개발

  • Park, Jong-Yeop;Mun, Yong-Jae;Choe, Seong-Hw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0.2-130.2
    • /
    • 2012
  • 태양의 활동영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흑점은 주로 흑점군으로 관측되며, 태양폭발현상의 발생을 예보하기 위한 중요한 관측 대상 중 하나이다. 현재 태양 폭발을 예보하는 모델들은 McIntosh 흑점군 분류법을 사용하며 통계적 모델과 기계학습 모델로 나누어진다. 컴퓨터는 흑점군의 형태학적 특성을 연속적인 값으로 계산하지만 흑점군의 형태적 다양성으로 인해 McIntosh 분류를 잘못 분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컴퓨터가 계산한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예보에 직접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개수, 면적, 면적비 등)과 함께 모든 흑점을 정점(Vertex)으로 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하는 간선의 거리 합이 최소인 최소신장트리(Minimum spanning tree : MST)를 작성하였다. 이 최소신장트리를 사용하여 흑점군을 검출하고 가장 면적이 큰 정점을 중심으로 트리의 깊이(Depth)와 차수(Degree)를 계산하였다. 이 방법을 2003년 SOHO/MDI의 태양 가시광 영상에 적용하여 구한 흑점군의 내부 흑점수와 면적은 NOAA에서 산출한 값들과 90%, 99%의 좋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예보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Classification of KANSEI Vocabulary according to Visual Shape Information (시각적 형태 정보에 관한 감성어휘 분류)

  • Baek Sunk-Young;Hwang Kwang-Su;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76-78
    • /
    • 2006
  • 인간의 주관적이고 애매한 감성은 차세대 컴퓨팅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인간의 감성을 이해하고 감성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사용자 중심의 정보 처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해 저차원 시각정보에 대한 강성처리를 연구하고 있다. 기존의 저차원 시각정보 특징을 고려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감성 요구에 적합한 결과를 검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성을 이해, 검색, 인식하기 위한 시각정보와 감성간의 관계 연구 중 우리의 기존 연구인 시각적 형태 정보의 감성어휘 공간에서 형태와 어휘간의 감성거리를 이용한 분류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분류된 각 영역에서의 대표 어휘를 추출하여 시각적 형태에 따른 감성어휘간의 구체적 계층 관계를 정의한다. 이는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 분야에 활용 가능한 연구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에 내재된 감성정보를 해석하고 그 어휘들의 체계적인 시각적 감성관계를 정의하는 의의를 갖는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Internet search engine (인터넷 탐색엔진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김영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7.08a
    • /
    • pp.99-102
    • /
    • 1997
  • 인터넷 도구 중의 하나인 탐색엔진은 월드 와이드 웹의 보편화와 함께 중요한 매개체로 자리잡고 있다. 탐색엔진은 서비스 제공형태에 의해 크게 분류체계 제공형과 주제어 검색 제공형으로 나뉘어 지는데, 분류체계 제공형 엔진에 대한 연구는 그 이용빈도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인터넷 이용자의 탐색노력을 줄이는데 보다 유용한 분류체계 제공형 엔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류체계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는 국내외의 대표적인 탐색엔진 6종과 문헌 분류이론인 KDC와 DDC를 선정하여 그 분류체계를 비교ㆍ분석하여 적합한 형태의 탐색엔진 분류체계의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A taxonomic study of the external morphology of the Korean Oldenlandia L. (Rubiaceae) (외부형태 형질에 의한 한국산 백운풀속(Oldenlandia L.)의 분류학적 연구)

  • Nam, Bo Mi;Jang, Yong Seok;Park, Myung Soon;Eom, Jeong Ae;Chung, Gyu 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3
    • /
    • pp.145-152
    • /
    • 2010
  • The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Korean Oldenlandia were reviewed, and numerical analysis of 25 quantitative character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elimitation of the taxa. Among the qualitative characters, the leaf shape, inflorescence, pilose of insde corolla, expansion of capsule apex, and seed shape were used to delimit 5 species of Korean Oldenlandia. As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O. corymbosa, O. hirsuta and O. strigulosa were evidently separated on a two-dimensional plot by PC1 and PC2, and O. brachypoda and O. diffusa slightly overlapped. However, O. brachypoda was distinctly delimited from O. diffusa by the shape of calyx lobe, the lengths of pedicel, filament and stigma. Also each of those two species was in a group of its own by cluster analysis.

Phylogenetic study of East-Asia Astragalus L.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형태형질에 기초한 동아시아산 황기속 식물의 계통분류)

  • Song, Il-Bae;Heo, Kweo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4 no.3
    • /
    • pp.191-201
    • /
    • 2014
  • In order to find useful taxonomic morphological characters, 17 taxa from East-Asia Astragalus and Oxytropis anertii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seed coat structure, fruit surface, and fruit anatomical structures were selected to classify the species in Astragalus. As a results, useful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in East-Asia Astragalus were life cycle, leaflet shape, raceme, petal color, seed color, pod shape, absent or present of hairs in pod surface, bent degree of dorsal suture, and thickness of endocarp. Using medicinal sources in China, A. floridus, A. membranaceus, A. membranaceus var. mongholicus and A. tongolensis were formed same group. However, these were not completely consensus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other hand, A. koraiensis and A. sikokianus, which have controversial taxonomic issue, have clearly no differences morphological characters each other. Therefore, A. koraiensis, A. sikokianus, and A. bhotanensis should b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n the DNA sequences and molecular cytology in order to clarify the taxonomic treatments in the near future.

Classification of Allium monanthum and A. grai by ISSR Markers (ISSR 마커를 이용한 달래와 산달래의 분류)

  • Lee, Sais-Beul;Kim, Chang-Kil;Oh, Jung-Yeol;Kim, Kyung-Min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6
    • /
    • pp.600-609
    • /
    • 2011
  • One hundred twenty two accessions of 6 species in genus Allium were collected throughout 5 regions of Korea. Their genetic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by using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The morphological analysis was measured for 6 quantitative and quantified for 1 qualitative trait. ISSR analysis obtained a total of 370 polymorphic bands by using seventeen primers. The cluster analysis of genus Allium based on morphological data could identify three groups. The accessions of Allium belonged to the Allium monanthum clustered into five groups at genetic distance ranging from 0.94 on the base of ISS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orphological and ISSR analysis showed low coefficient(r = 0.036). These markers are thought to be used in research of molecular markers for classification and cross breeding of Allium monanthum and A. grai.

Classification of Estuaries based on Morphological Convergence (형태적 수렴 특성을 이용한 하구 분류)

  • SHIN, Hyun-jung;RHEW, Hosahng;LEE, Guan-hong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3
    • /
    • pp.1-22
    • /
    • 2012
  •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estuarie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litative classification based on geomorphic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classification based up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body. While simple and intuitive scheme of the former is difficult to quantify, the latter is not easy to apply due to the lack of data. A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morphological convergence is very promising because it only requires easily accessible data such as width and depth of channels, as well as it can characterize estuaries in terms of tidal propagation.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estuarine morphological convergence using depth and width data obtained from 19 major Korean estuaries. Morphological convergence for each estuary was estimated with the estuarine length, width and depth data to get the convergence parameters, which includes the degree of funneling ${\nu}$ and the dimensionless estuarine length $y_0$. The transfer function ${\xi}({\nu},ky)$ is then deduced analytically from 1D depth-integrated hydrodynamic momentum equation and continuity equation for estuarine shapes. Tidal response of each estuary is finally calculated using ${\nu}$, $y_0$ and ${\xi}({\nu},ky)$ for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The 19 Korean estua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idal amplitude-dominated estuaries with standing wave-like tidal response (group 1), current-dominated estuaries with progressive wave-like tidal response (group 2), and the intermediate group (group 3) between groups 1 and 2. The sensitivity analysis revealed that uncertainties in determining the estuarine length can have a critical effect upon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reasonable determination of the estuarine length is of critical importance. Once the estuarine length is feasibly determined, depth-convergence can be neglected without any negative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has an important ramification on the wide applicability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Thymelaeaceae in Korea (한국산 팥꽃나무과의 비교형태학적 연구)

  • Lee, Jae-Jin;Oh, Sang-H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3
    • /
    • pp.207-221
    • /
    • 2017
  • Thymelaeaceae in Korea includes ten species in five genera (Daphne, Diarthron, Edgeworthia, Stellera, and Wikstroem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phology of these species using herbarium specimens and fresh materials obtained during fieldwork to understand the variation level and to delineate each taxon in the family. Our comparative morph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Korean taxa in Thymelaeaceae were easily distinguished based on their morphologies. It is easy to distinguish Daphne from Wikstroemia when the Korean taxa are considered. However, Daphne genkwa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Wikstroemia based on the leaf arrangement, pubescence of the leaves, and the ovary shape. The results here suggest that further systematic studies of the Daphne group using more data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