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협업디자인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19초

디지털 게임 내 가상경관 분류 기준 확립 및 대표 유형 산출 (Virtual Landscap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Representative Spatial Types in Digital Games)

  • 김익환;이인정;이지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9-28
    • /
    • 2016
  •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공간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지만 디지털 게임 공간을 설계하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게임 속 공간들을 유형별로 분류 및 정의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 게임 공간을 분류하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해당 기준들은 각각 '서술형태, 협업 정도, 상호교환 정도, 공간 동작 차원, 공간 형태' 이다. 이후 본 연구는 확보된 기준들을 바탕으로 20년간 가장 주목받은 게임들 분류하여 그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대표 공간 유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해당 분류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 공간 설계 및 구현 인원들에게 디지털 게임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함에 건축 및 조경의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종 설계 방법론의 차등적 적용이 가능하게끔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콜래보레이션을 통한 패션 디자인 개발 - TV드라마와 여성복 브랜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through Collaboration - Focusing on TV dramas and women wear brands -)

  • 신혜경;이인성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50-64
    • /
    • 2009
  • In current society, products and services are positioned to match customers' lifestyles and emotions. One example of such can be collaboration strategies. Various types of collaboration can be found and should be applied to academic research in terms of fashion designing as well as in marketing. As a result, this research focuses on defining collaboration and identifying its different forms. Case studies are provided for each form of collaboration. A set of emotional factors required for collaboration and a domestic fashion brand is selected in order to carry out analysis and design produ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collaboration can be defined as two or more companies, brands or even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for an agreed period of time by sharing core competencies and advantages in order to pursuit profit and value creation. Second, collaboration types can be specified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within the fashion industry and collaborations with companies outside the fashion industry. In addition, companies may collaborate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value, broadening its areas of business and to execute an event. Third, according to the case studies examined, effects of collaboration can be upgrade of brand images, variety of promotional benefits and increase in sales. Fourth, the selections of collaboration targets were made. MOGG and Sex&the City were chosen in order to apply collaboration strategies in line with promoting the domestic womens' wear market. Fifth, by considering and applying all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the limited edition line was produced under the design concept of 'Sex and the City with MOGG'.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간의 콜레보레이션 (Collaboration Among Design Fields With a Focus on the Fashion Industry)

  • 정훈실;김영인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110-123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the fundamental notions of collaboration in design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ollaboration means a cooperative work which are cooperatively done by collabarator and collaboratee on the equal statu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based on core ability of each of them. This cooperative work is presented with a visual image based on the identity of participants, and it creates an added value. Collaboration is different from convergence and hybri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s and from brand alliance and strategic alliance in the aspects of the subject of project. Secondly, collaboration has been developing through step of using the specific ability, step of sharing each core abilities, and step of fusing their identities, in a view of the sphere of cooperative work and the intimate relations in reciprocity. Thirdly, according to strategic purpose, collaboration can be classified into value ascending collaboration, image changing collaboration, business-field extension collaboration, and event collaboration. Fourthly, production methods of collaboration consist of limited edition method, premium line method, common line method, producing a collaborative product, and so on. Fifthly, differentiation effect, image upgrade effect, production of higher value-added products, sale increase, diversification of business, sharing the targets, and promotion effect are achievable through collaboration. Sixthly, to make progress in collaboration successfully, the compatibility of combination between collaborator and collaboratee, the superiority of collaboratee, definitude of collaboration, the fit method of collaboration, the novelty of collatoration, possibility of issuing of collaboration, and perfection of collabo-product must be the points which deserve our attention.

오피스에서의 소통과 협업 공간을 위한 가구디자인 연구 - 서비스디자인적 관점에서 - (A Study on Furniture Design for the Communication and Co-Working Space in the Office - From a Service Design Perspective -)

  • 신응선;송은정;박혜원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4-163
    • /
    • 2016
  • In today's knowledge economy, various schemes are being devised in order to atta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the most effective ways possible. In an office environment, spatial concepts that encourage 'smart working' is becoming more prevalent; therefore allocating of space according to the types of work being performed, ways to maximise the work efficiency, and furniture arrangement to accelerate liaison among the users are being carefully considered. Especially in a space where its members are encouraged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the furniture within that space need to be attractive and practical for its users, as well as efficient and effective for the firm the service is being provided for. In this study, we aim to offer furniture design service that satisfies such demands of the present time. Thus, instead of merely following a standard design process in which one approaches a project from design planes to an outcome, various asp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will be considered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the users, their needs, and the features of work being performed within the space. After attentive research and analysis, the results will be put into produc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n mind.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furniture design that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working environment that can facilitate efficient use of the limited working space, productivity among the users, and promoting valuable corporate culture.

한류 K-패션 활성화를 위한 전략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a Strategy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Wave K-Fashion)

  • 김희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9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K-fashion and to systematize the strategic features performed by government agencies, fashion associations, fashion companies, and other companies to activate K-fashion. This research analyzed K-fashion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major newspapers and magazines in Korea from the late 1990s to early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K-fash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a trendy and sophisticated design with modern sensibilities, unique designs that reinterpret the latest trends with designer creativity, practical and popular designs that ordinary people can wear comfortably in everyday life. The second is functional and trendy materials. The third is excellent sewing technology. The fourth is rapid turnover of products by quick connections among planning, production and sales. The fifth is a lower price than quality. 2. The direction for K-fashion to pursue was the continuous and ongoing development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and the creation of a 'design with the Korean emotion of its 5,000 year history'. 3. The following projects were carried out to promote K-fashion. 1) Utilization of K-pop, K-drama and other Korean wave content. (1) Holding a fashion concert event that combines Idol's K-Pop performances with fashion shows. (2) Hallyu (Korean wave) star's costume support and design collaboration with Hallyu stars. (3) Collaboration between entertainment companies and fashion companies. 2) Nurturing a global fashion branding project. 3) Business support for overseas expansion of the K-fashion brand. (1) Support project for foreign trade fair participation. (2) Holding a fashion brand fair in Korea. (3) Overseas business support by establishing a showroom and design center 4) Business to discover and nurture new designers

  • PDF

정부의 시각예술 지원정책 (Government Visual Arts Support Policy)

  • 현영란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0권
    • /
    • pp.402-412
    • /
    • 2017
  • 1990년대 이후 정부역할은 거버넌스로 이행되었다. 거버넌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정부와 민간기구의 협력체계를 강조한다. 정부의 시각예술지원 정책은 문화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역문화재단과의 협력체계를 통해 다각적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대 정부의 시각예술 지원은 이전보다 전시지원 건수가 많아졌으며, 2000년대 시각예술지원의 특성은 장르별 지원체계에서 장르를 통합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창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창작지원, 신진미술가들, 다원예술지원, 융복합지원사업이 증가하였고 작품제작비를 지원해 주는 방식이 늘어났다. 2010년 이후에는 장르별 통합한 '시각예술'사업지원이 시행되었으며, 2013년 협업을 통한 융복합 공동기획 프로젝트로 지원이 이루어졌다. 또한 해외레지던스프로그램 국제교류를 통해 보다 많은 전시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05년 이후 독일뿐만 아니라 인도, 이란,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으로 확대되었다. 지방정부의 비엔날레지원 외에도, 지역문화재단을 통한 창작공간지원과 지역협력형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가이드라인 연구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for Expressing Big Data Visualization)

  • 김소연;안세윤;주한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00-112
    • /
    • 2021
  • 최근 빅데이터 기술시장의 성장과 함께 시각화 기술에 관한 관심은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 데이터 시각화는 현재 정보과학, 컴퓨터과학,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통계, 데이터마이닝, 지도학, 저널리즘 등의 광범위한 학문 분야에서 각기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다학제적 연구가 필요한 스마트시티에서의 빅데이터 시각화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서비스와 관련 정책을 전개하는데 있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공간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는 도시정책 수립 과정에서 시각화 자료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통해 단순히 시각화 도구가 아닌 효과적인 정보전달 관점에서 공간기반의 빅데이터 시각화 표현 프로세스와 원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데이터 시각화 모델 프로세스 및 시각화목적에 따른 시각화 표현기법, 디자인조형요소에 따른 특징과 시각화기법을 각각 도출하여 사용자 중심의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표현에 대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패션 디자인에서의 인간-AI 공동창조(HAIC)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Human-AI Co-creation(HAIC) in Fashion Design)

  • 정경희;이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4호
    • /
    • pp.141-162
    • /
    • 2023
  • With the prospect that integrating creative AI in the fashion design field will become more visible, this study considered the case of creative fashion design development through Human-AI Co-creation (HAIC). Methodologically, this research encompasses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fashion design and creative HAIC processes, and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ing AI in fashion design were considered. In the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generating fashion design through HAIC, the HAIC type according to the role and interac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humans and AI was considered, and the HAIC process for fashion design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IC types in fashion design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I-driven passive HAIC, human-driven passive HAIC, flexible interaction-based HAIC, and integrated interaction-based value creation HAIC. Second, the stages of the HAIC process for creative fashion desig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semantic data integration, visual ideation, design creation and expansion, design presentation, and design/manufacturing solution and UX platform creation. Third, in fashion design, HAIC contributes to human ability, enhancement of creativity, achievement of efficient workflow, and creation of new valu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HAIC has the potential to revolutionize the fashion design industry by facilitating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I; consequently, enhancing creativity,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esign process. It also offer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t types of HAIC and the stages involved in the creative fashion design process.

지역사회협력 기반 문헌정보학 캡스톤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연구 - 휴먼라이브러리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21세기 학습 기술 강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Community-based LIS Capstone Course: Developing the 21st Century Skills of Preservice Librarians through Human Library Projects)

  • 이지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379-408
    • /
    • 2023
  • 본 연구는 C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 기개설된 <지역문화정보론> 교과목을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활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으로 구성하여 운영한 사례에 관한 연구이다. 해당 교과목에서는 지역사회 청소년 특화기관과 연계하여 지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수행하고 휴먼라이브러리 콘텐츠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진행하였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수강생 5명과 협력기관 업무담당자 3명과의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개발과 운영의 특징 및 성과를 보고하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또한, 21세기 학습 프레임워크(P21)를 사용하여 수강생들과의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수강생들은 P21의 3가지 기술 영역 전반의 11가지 학습 기술-자기주도, 프로젝트관리, 다양한 팀과의 협력, 유연함, 책임감, 리더십(삶과 경력 기술 영역)과 의사소통과 협업, 문제해결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학습과 혁신 기술 영역), 그리고 미디어결과물생성 기술(정보미디어테크놀로지 기술 영역)-을 강화했음을 확인했다. 본 사례연구는 지역사회협력에 기반한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에 참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의 적용을 통한 커리큘럼 개발에 관심있는 교수자 및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모바일 기기 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도구 디자인과 GUI 연구를 중심으로 - (A New Approach to Mobile Device Design -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Tool & it's GUI for Office Workers in the Near Future -)

  • 양승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31-42
    • /
    • 2006
  • 본 연구는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의 새로운 작업 패턴 및 작업공간의 변화에 합당한 적절한 기술과 이 기술을 활용한 실험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찾기 위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고 새로운 컴퓨터 기술이 사무환경을 급속도로 변화시켜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변화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을 보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들의 업무와 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는 모바일기기 디자인의 실험에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 미래 작업환경은 5년의 기술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시각이 적용 되었다. 근 미래의 사무환경의 실험적인 경험을 얻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 제공하는 사무환경의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 졌으며, 이 실험적인 미래 사무공간에서 사용될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통합된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인 bON은 근 미래의 사무실에서 사용될 업무를 위한 도구인 동시에 커뮤니케이션 기기이다. 사용자가 자기 자리를 떠나 있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된 bON은 업무와 커뮤니케이션이 하나로 통합된 도구로서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모습을 띠고 있다. bON으로 인해 사용자는 자기의 물리적인 작업공간으로부터 자유롭게 떠날 수 있으며, 일상생활의 어떤 시간, 어떤 공간으로도 자신의 업무정보와 개인정보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매우 복잡하고 큰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써 작은 모바일기기인 bON은 사용자의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의 여러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한다. 사용자의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공되는 정보의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하고 방대한 기술 및 관련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 졌으며, 현장관측과 밀착 인터뷰 등의 실제적인 조사방법을 통한 문제발견은 보다 현실성 있는 디자인 제안을 가능하게 했다. 더욱이 제한된 크기의 스크린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각적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GUI의 시도와 제안은 향후 모바일 기기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