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류 지수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자율신경반응에 의한 방향성 의류소재의 힐링효과 평가 (Healing Effect Assessment by the Autonomic Nervous Responses Using the Aroma-Treated Fabrics)

  • 박해리;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18권2호
    • /
    • pp.19-30
    • /
    • 2015
  • 본 연구는 라벤더 향과 레몬 향을 포함하는 방향성 의류소재에 힐링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신체 반응인 자율신경계 반응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라벤더와 레몬향의 마이크로캡슐과 수성 아크릴 바인더를 사용하여 면직물에 코팅처리 하여 각각 2%, 5%의 농도로 처리 된 라벤더와 레몬향의 방향성 의류소재 총 4종을 만들었다. 심전도, 피부전도수준, 혈류량의 실험 참여자는 10명 이었으며, 안정 상태에서 30초, 스트레스 상태 (working memory task) 30초, 향 자극 상태(방향성 섬유를 비벼 향을 나게 한 후) 30초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감성 평가도 함께 실시하였다.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표준화를 해주었으며, 표준화 값에 대하여 안정 상태와 자극 상태의 생리신호 차이와, 스트레스 상태와 자극 상태의 생리신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검정 Friedman 검증을 통해 그 경향을 분석 하였다. 자율신경 발란스 지수(LF/HF)는 스트레스 유발 후 향 자극 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어 사후검증 하였다. 그 결과 레몬 5%의 향 자극은 라벤더 2%, 라벤더 5%, 레몬 2%의 향 자극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 유발 후 레몬 5%의 향 자극은 스트레스를 증가 시켰으나 라벤더 2%, 라벤더 5%, 레몬 2%의 향 자극은 심리적 안정을 유발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본 논문에서 힐링효과를 나타냈다.

천년초 씨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혈소판 응집과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untia humifusa Seed Extracts on Platelet Aggregation and Serum Lipid Level in Ovariectomized Rats)

  • 황현정;강민숙;김보경;정복미;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80-1687
    • /
    • 2012
  • Estrogen의 감소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인 흰쥐의 난소를 절제하여 인위적으로 갱년기를 유도한 후 선인장류인 천년초 씨 추출물의 혈중 지질 함량 및 혈류 개선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7주 동안 천년초 씨 추출물을 섭취한 OHS 2%, OHS 6%군은 체중이 다소 증가하여 체중감소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섭취 농도가 증가 할수록 식이효율은 낮아져 비만조절 효과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천년초 추출물 투여로 인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천년초 씨 추출물이 2%와 6% 함유된 사료를 섭취시킨 OVX-OHS 2%군 및 OVX-OHS 6%군의 경우, OVX-CON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OVX-CON군의 경우 SHA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천년초 추출물 투여군인OVX-OHS 2%군과 OVX-OHS 6%군의 경우 OVX-CO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 AI)는 난소 절제한 OVX-CON군에 비하여 난소 절제 후 천년초 씨 추출물 첨가식이를 섭취한 OVX-OHS 6%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심혈관위험지수를 나타내는 CRF역시 천년초 씨 추출물 첨가식이 섭취로 인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OVX-OHS 6%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다. 또한 천년초 씨 추출물을 섭취로 인해 난소절제군과 비교하여 혈류 흐름을 개선시키고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천년초 씨 추출물이 갱년기 여성의 심혈관계 질환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측두엽성간질의 간질 병소 편측화에서 $^{99m}Tc-HMPAO$ SPECT의 유용성: 뇌파, 자기 공명 영상 및 전산화 단층 영상과의 비교 (Usefulness of $^{99m}Tc-HMPAO$ SPECT in the Localization of the Epileptic focus in Temporal Lobe Epilepsy: Comparison with EEG, MRI and CT)

  • 김종호;김종순;김상은;최창운;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이남수;명호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26
    • /
    • 1991
  • 뇌 혈류의 기능적 영상화는 간질병소의 국소화에 이용되고 있으며 측두엽성간질의 편측화에 여러가지 진단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최근 PET또는 SPECT를 이용하여 측두엽성간질에서 발작 간에 측두엽 병소의 대사율 및 혈류의 감소가 나타나며, 이러한 소견은 발작 유발 병소의 편측화에 매우 유용할것이라는 보고들이 있다. 저자들은 측두엽성간질에서 간질 병소를 편측화 하는데에 $^{99m}Tc-HMPAO$ SPECT의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측두엽성간질 31예에서 발작 간의 $^{99m}Tc-HMPAO$ SPECT 소견, 뇌파, 자기 공명 영상 및 전산화 단층 소견을 비교하였다. SPECT 소견에 따른 나이, 병력 기간과 병발시 나이 등의 임상 지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1예의 환자중 23예에서(74.2%) 국소 뇌 혈류 감소를 보였으며 17예(54.8%)에서 측두엽에 관류 감소가 관찰 되었다. 비인두 뇌파 표준 뇌파는 24예(77.4%)에서 측두엽에 편측화를 보였으며 SPECT와 뇌파 양자가 모두 편측화된 경우 일치도는 8/12예 (66.7%) 였다. 16예에서 시행된 전산화 단층 영상은 모두 편측화를 보이지 못했으며 27예에서 시행된 자기 공명 영상에서는 단지 1예에서 편측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발작 간의 $^{99m}Tc-HMPAO$ SPECT는 측두엽성간질 병소의 편측화에 유용한 보조 검사로 생각된다.

  • PDF

대사증후군 유발 인자에 따른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es according to Metabolic Syndrome-inducing Factors)

  • 안난희;지태정;김현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97-606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5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부산 지역 일개 의료기관을 내원한 환자들 중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피검사를 모두 시행한 23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경동맥 초음파를 통해 내중막 두께와 혈류속도를 측정하고 대상자들의 BMI 및 대사증후군 영향 인자들을 분석하여 내중막 두께와 혈류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BMI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p=0.000으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류속도와 BMI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p=0.015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밖에 연령(p=0.000), 공복혈당(p=0.002), 음주(p=0.006) 등이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증가는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이벤트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배제 시키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며 또한 다양한 예측 방법의 연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일과성허혈발작 및 급성뇌경색환자에서 경두개도플러로 측정된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가 환자 예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symmetric Middle Cerebral Artery Velocity on Functional Recovery in Patients with Transient Ischemic Attack or Acute Ischemic Stroke)

  • 한민호;남효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6-135
    • /
    • 2018
  • 본 연구는 일과성허혈발작 및 급성뇌경색환자에서 양쪽 중 간대뇌동맥의 혈류속도 차이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예후예측력이 뇌졸중 아형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모든 대상자는 일과성허혈발작 및 급성뇌경색환자들이며, 기본적인 평가와 경두개도플러검사(TCD)가 실시되었다.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MCA asymmetry index)는 다음의 공식에 의해 구해졌다; MCA asymmetry index=(|RMCA MFV-LMCA MFV|/mean MCA MFV) ${\times}100$. 뇌경색 분류는 TOAST classification에 따라 진행되었다. 나쁜 예후(poor functional outcome)는 mRS score ${\geq}3$ at 3 months after stroke onset로 정의하였다. 총 988명의 급성뇌경색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그 중 157명(15.9%)이 나쁜 예후를 가지고 있었다. 뇌경색 하위유형 및 여러 혼란변수를 보정 후 실시한 다변량분석에서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만 유일하게 독립적으로 나쁜 예후와 연관성을 보였다. ROC curve 분석에서 중간대뇌동맥 비대칭 지수를 예측모형에 투입하였을 때 투입 전에 비해 나쁜 예후를 예측하는 능력이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from 88.6% [95% CI, 85.2-91.9] to 89.2% [95% CI, 85.9-92.5]). 급성뇌경색환자에서 중대뇌동맥 비대칭 지수는 나쁜 예후를 독립적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경두개도플러검사는 급성뇌경색환자에서 나쁜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장동맥색전술을 실시한 개의 실험적 수신증의 혈동학 (Renal hemodynamics in dogs with experimental hydronephrosis treated with transarterial embolization of renal artery)

  • 장동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13-419
    • /
    • 2001
  • 개에서 실험적으로 편측성 신수종증을 유발한 후, 이오헥솔-에탄올 용액을 신장동맥내로 주입하여 신수종증이 유발된 신장으로서의 혈류를 차단하는 신동맥 색전술을 실시한 후, 컬러 도플러 초음파상을 이용하여 색전술이 실시된 신수종증의 신장과 반대편 정상신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뇨관 결찰 후, 유발 전에 비하여 혈관저항지수가 4일, 9일, 17일째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UN, creatinine, ALT, calcium, phosphorus는 변화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12두의 개에서 요관 결찰 17일째에 편측성 수신증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장동맥 색전술은 7두의 신수종증이 유발된 신장측의 신장동맥에 대퇴동맥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이오헥솔-에탄올 용액을 주입하였으며, 시술 중 심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맥박, 호흡수는 모두 정상범위에 있었다. 신장동맥 색전술 후 사망한 개체는 없었으며, 색전물질의 유출로 인한 부작용도 관찰할 수 없었다. 색전술 실시 후 시행한 칼라도플러 초음파 검사에서는 7두 모두에서 실험 전 기간에 걸쳐 색전된 신장에서 혈관신호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색전술을 실시하지 않은 5두에서는 신장내에서 혈관신호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색전술을 실시한 7두의 정상신장의 평균 혈관저항지수는 정상견의 혈관저항지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칼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법은 개의 수신증에 실시한 신장동맥 색전술 후의 신장동맥의 재맥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간편하며, 비침습적인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Normal File의 차이에 따른 심근 관류결손 크기의 변화 (Variations in The Size of The Ischemic Myocardium Due to Differences in The Normal File)

  • 이재태;이규보;허재경;압둘마시 이스칸드리안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1992
  • 혈관확장제 투여에 의한 약물부하 심근스캔시는 운동부하 심근스캔시와 비교하여 심박출량과 관상 동백 혈류의 증가정도가 달라서 심근내 T1-201의 농도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부하 심근관류스캔의 정량적 판독시에 각각의 부하에 특이적인 Normal file을 사용하지 않으면 이러한 심근내 T1-201 농도의 차이로 인하여 관류 결손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좌전하행지의 유의한 협착이 있는 34명의 단일 혈관 관상동맥 환자에서 이러한 가정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조사하였다. 환자들은 adenosine 140ug/kg/min을 정맥주사하고 T1-201 SPECT를 실시하였다. 관류결손의 크기는 답차운동부하 T1-201 스캔을 실시한 정상인에서 구한 Normal File (File-ex)과 adenosine T1-201 스캔의 Normal File (File-ad)을 각각 이용하여 만든 극성지도에서 구한 adenosine 심근스캔의 관류결손의 범위지수(extent score)와 중증도지수(severity score)로 표시하였고, 이들의 값을 비교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File-ex로 구한 관류결손의 범위지수는 $19{\pm}13%$였고 File-ad로 구한 범위는 $11{\pm}10%$였다(차이 $8.1{\pm}1.6%$, p=0.0001), 중증도지수는 File-ex를 사용하였을 때 $582{\pm}479$였고 File-ad를 사용하였을때는 $310{\pm}309$였다(차이 $272{\pm}49$, p<0.0001). $50\sim70%$의 중등도의 내경 협착이 있었던 20명의 환자에서는 범위지수는 File-ex와 File-ad에서 각각 $17{\pm}10$$7{\pm}7%$(p=0.001)였고, 70% 이상의 내경 협착이 있었던 14명에서의 범위 지수는 각각 $24{\pm}16$$18{\pm}10%$ (p=0.03)로 모두에서 File-ex를 사용하였을때의 값이 컸다. 이와 같은 성적으로 보아 T1-201 스핀에서 관류결손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첨가할 시에는 부하에 특이적인 Normal File을 사용하여야 관류 결손의 정도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즉 dipyridamole이나 adenosine부하경사에서 운동부하의 Normal File을 사용하면 관류결손의 정도가 과대평가 된다는 것이다.

  • PDF

혈류제한이 뇌성마비 아동의 큰볼기근 두께와 밀도 및 백색영역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ood flow restriction on gluteus muscles thickness, density, and WAI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재철;이동규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8-56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lood flow restriction on gluteus muscles thickness, density, and white area index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n=10) or control (n=10)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 bicycle exercise after blood flow restrictio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bicycle exercise. The study used an ultrasonic instrument to measure gluteus muscles thickness, density, and WAI.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for determination of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a Mannn-whitney U test was used for determination of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groups.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in group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gluteus muscles thickness, density, and WAI after the experiment (p<0.05). In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gluteus muscles thickness, density, and WAI than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a bicycle exercise after blood flow restriction effectively improved the gluteus muscles thickness, density, and WAI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 (DENTAL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UNDER GENERAL ANESTHESIA)

  • 상은정;송지수;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8-113
    • /
    • 2017
  • MMD 환자는 심한 울음이나 운동 등으로 유발되는 과호흡성 뇌혈류량 감소에 주의해야 하며, 특히 소아 환자의 경우 낯선 환경에서 쉽게 울음을 터뜨리는 경향이 있고, 뇌의 산소요구량이 많으며, 뇌혈류량 변화에 민감하므로 치과 진료 시에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발달 지연을 동반하여 일상의 구강 위생 관리 및 치과 검진에 비협조적이고, 다수 치아에 광범위한 우식증을 보이는 발달장애가 있는 MMD 소아 환자를 전신 마취 하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한 사항을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이전에 수차례의 뇌경색 증상을 보여 뇌혈관 문합술을 받은 바 있고, 발달 지연 외에도 지적 장애, 언어장애, 편마비, 연하장애, 사시증을 동반하였다. 환아의 기저 질환과 협조도, 우식의 심도를 고려하여 세보플루레인을 이용한 전신 마취를 행동조절 요법으로 선택하였고, 술 전 정맥로 확보 시 환아의 불안을 조절하기 위해 미다졸람 경구 투여를 시행하였다. 모든 생징후를 안전하게 감시하며 성공적으로 치과 치료를 마친 후, 적극적인 통증 조절을 위해 아세트아미노펜 경구 투여를 시행하였다. 전신마취 이후에는 정기 검진 및 불소 도포를 통해 환자의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었다.

만성 간질환에서 Propranolol의 문맥압 감소 효과: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를 이용한 평가 (Effect of Propranolol on Portal Vein Pressure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Evaluation by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 노영호;한신;김학수;윤수진;김윤권;김소연;김영중;조민구;박병익;이권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88-397
    • /
    • 1999
  • 목적: Propranolol은 비선택적 ${\beta}$ 차단제로 문맥 혈류를 감소시켜 문맥압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propranolol의 치료에 따른 문맥압 감소 반응정도를 약물투여 전후에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간경변증 51명과 만성 간염 10명 및 정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propranolol 투여의 금기가 없는 38명에서는 propranolol 투여 후 일주일 후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를 시행하였다.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는 Tc-99m pertechnetate 370 MBq을 경직장으로 투여한 다음 동적 영상을 얻었고, 30초 동안의 심장과 간의 방사능의 합에 대한 심장의 방사능의 합으로 단락지수를 구하였다. 결과 정상 대조군과 만성 간염 환자군은 모두 pattern I의 유형을 보이고, 간경변증은 10명에서는 pattern 1,40 명에서는 pattern II의 유형을 보였으며, Propranolol 투여 후 맥박수는 투여 전에 비하여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정상 대조군, 만성 간염, 간경변증으로 나누어 단락지수를 비교한 것은 각각 $5.0{\pm}1.2%$, $11.4{\pm}3.5%$, $59.8{\pm}27.2%$로 정상과 만성 간염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간경변증은 정상 및 만성 간염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간경변증 환자에서 propranolol 투여 후의 단락지수는 $46.9{\pm}20.9%$로, 투여 전의 단락지수 $55.6{\pm}29.6%$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p<0.05), Child씨 분류법 및 식도 정맥류 정도에 따른 각 군간의 단락지수의 변화정도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를 이용한 단락지수는 간질환의 진행에 따른 문맥압의 정도를 반영하며, Propranolol 투여 후에는 단락 지수가 감소하였다.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서, 문맥압을 평가하고, propranolol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