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탁배양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1초

당근 모상근의 최적 영양 요구성 (Optimal Nutritional Requirements of Carrot Hairy Roots)

  • 김지현;유영제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46-54
    • /
    • 1995
  • 당근 모상근의 생리학적 특성을 기존의 현탁 배양세포와 영양 요구성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 하였다. 인산염과 질소원 등 무기 영양분의 영 향은 당근현탁세포에서와 통일하였고 모상근 성 장의 최 척 sucrose 농도는 7%로, 3 % sucrose 농도에서 최대 성장을 보인 현탁세포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였다. 이는 현탁배양세포는 미분 화된 상태로 세포 각각이 외부 환경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분화되어 기관 스스로 세포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만드는 모상근보다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되었다. Sucrose가 모상근의 성장에 미 치는 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삼투압 조절제인 mannitol을 배 지에 첨가하여 sucrose 농도가 생체중량과 건조 중량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모상근의 성장은 배지 내 sucrose 농도에 영향을 받았 고, sucrose 농도가 통 일할 때 건조중량 증가는 생체중량 증가보다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모상 근 배양계에서 sucrose는 삼투압 조절제로서의 역할보다 주로 에너지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 었다.

  • PDF

지황의 캘러스 유도와 현탁배양에서 체세포배 발생 (Callus Induc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in Suspension Culture of Rehmannia glutinosa)

  • 채영암;박상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4-190
    • /
    • 1993
  • 1. 지황의 잎 조직에서 캘러스 유도는 옥신류와 사이토키닌류의 단독처리보다는 BA와 NAA를 혼합처리하는 경우에 캘러스 유도가 잘 되었다. 2. 옥신류의 embryogenic 캘러스 유도는 5% 정도로 극히 낮았으나 사이토키닌류를 처리한 경우는 $40{\sim}55%$로 높아졌다. 3. BA 4mg/1 NAA 0.5mg/1 처리에서 embryogenic 캘러스 유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4. 배지 종류별로는 Linsmaier-Skoog배지가 embryogenic 캘러스 유도와 유도량이 가장 많았다. 5. Embryogenic 캘러스 유지도 BA 4mg/1과 NAA 0.5mg /1 처리 에서 가장 효과적 이었다. 6. 계대배양 회수가 증가할수록 캘러스 생장량은 증가하였지만 embryogenic 캘러스 빈도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7. 현탁배양시 체세포배 생산은 BA 1mg/1처리 에서 가장 많았다 8. 체세포배에서 식물체 분화는 식물 생장조절제가 처리되지 않은 1/2 LS기본배지에서 가장 잘 되었으며 토양활착율은 75% 정도이었다.

  • PDF

담배 (Nicotiana tabacum L.) 현탁배양세포의 Elicitor 유도성 5-epi-Aristolochene Hydroxylase (Elicitor-Inducible 5-epi-Aristolochene Hydroxylase in Suspension Cultures of Tobacco (Nicotiana tabacum L.))

  • KWON, Soon-Tae;CHAPPELL, Joseph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1-146
    • /
    • 1998
  • [$^3$H] 5-epi-aristolochene (5-EAS)를 담배 현탁배양세포에 투여하여 elicitor에 의해 유도된 세포가 생합성하여 배지로 방출하는 [$^3$H]-capsidiol의 량을 측정함으로써 5-EAS hydroxylase의 활성을 검정하였고, 이 반응의 전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인 sesquiterpene cyclase의 발현특성과 비교하였다. 5-EAS hydroxylase는 정상세포에는 전혀 활성을 보이지 않으나 elicitor로써 cellulase를 처리한 세포는 9시간 후부터 유도를 시작하여 18시간 후에 최대 활성을 보였는데 동일한 세포내에서 유도되는 cyclase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Cyt P450계 효소의 특이적 억제제로 알려진 ancymidol과 ketoconazole에 의해 5-EAS hydroxylase의 활성은 강한 억제를 보인 반면 cyclase의 활성은 억제를 보이지 않아 5-EAS hydroxylase가 P450계 효소임이 시사되었다.

  • PDF

Kasugamycin 생산을 위한 연속 청정생물공정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Clean Bioprocess for Kasugamycin Production)

  • 김창준;박선옥;장용근;전계택;이종대;김상용
    • 청정기술
    • /
    • 제4권1호
    • /
    • pp.45-59
    • /
    • 1998
  • 방선균인 Streptomyces kasugaensis에 의해서 생산되는 이차대사산물인 kasugamycin 생산성 증대 및 단위 생산량 당 오염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한 연속 고정화 배양을 수행하였다. 세포 고정화에 적합한 포자 수확을 위한 포자형성 촉진 배지 개발은 물론 고정화 담체로 사용한 셀라이트에 수확된 포자를 고정화시키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연속 고정화 배양 시 고정화세포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정된 연속배양을 가능토록 하기위한 decantor 형태의 고정화세포 분리기가 장착된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희석 속도 및 공급액 중의 기질 농도(당 농도, 인 농도)를 변화시키며 생합성된 kasugamycin 생산성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을 현탁세포를 이용한 회분식 발효에서의 kasugamycin 생산성 및 발효 폐액 중의 COD 값과 비교하였다. 고정화 세포를 이용한 연속배양에서의 kasugamycin 생산성이 현탁세포를 이용한 회분식 발효에 비해 2.5배 높았으며, 동시에 단위 생산량 당 COD가 2.3배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부터 연속 고정화 배양이 현탁 회분식 배양에 비해 kasugamycin 생산성 및 오염물질 배출 측면에서 유리한 청정 공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담배 (Nicotiana tabacum cv. BY4)의 캘러스로부터 p-Fluorophenylalanine 저항성 캘러스 선발 및 효소활성도 측정 (p-Fluorophenylalanine Resistant Cell Line Selection and Enzyme Activity from Diploid and Hapliod calli of Nicotiana tabacum cv. BY4)

  • 오승철;소웅영;조덕이;오승용;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9-74
    • /
    • 2001
  • 담배 (Nicotiana tabacum cv. BY4)의 이배체 식물과 약배양으로부터 유도된 반수체 식물의 잎절편을 사용하여 0.5mg/L 2.4-D 단독처리구에서 캘러스를 유도한 후, 2.0 mg/L 2.4-D, 1.0 mg/L Kinetin 및 0.1 mg/L BAP를 조합처리하여 계대배양을 하였다. 이배체에서는 2.0 mg/L 2.4-D와 1.0 mg/L 카이네틴의 조합처리구에서, 반수체는 2.0 mg/L2.4-D 와 0.1 mg/L BAP 조합처리구에서 세포증식이 양호하였으므로, 현탁배양도 동일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세포괴를 균일하게 한 현탁배양세포를 p-Fluorophenylalanine (PFP)이 5~100 $\mu$M의 농도로 단독처리한 배지상에 2.0 mL씩 평판배양하여, 10, 20, 30일 후 PFP의 처리에 대한 저항성 colony를 조사하였다. 배양 30일 후 세포주의 생중량을 측정한 결과 PFP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선발된 캘러스는 이배체서 peroxidase의 활성도가 5 $\mu$M PFP 처리시에 가장 높았는데 100 $\mu$M PFP 처리까지는 대조구보다는 높았다. Catalase의 활성도는 5 $\mu$M PFP 처리시 가장 높았으나 100 $\mu$M PFP 처리시 가장 낮았다. 한편 반수체에서는 peroxidase와 catalase의 활성도는 50 $\mu$M PFP 처리시 가장 높게 나타나서 이배체와 반수체 사이에 효소활성의 차이는 뚜렷했다.

  • PDF

낙엽송(Larix kaempferi) 현탁배양된 배발생세포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를 위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효과 (Effect of kinds and concentrations of osmoticum on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germination from suspended embryogenic cell in Larix kaempferi)

  • 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41-146
    • /
    • 2013
  • 본 연구는 낙엽송 배발생세포의 배양기간에 따른 현탁세포의 생장,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를 위한 다양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발생 현탁세포의 생장은 배양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settled cells volume (SCV)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배양 18일 경에는 최대 10.1 ml의 SCV를 보였고, 그 이후로는 세포생장이 감소하였다. 현탁세포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효과 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2 M sucrose 처리구에서 352.3개(/g FW)로 나타났으며, 0.2 M maltose (203.7) 및 0.3 M maltose (193.7) 처리구에서 또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7.5% polyethylene glycol (PEG)이 첨가된 0.15 M sucrose 혹은 maltose 각각의 처리구에서는 체세포배 발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양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서 발생된 체세포배의 발아율 비교에서는 최대 자엽 형성율(25.2%) 0.3 M maltose, 하배축 형성률(39%), 뿌리 발생율(30.3%) 및 식물체 재분화율(3.5%)은 0.2 M sucrose 처리구에서 각각 나타났다.

오이의 배발생 현탁 배양세포로부터 제초제 저항성 형질전환 식물체 생산 (Production of Herbicide-resistant Transgenic Plants from Embryogenic Suspension Cultures of Cucumber)

  • 우제욱;정원중;최관삼;박효근;백남긴;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3-58
    • /
    • 2001
  • 제초제 저항성 오이 (Cucumis sativus L. cv Green angel)를 생산하기 위하여 배발생 현탁배양세포와 binary vector pGA-bar을 지닌 Agrobacterium tumefacians (LBA4404)를 공동배양하였다. 형질전환 벡터의 T-DNA부분에는 kanamycin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neomycin phosphotrans ferase (npt II) 유전자와 phosphinothricin (PPT)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bar)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48시간의 공동배양 후 배발생 캘러스는 20mg/L PPT가 함유된 성숙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약 200개체의 형질전환 유식물체를 40mg/L PPT가 첨가된 호르몬이 없는 배지에서 생산하였다. 5개의 오이 형질전환 식물체의 염색체에 bar유전자가 도입되어 발현되는 것을 nor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오이 식물체가 토양에서 성숙되었다. 성숙한 오이 식물체는 PPT가 함유된 상업적 제초제 (Basta)를 일반적인 사용 농도 (3ml/L)처리시에도 저항성을 나타내며 생장하였다.

  • PDF

지치세포 배양에 의한 ${\gamma}$-Linolenic Acid 생산 (Production of ${\gamma}$-Linolenic Acid by Cell Suspension Culture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 김용환;김정봉;류태훈;이철희;황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114
    • /
    • 1995
  • 지치 (Lithospermum erythorhizon SIEB, et ZUCC)의 잎조직으로부터 유도한 캘러스를 현탁배양하여 약리성 지방산인 ${\gamma}$-linolenic acid (GLA)를 생산하는 기술을 확립하고자 탄소원, 질소원,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캘러스 유도는 1.0 mg/L 2,4-D 단용첨가시 가장 왕성하였다. Sucrose 88mM농도에서 세포생육이 가장 왕성하고 총지방산(TFA)중 GLA비율이 높아 단위건물중당 TFA함량이 가장 낮았음에도 flask당 GLA생산량은 가장 많았다. 질소원으로서 potassium nitrate농도증가는 세포생장 및 지방산함 량 및 GLA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최고 처리농도인 56.3 mM 에서 최고수준을 나타냈다. IAA 첨가는 배양세포 생장량을 증가시켰고 2,4-D는 배양세포내의 총지방산 함량을 높이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kinetin과 BA는 세포생육에 저해적 영향을 나타냈다. $10^{-7}$ M ABA는 캘러스생장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TFA 및 GLA함량도 증가시켰으나 현탁배양세포의 생육과 지방산 축적에는 저해적으로 작용하였다.

  • PDF

내산성 레드 클로-버의 배양세포수준에서의 선발 II. 레드 클로-버의 현탁배양 및 내산성 세포의 선발 (Selection of Acid Tolerant Red Clover Cell Line on the Cellular Level II. Effect of some factors affecting suspension culture and acid tolerant cell selection)

  • 손대영;이순희;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
    • /
    • 1993
  • 레드 클로-버의 액체배양세포로부터 내산성 세포선발에 대한 몇가지 요인들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액체배양세포의 유도에는 auxin원으로 2,4-D 2 mg/l와 cytokinin으로 BAP 0.5 mg/l를 혼합처리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여러가지 기본배지중 PC배지가 액체배양세포의 유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내산성 세포를 선발하기 위하여 EMS를 여러가지 농도에서 4시간 처리했을 때, 가장 효율적인 EMS농도는 1 %였으며 이 때 plate당 평균 27개의 colony가 선발되었다. 1%의 EMS를 처리한 결과 내산성 세포발생빈도는 8.9$\times$$10^{-5}$으로서 EMS 무처리구의 100배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최초에 선발된 변이주는 총 176주였으나 선택배지에서 4주간격으로 2회 계대배양 후 살아남은 colony수는 44주였다.

  • PDF

치과용 유니트 수관에서 분리한 세균의 부착 및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Abilities of Bacteria Isolated from Dental Unit Waterlines)

  • 윤혜영;이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9-75
    • /
    • 2018
  • 우리 연구의 목적은 DUWL에서 배출되는 물에서 분리한 균주의 부착 능력과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을 확인하고 두 능력 사이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DUWL로부터 분리한 12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균주의 부착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12-well plates의 각 well에 멸균된 glass coverslip, R2A 액체 배지, 그리고 $1{\times}10^8CFU/ml$의 농도로 조정된 세균 현탁액을 넣고 $26^{\circ}C$ 배양기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glass coverslip에 부착한 정도에 따라 1~3점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분리 균주의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96-well polystyrene flat-bottom microtiter plate에 R2A 액체 배지와 세균 현탁액을 넣고 $26^{\circ}C$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plate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은 R2A 액체 배지에 현탁했고, 현탁액을 R2A 고체 배지에 도말하였다. $26^{\circ}C$에서 7일 배양한 후 세균의 집락을 계수하고 CFU/ml를 계산하였다. DUWL로부터 총 56균주가 분리되었으며, 12속과 31종을 포함하였다. 실험에는 속당 1균주씩 선택하여 총 12균주가 사용되었다. 12균주 중에 S. echinoides, M. aquaticum, C. pauculus의 부착 능력 점수는 +3으로 가장 높았다. 바이오필름 축적량은 C. pauculus가 가장 많았고, M. testaceum이 가장 적었다. 대부분의 부착 능력이 높은 균주는 바이오필름 형성 능력 또한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DUWL 바이오필름의 형성 기전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나아가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의 개발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