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감

Search Result 67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andardization Trends of VR Media (VR 미디어 표준화 동향)

  • Kwak, S.W.;Jeong, J.Y.;Kim, J.S.;Yun, K.G.;Cheong, W.S.;Seo, J.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3
    • /
    • pp.28-35
    • /
    • 2017
  •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일인형 미디어 소비의 증가와 초 고화질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획득, 압축, 전송 및 재현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VR(Virtual reality) 미디어는 사용자에게 높은 몰입감과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미디어 형태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VR 미디어 시장에서의 요소기술 선점을 위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DVB(Digital Video Droadcasting)와 같은 세계 유력 표준화 단체에서는 관련 기술검토 및 유스케이스 수집 등을 포함한 표준화 준비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상기 표준화 단체들의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관련 핵심 요소기술들의 연구 개발 현황을 확인하고자 한다.

Design of Graphic User Interface for Collaborative Display and Smart User Interaction (협업 환경 디스플레이와 지능형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설계)

  • Ko, Su-Jin;Kim, Jo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67-572
    • /
    • 2007
  • 빠른 인터넷의 보급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원격지 구성원간의 협업으로 인해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다자간 협업 환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현재 이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커뮤니티 컴퓨팅 환경에서의 원격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 기술로는 먼저 지능형 원격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네트워킹 구조를 설계하는 기술, 다양한 종류의 입력 채널의 내용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기술, 협업 구성원 간의 자연스러운 데이터 및 태스크 마이그레이션 기반 기술, 그리고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는 위치적인 이질감을 극복하고 현장감 있는 공동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터랙션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랙션 기술을 소개하며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된 협업 환경, 특히 공통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경 정보를 사용자 컨트롤 머신에도 Graphic User Interface(GUI) 기술을 통해 제공하는 방안이 논의되어 진다.

  • PDF

A Study on the 3D Delivery for the Combined Networks of DTV and IPTV (DTV와 IPTV 연동망을 통한 3D 전송기술)

  • Lee, Bong-Ho;Lee, Hyeon;Heo, Nam-Ho;Kim, Jin-Un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3
    • /
    • pp.82-95
    • /
    • 2008
  • 3DTV는 향후 모노스코픽 TV(2DTV)를 대체할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시청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함으로 인해 기존 모노스코픽 TV에 비해 보다 현장감과 현실감 있는 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송측면에서 보면 3D 서비스를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모노스코픽 TV에 비해 전송 용량의 증대를 가져오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기고에서는 지상파 방송망과 방송과 통신의 융합 서비스로 불리는 IPTV 망을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errestrial UHD HDR Real-Time Broardcasting System (지상파 UHD HDR 실시간 방송 시스템 구축 및 검증)

  • Cho, Jun-Ho;Kim, Yong-Su;Seo, Jung-Ho;Chung, Da-Woon;Lee, B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93-96
    • /
    • 2018
  • 2017년 5월 31일 지상파 UHD 본 방송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 기존 HD 방송 대비 4배 이상 선명한 영상 제공을 통해 시청자는 현장감과 사실감을 체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HD 방송과 차별화된 효과를 보다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2018년 러시아 월드컵 기간 동안 고명암비와 광색역 기술을 적용한 지상파 UHD HDR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UHD HDR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기술들을 연구하고 송출 시스템을 설계 및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8 러시아 월드컵 기간 동안 UHD HDR 방송을 송출함으로써 수신단과의 정합성을 입증하였다.

  • PDF

Luminance-adaptive Image Stitching by Using Deep learning based Feature Detection and Matching (딥러닝 기반 특징점 추출 및 매칭 기술을 활용한 밝기 적응형 영상 스티칭)

  • Kim, Minyoung;Kim, Geonho;Lee, Minseok;Rhee, Seongbae;Kim, Ky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847-850
    • /
    • 2022
  • 최근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파노라마(Panorama) 영상 등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해상도 영상을 얻기 위한 영상 스티칭(Image Stitching)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영상 스티칭은 다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해 카메라의 좁은 시야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몰입감과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영상 스티칭에 있어 특징점 추출 및 매칭 과정의 정확도는 스티칭 영상의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기존의 특징점 추출 및 매칭 방법은 밝기가 어둡고 선명도가 낮은 영상의 스티칭에서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생성된 스티칭 영상의 품질 또한 저하될 수 있다는 제한 사항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앞선 제한적 영상에 대하여 특징점 추출 및 매칭의 정확도를 높여 스티칭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SuperPoint와 SuperGLUE를 활용한 입력 영상의 밝기 적응형 영상 스티칭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VR Score Game Contents that Combine Shooting Game and Chemistry (슈팅게임과 화학을 접목시킨 융합체험형 VR 스코어게임 콘텐츠 개발)

  • Jung, Jun Young;Jo, Min Hwa;Choi, Kyu R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112-1114
    • /
    • 2020
  •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과 실제로 실험하기에는 위험한 화학 반응을 안전하게 체험해보며 게임을 하면서 부가적으로 화학 반응에 대한 지식을 얻어갈 수 있는 가상현실(VR) 게임 콘텐츠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VR 이라는 장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존 PC 및 모바일 등의 게임 장르에서는 부족할 수 있는 공간감과 임장감을 채움으로써 현장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andheld Shot Detection Technique based on LSTM (LSTM 기반의 Handheld 샷 검출)

  • Park, Se-Hee;Park, Ji-Young;Son, Jung-Eui;Park, Se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193-194
    • /
    • 2021
  • 영화, 드라마 등과 같은 콘텐츠에서 표현되는 감정은 등장인물의 대화와 표정뿐만이 아니라, 영상이 표현하는 다양한 정보 중 하나인 촬영기법, 장면의 배경 등을 통해서도 표현된다. 특히 핸드헬드 샷은 불안정하지만 현장감과 자유분방한 감정을 관객에게 전달하며 긴장감, 공포 등 배우들의 감정선을 따라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영상 콘텐츠에서 감정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핸드헬드 샷을 검출하는 것은 기초적인 작업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핸드헬드 샷을 양방향 LSTM을 활용하여 구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인식한 핸드헬드의 인식 정확도는 97%였다.

  • PDF

Depth-based Image Stitching Using MegaDepth Network (MegaDepth Network를 활용한 깊이 기반 영상 스티칭)

  • Kim, Kahyun;Jang, Hyemin;Choi, Yujin;Rhee, Seongbae;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5-278
    • /
    • 2021
  • 영상 스티칭은 다수의 영상을 넓은 시야각을 갖는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사용자들에게 몰입감과 현장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영상에 시차(Parallax)가 존재하는 경우 스티칭된 영상에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칭 영상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시차로 인한 왜곡을 최소화하여 자연스러운 스티칭 영상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호모그래피 추정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스트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seam 기반 스티칭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단순히 작은 특징값을 따라 생성된 seam은 사물 영역 정보가 반영되지 않아 seam이 특징이 있는 부분을 지나가면서 시차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MegaDepth를 활용한 depth 예측 정보를 에너지 함수 기반의 seam 생성 행렬의 가중치로 사용하여 seam이 사물을 피해 생성되면서 시차가 작은 영역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seam optimization 기법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eacher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 Shin, Jeong Ae;Kim, Sung Won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 /
    • v.19 no.2
    • /
    • pp.129-14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efficac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lo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t. Methods: As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17 teacher efficacy factor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on related areas and a survey from directors, teachers, and professors. The preliminary 83 items applicable to the chosen factors were developed and revised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 from seve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pilot test, item correction, main survey,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Four hundred seventy one teachers working in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inalized with 3 factors and 23 items. The teacher efficacy scale was composed of 16 items in teaching competence, 4 item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3 items in a sense of calling.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the valid and reliable teacher efficacy scale was developed. This scale might be a useful tool to develop the further studies in the topics of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other variables.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ark, Na Ri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 /
    • v.18 no.4
    • /
    • pp.247-265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Methods: In the study, 12 day care teachers in 4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12 teachers in 5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eacher education is carried out through group education, such as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 area, curriculum modification,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cooperative learning, direct teaching,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behavior support, family support. Individual teacher education provided counseling on the reality of chil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reflects the needs of teachers for integrated child care for handicapped children. 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 (TEIP) was used as a pre post test to measure teacher's efficacy change.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two independent sample t tests were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test of teacher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change of teacher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 support program provided immediate feedback in integrated child dayc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child care teachers improved their integrated handicapped children care expertise, provided responsive teacher support program to the actual needs of the site, teacher support program reflected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integration, and emphasize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 and child daycare center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ctual data of field where lack of support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is lac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