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허가관정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esent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s in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하천 인근 지하수 이용 현황 및 관리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Chung, Il-Moon;Hong, Sung Hun;Lee, Jeongwoo;Kim, Min Gy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7 no.4
    • /
    • pp.383-392
    • /
    • 2017
  • Excessive abstraction of groundwater near streams for agricultural, domestic, or industrial us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treamflow. Therefore, prope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must involve careful monitoring of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groundwater intake plan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rtion of groundwater wells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stream and the distribution of wells near the stream. Among all the wells in the watershed, 20.5% were permitted and 31.3% were declared within 300m from the stream. In particular, among the wells located near streams, 11.4% were permitted and 88.6% were declared among the wells near streams. Therefore,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pumping rates from the declared wells is much higher than that from the permitted wells near the stream. Under current guidelines, investigations of the impact of groundwater use near a stream on streamflow depletion should only consider wells permitted by groundwater law. However, prudent management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declared wells, given their large number.

An Introduction to Regulations on Underground Injection Wells: A Case in Missouri (지하 유체주입 지하수 관정의 설치 및 허가에 관한 규정: 미국 미주리주)

  • Lee Jin-Y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0 no.5
    • /
    • pp.70-76
    • /
    • 2005
  • It is expected that use of groundwater wells for contaminated groundwater remediation,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and geothermal heat pump systems is increasing in the future in Korea. Some practical confusions may be produced due to lack of regulations related to permits and registrations of these types of wells. This short note is intended to draw attention of relevant professionals by shortly introducing some relevant code of state regulations in Missouri, USA.

인민중국의 대학도서관 발전사 개설

  • Dan, Haeng
    • KLA journal
    • /
    • v.33 no.4 s.275
    • /
    • pp.18-25
    • /
    • 1992
  • 이 글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도서관정보학회의 중진이며 현재 대련시 요령사범대학 도서정보학과 주임교수인 단행교수가「고교도서정보학간」1989년 3호에 기재한 글을 저자의 승인을 받아 다께우치교수(죽내철:도서관정보대학 부학장)가 번역하여「도서관계」(도서관계 Vol.43 No.4) 게재한 것을 김용원선생 (일본학술정보센타)의 협조로 저자, 번역자, 저작권 소유자인 일본도서관학연구회의 허가를 받아 번역한 것임.

  • PDF

A study of the integration of the 2D ground water model WHPA with Desktop GIS for ground water well development by basic survey stage (지하수 관정개발 기초조사사업 업무지원을 위한 Desktop GIS와 2D 지하수 모델 WHPA 통합 연구)

  • Kim, Man-Kyu;Jung, Byong-Ho;Lim, Chang-Young;Park,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0a
    • /
    • pp.257-260
    • /
    • 2002
  • This study develops a GIS-based system which examines the adequacy of the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before the actual designing of the project. Using the system developed here, we can transfer simulation results obtained by WHPA regarding Groundwater levels in new development projects into GIS. We can also judge whether a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permitted through examining overlaps of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comparing with other pollutants. Since a two-tiered system which shares DB using inter- and intranets is developed, all the departments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and the agriculture base corporation can share accurate, reliable and latest information related to Groundwater.

  • PDF

Estimation of streamflow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using analytical solution and empirical formula (해석해와 경험공식을 이용한 하천 인근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율 분석)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Moon;Hong, S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0-220
    • /
    • 2019
  • 천부대수층-심부대수층-하천-양수정 시스템에 대해 개발된 Ward & Lough 해석해와 국내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개발된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 산정공식 (한강홍수통제소, 2018)을 광주천인근에 실제로 위치한 지하수 관정에 적용하여 지하수 취수로 인해 하천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관정은 하천에서 약 67 m 떨어진 공업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개발 이용시설로서 착정심도 100 m, 착정구경 150 mm, 취수계획량 $200m^3$/일, 수중펌프 5 Hp 등의 시설제원을 가진다. 해석해 및 경험공식 적용을 위한 기본 입력자료로 투수량계수, 저류계수 등의 수리상수값은 해당 관정의 지하수개발 이용 영향조사서에서 발췌하였고, 측정되지 않은 일부 입력값은 문헌조사를 통해 적절한 값을 가정하여 사용하였다. 하천의 수량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 영향을 예측한 결과 지하수 허가기간 5년동안 취수계획량의 약 80 %를 넘는 하천수 감소율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대상관정과 같이 하천에 매우 근접한 지역에서 지하수를 이용할 경우 하천수 취수에 준하는 영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하천수와 하천 인근 지하수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제주도 지하수특별관리구역의 지하수이용허가권 조정방안에 관한 연구

  • 양윤석;양태혁;양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196-197
    • /
    • 2004
  • 지하수의 공공성, 민간부문의 지하수 개발의 추이와 지하수관리특별구역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공공재의 특성과 사적비용과 사회적비용을 일치시키기 위해 피구세를 검토하였으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지하수이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 감축방안을 세가지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전형적인 온실가스배출권 거래제와 같은 방법은 거래비용으로 인하여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피구세로 보완하면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정된 자원인 지하수를 적절히 이용하고 보전하는 방법은 사회적으로 합의되고 적절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수이용허가권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지하수이용허가권을 일정비율로 감축하고 계속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부담금을 부과하며, 허가권을 반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하는 방법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이 방법은 영세한 지하수이용자가 지하수허가량을 줄이면 부담금을 부과하지 않고, 폐공하는 경우에는 보상하도록 한다. 대규모 지하수 사용자가 지하수를 더 이용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면 가능하다. 과다한 소규모 관정을 폐공시키고 일정 규모이상의 지하수 관정을 이용하게 하는 효과도 있으리라 보인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umping (지하수 개발 및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분석)

  • Kim, Min-Chul;Yang, Sung-Kee;Jang, Wo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8-248
    • /
    • 2015
  •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재해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는 전체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로 사용되어 면적 대비 많은 지하수관정이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용수이용에 따른 고갈 및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분석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제주지역의 지하수위는 계절적 변동특성이 확연히 나타나지만 평시에는 큰 변동이 없는 지하수위 수준을 보이며, 실제 지하수 이용률은 허가량의 30%이하로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변동은 크게 체감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극심한 가뭄재해 발생 시 기존 사용량을 초과 양수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지하수위는 급격하게 하강되고, 제주 수자원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지속적인 지하수 개발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수위변동 분석이 가능한 수치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199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주기 양수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 특성을 분석하였다. 1993년 이전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55개소, 2003년까지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108개소로 지하수 개발은 약 1.9배 증가되었으나 양수능력을 적용하여 지하수위 변동을 분석한 결과 2.5배~3.1배 하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지하수 개발은 유역 상부에 집중되었으며 상류부 지하수 양수에 따라 해안지역의 지하수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ffects of reservoir and groundwater pumping on streamflow for Anseongcheon upper watershed (안성천 상류유역 하천유출에 미치는 농업용 저수지와 지하수 이용 영향 분석)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Moon;Lee, Jeo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7-5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공도 수위표 상류유역에 대해 농업용 저수지와 지하수 이용이 하천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 분석하였다. 대상유역내에 위치한 고 삼, 금광 농업용 저수지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관개기에는 저수지 방류량이 관개수로를 통해 수리답 지역으로 보내져 작물소모에 의한 손실과 지표 및 지표하 유출 과정을 거쳐 하천으로 회귀되도록 하고, 비관개기에는 저수지가 만수가 될 경우에만 하천으로 저수지 방류가 일어나도록 처리하였다. 지하수 이용량은 유역내 위치한 허가 및 신고 관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농업용 관정인 경우는 저수지 관개와 마찬가지로 작물소모에 의한 손실과 지표 및 지표하 유출 과정을 거쳐 하천으로 회귀되도록 처리하였고, 생공용 관정인 경우는 유역내에서 전량 소모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저수지 및 지하수 양수 유무에 따른 하천유량을 모의한 결과 고삼 및 금광 저수지 직하류부에서는 저수지 영향이 지배적으로 작용하여 갈수량이 각각 약 40% 및 85% 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수지로부터 보다 하류쪽로 가면서 회귀수의 영향으로 감소 영향이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유역출구부에서는 저수지 및 지하수 이용 영향으로 자연상태 유량에 비해 갈수량이 약 19% 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stream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near Hwangguji stream (황구지천 주변 지역 지하수 양수 영향 분석)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Moon;Hong, S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5-385
    • /
    • 2017
  • 지하수 관정의 위치에 따라 대수층과 인근 하천의 수리특성이 다양하여 하천수량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의 영향이 공간적으로 다르게 발생하며, 그 영향을 지도(map)상에 표출한 것을 가칭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국토교통부, 2014)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황구지천 하류유역에 대해 하천주변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을 Hunt(1999, 2009)의 해석해로 산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작성하였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 작성에 필요한 입력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직접 양수시험을 수행하여 대수층 수리상수를 산정하고 기존 문헌값을 함께 이용하여 수리상수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양수시험공에 인접한 하천의 바닥에 피조미터 및 시피지미터를 설치하여 하상수리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하천주변 및 하상의 수리상수값을 Hunt 해석해에 대입하여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율을 30m 크기의 셀 단위로 산정하고 이를 구글어스상에 공간적으로 표출하였다. 하천구역에서 300m 이내 지역에서 지하수를 양수할 경우에는 양수기간 5년동안 평균적으로 양수량의 70%를 초과하는 하천수량의 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활용하면 지하수 개발 이용자 및 허가 관련 행정기관이 지하수 관정의 공간적인 위치에 따른 하천수 감소 정도를 정량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PDF

The Support System for Groundwater Development Desig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하수개발 설계지원 시스템)

  • 김만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207-225
    • /
    • 2001
  • This study develops a GIS-based system which examines the adequacy of the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before the actual designing of the project. A system environment is constructed in order to efficiently and scientifically manage and analyze data related to Groundwater through a Server/Client environment. For this programs such as GIS S/W ArcVies3.2, RDBMS ORACLE, ArcSDE (Spatial Database Engine) are used. WHPA and AQTESOLV are employed as a underground water simulation program and Scripts, a language for ArcView, is used to develop graphic user interface (GUI). Using the system developed here, we can transfer simulation results obtained by WHPA regarding Groundwater levels in new development projects into GIS. We can also judge whether a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permitted through examining overlaps of th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comparing with o pollutants. At the same time, the system has a feature of supporting Groundwater development and based designing through judging the proper amount of Groundwater in a new project.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prepare charts and reports using the outputs of the system. Since a two-tiered system which shares DB using inter-and intranets is developed, all the departments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and the agriculture base corporation can share accurate, reliable and latest information related to Groundwa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