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성의 크기와 거리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alysis of Contents of Reorganization of Textbooks by Pre-Service Teachers' on 'Comparison of Distances from Solar System to Planets' in First Semester of Elementary Science 5th Grade (초등과학 5학년 1학기 '태양에서 행성까지 거리 비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재 재구성 내용 분석)

  • Kim, Hae-Ran;Lee, Yo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4 no.3
    • /
    • pp.225-23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astronomical educ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or software. In connection with the 5th grade 1st semester elementary science 'Solar System and Stars' uni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given a reorganization task to compare the relative distances from the sun to the planets, and then this was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are 11 male and 19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n B cit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comparison activity using a roll of tissue paper' is suitable for simply comparing the distances from the sun to the planet, but it has limitations in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vastness of the solar system or inducing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ftware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can simultaneously reflect the size of the planet and the distance to the planet that can be applied indoors, and also experience the vastness of the solar system, as well as a wide learning space. Third, textbook materials for student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lass design of pre-service teachers.

Exploring Topic-Specific PCK Progression for Elementary Teachers Instruction of Astronomy: Focusing on the Topic of Planet Size and Distance in Solar System (천문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 탐색 -태양계 행성의 크기와 거리 주제를 중심으로-)

  • Lee, Kiyoung;Lee, Jeong-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4
    • /
    • pp.629-641
    • /
    • 2016
  •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change instruction can help predict what kind of educational materials is supportive or appropriate. On the basis of this idea, we explored elementary teachers' PCK progression on specific topics of astronomy: planet size and distance in solar system.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PCK over time, we utilized learning progression (LP)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progression of teacher PCK can also be illustrated as the hypothetical pathway from novice to expert like LP. Eight 5th grad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observed participating teachers' astronomy classes with the same topic. In order to document topic-specific PCK of participating teachers, we developed an analytic protocol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knowledge of curriculum,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knowledge of assessment, and astronomical thinking practice. In addition, we monitored the changes in the four participating teachers' PCK for two years in order to validate the evidences of the PCK progression. Participating teachers in this study took some intervention by attending a four-week pre-meeting with the researchers to profile an adaptive instruc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profiled four and five different levels of PCK progressions in three knowledge components (curriculum, teaching strategies, student assessment) and one astronomical thinking practice (systems thinking), respectively. Participating teachers demonstrated various levels and pathways in each component of PCK. This study released the empirical evidences in fostering instructional scaffolding, which i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PCK of science teachers on specific topic.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Instructional Program for Increasing Creative Thinking Abilities: Focused on Building a Scale Model of the Solar System (창의적 사고 계발을 위한 고등학교 학습 프로그램 개발: 태양계 축소 모형을 중심으로)

  • Kim, Eun-Ju;Lee, Hyo-Nyong;Yoon, Ill-Hee;Kang, Chun-Du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3
    • /
    • pp.290-30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al programs for 10th graders to facilitate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ies and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scale of the Solar System. The programs were based on four major themes and composed of eight lessons which dealt with the relative scale of the Solar System. The programs were applied to 155 students at G high school in Gumi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s were helpful to students in that they facilitated easi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ve sizes of planets within the solar system as well as creative thinking abilities including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Multi-Agent Rover System with Blackboard Architecture for Planetary Surface Soil Exploration (행성 표면탐사를 위한 블랙보드 구조를 가진 멀티에이전트 루버 시스템)

  • De Silva, K. Dilusha Malintha;Choi, SeokGyu;Kim, Heesoo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2
    • /
    • pp.243-253
    • /
    • 2019
  • First steps of Planetary exploration are usually conducted with the use of autonomous rovers. These rovers are capable of finding its own path and perform experiments about the planet's surface. This paper makes a proposal for a multi-agent system which effectively take the advantage of a blackboard system for share knowledge and effort of each agent. Agents use Reactive Model with the combination of Belief Desire Intension (BDI) Model and also use a Path Finding Algorithm for calculate shortest distance and a path for travel on the planet's surface. This approach can perform a surface exploration on a given terrai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nformation which are gathered on the blackboard are used to make an output with detailed surface soil variance results. The developed Multi-Agent system performed well with different terrain sizes.

대.소 마젤란은하의 측광탐사관측

  • Seong, Hwan-G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19.2-119.2
    • /
    • 2011
  • 대 소 마젤란은하는 항성진화 및 은하진화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실험실이다. 두 은하는 우리은하에 매우 가깝고, 각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 두 은하에 대한 측광학적 연구는 매우 지엽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다. 시상이 매우 좋은 KMTNet의 1호기 (칠레)를 사용하여 대마젤란은하 ($10^{\circ}{\times}10^{\circ}$)와 소마젤란은하 ($5^{\circ}{\times}5^{\circ}$) 영역에 대한 UBVI 및 협대역 $H{\alpha}$, [OIII] $5007{\AA}$ 측광 탐사관측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제안한다. 1. $V{\approx}23$ 등급까지 대 소 마젤란은하 천체들의 측광 자료의 제공 2. 거리를 지시할 수 있는 천체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3차원 구조 연구 3. 협대역 $H{\alpha}$ 측광을 통해 Herbig Ae/Be 천체들의 분포와 별 탄생 연구 4. 협대역 $H{\alpha}$ 및 O[III] 측광을 통해 행성상성운의 분포와 광도함수 연구 5. 색-등급도 연구를 통해 위치에 따른 별 탄생의 역사 연구 6. 어두운 별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LMC-SMC, LMC-MWG, SMC-MWG의 상호작용 연구.

  • PDF

기획특집(1) 우주 광학 산업의 기술 동향 - 인공위성 레이저추적(SLR) 시스템

  • Im, Hyeong-Cheol
    • The Optical Journal
    • /
    • s.142
    • /
    • pp.17-22
    • /
    • 2012
  • 인공위성 레이저 추적(SLR, Satellite Laser Ranging) 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위성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가장 정밀한 인공위성 추적 시스템이다. SLR 시스템의 원리는 극초단파의 레이저 빔을 광학 망원경을 통해 발사하여 인공위성에 장착된 레이저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 빔의 왕복 비행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구한다. 1964년 발사된 Beacon Explorer-B 위성의 궤도결정을 위해 SLR 기술이 NASA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는데, 당시에는 거리측정 오차가 50m 수준이었다. 현재는 전자, 광학 및 제어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그 오차가 mm 수준으로 크게 향상되어 인공위성 운영, 지구물리, 우주측지 및 우주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우주 선진국은 이미 다수의 SLR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40여 개의 SLR 관측소가 국제레이저추적기구(ILRS, International Laser Ranging Service)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또한 인공위성의 정밀한 거리측정을 위해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된 위성 50여 개가 운영중에 있다. 고정밀 지구관측 위성 대부분에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돼 있으며 러시아의 GLONASS 항법체계를 구성하는 모든 항법위성에도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돼 있다. 또한 유럽우주기구에서 추진하는 갈릴레오 및 중국의 Compass 항법위성도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될 예정이다. 최근에는 행성탐사 및 달탐사 우주선에 SLR 시스템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SLR 시스템의 국제적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나로과학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 5호에도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돼 발사되기 때문에 국내 독자적 레이저추적을 위해서 SLR 시스템 구축이 꾸준히 요구되어 왔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008년부터 SLR 시스템 개발을 추진했다. 2012년 9월에 40cm 크기의 망원경을 지닌 이동형 SLR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으며 오는 2015년에는 1m급 고정형 SLR 시스템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 PDF

He II RAMAN SCATTERED LINE BY NEUTRAL HYDROGEN IN THE BIPOLAR PLANETARY NEBULA M2-9 (나비형 행성상 성운 M2-9에서 He II의 중성 수소에 의한 라만 산란선)

  • 이희원;강영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8 no.1
    • /
    • pp.33-42
    • /
    • 2001
  • In the spectrum of the young bipolar planetary nebula M2-9 obtained from the 1.5m telescope at the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we detected the He II feature at 6545 $\AA$ that are proposed to be formed via Raman scattering by atomic hydrogen. However, in the same spectrum, the He II emission lines at 6527 $\AA$ and 6560 $\AA$ are absent, which implies that the He II emission region is hidden from our line of sight and that the H I scattering region is pretty much extended not to be obscured entirely. We performed photoionization computations to estimate the physical size of the He II emission line region to be $10^{16}cm$, from which the location and dimension of the obscuring circumstellar region are inferr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star must exceed $10^5K$. The angular size of the circumstellar region responsible for the obscuration of the He II emission region is ~1" with the assumption of the distance 01 kpc to M2-9,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cent image of M2-9 obtained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 PDF

Cambodia with Astronomy (해외교육지원단 소개)

  • Lyo, A Ran;Kang, Wonseok;Kwon, Sun-gill;Kim, Min Gyu;Kim, Yonggi;Kim, Woong-Tae;Kim, Taewoo;Moon, Hong-Kyu;Pak, Soojong;Park, Soon Chang;Park, Changbom;Shin, Yongcheol;Lee, Kang Hwan;Lee, Dukhang;Lee, Myung Gyoon;Lee, Sang Gak;Lee, Sang Hyun;Lee, Jeong Ae;Lee, Hye-In;Yim, Insung;Han, JaEun;Hyun, Minhee;Lee, Kyungyong;Evans, John Ashley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1
    • /
    • pp.50.3-50.3
    • /
    • 2018
  • 2018년부터 한국천문학회 특별 사업단으로 교육, 홍보위원회에 해외교육지원단이 만들어졌다. 해외교육지원단은 지난 2년 동안 한국천문학회가 지원해오던 캄보디아 천문교육지원 활동을 확장하고 체계적인 운영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먼저, 그동안의 활동에 대해 보고하고 좀 더 내실 있는 계획을 세우기 위해 천문학회 회원들의 의견과 조언을 듣고자 한다. 첫 번째 캄보디아 천문학 교육은 2016년 6월 13-24일(2주) 동안 수도 프롬펜에서 북서쪽, 차편으로 4시간 거리에 있는 뿌삿시 끄로압에서 이루어졌다. 초. 중등학생 50여명이 참여하여 망원경 조작 방법을 배우고, 종이 망원경과 카메라 만들기, 태양과 행성 관측, 축구공, 야구공, 풍선과 찰흙을 이용한 태양계 행성들 크기 비교, 별자리판 만들기와 천문학 여러 현상들에 대한 비디오 영상 보기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교육은 국립청소년우주센터와 캄보디아의 Xavier Jesuit School이 연계하여 2017년 4월 3-7일(5일) 동안 지역 중등과학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천문교육을 진행하였다. 시간과 좌표, 간이 망원경 제작, 결상의 원리, 분광, 망원경의 조립과 분해 및 천체관측 등 천체관측과 관련된 내용을 위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arning Progression for Solar System Structure Using Multi-tiers Supply Form Items (다층 서답형 문항을 이용한 태양계 구조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Oh, Hyunseok;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1 no.3
    • /
    • pp.291-306
    • /
    • 2020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structure of the solar system using multi-tier supply form items and validated its appropriateness. To this end, by applying Wilson's (2005) construct modeling approach, we set up 'solar system components,' 'size and distance pattern of solar system planets,' and 'solar system modeling' as the progress variables of the learning progression and constructed multi-tier supply form items for each of these variables. The items were applied to 150 fifth grader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hat dealt with the 'solar system and star' unit. To describe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 students' responses to each item were categorized into five levels. By analyzing the Wright map that was created by applying the partial credit Rasch model, we validat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arning progression based on the students' responses.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hypothetical pathway that was established in the learning progression was verified by tracking changes in the developmental level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bottom-up research method that used multi-tier supply form items was able to elaborately set the empirical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olar system that is taught in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learning progression was high,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was found to change with the learning progression.

태양계의 물: 기원과 진화

  • Choe, Byeon-Gak;Choe, Hye-Rim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3-8
    • /
    • 2005
  • 지구는 현재 태양계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하는 유일한 천체이다. 하지만, 고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은 태양계의 다른 행성이나, 위성, 소행성, 혜성 등에도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다. 풍부한 액체 상태의 물은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의 변화, 해류의 이동, 퇴적 및 침식 작용, 화산활동과 같은 여러 지구과학적 현상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생명의 탄생과 진화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현재 지구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지구의 조성 및 크기 등과 관련된 지구 표면의 물리-화학적 조건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조건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지구보다 태양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고, 두터운 이산화탄소 대기를 갖고 있어 표면의 온도가 매우 높은 금성의 경우 H2O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지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희박한 대기를 갖고 있는 화성의 경우에는 현재 H2O가 고체 즉 얼음의 형태로 존재한다. 태양계를 탄생시킨 태양계 성운에서는 압력이 너무 낮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없으며, 고온에서는 기체 상태로 매우 낮은 저온에서는 얼음의 형태, 또는 함수 광물 내에 포함되어 존재할 수 있다. 지구와 같은 규모의 행성은 비교적 중력이 작아 태양계 성운의 기체를 거의 끌어들이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 지구에 존재하는 물은 대부분은 고체 상태로 지구에 집적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구가 탄생한 위치에서 초기 태양계의 온도는 얼음이 형성되기에는 너무 높았기 때문에 좀 더 먼 곳에서(현재의 목성 위치보다 바깥쪽)에서 생성된 얼음 즉, 혜성이 태양계 안쪽으로 들어와 지구에 물을 공급했거나 함수광물을 포함하고 있는 소행성(예를 들어 CI chondrites와 같은 조성의)이 물을 가져왔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