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 콘크리트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1초

GFRP 보강 내염성 콘크리트 보의 해양구조부재로서의 적용성 검토 (Study of Application of Salt Resistance Concrete Beam Reinforced with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Ribbed Bar as a Member of Marine Structure)

  • 김충호;황윤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4-99
    • /
    • 2008
  • Three types of salt resistant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ribbed bars (GFRP-ribbed bars) were selected, and their applicabl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problem of capacity deterioration in marine structures due to sea water corrosion.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behaviors were similar to RC beam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ength and stiffness up to the generation of the initial crack. After the growth of this initial crack, the structural properties decreased owing to a sudden loss of bond strength. Also these beams showed the trends of brittle failur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GFS beam replaced with Fly Ash (20%) and Silica Fume (5%) has the best application as a marine structural element.

복합슬래그 골재 치환 콘크리트 염소이온 확산 특성 (Diffusivity of Chloride Ion of Composite Slag Aggregate Replacement Concrete)

  • 박동천;이준해;김용로;송영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7-148
    • /
    • 2019
  • Lack of fine aggregate is adversely affecting the quality of concrete. Due to lack of land sand, EZZ sea sand has been used. However, the use of sea sand is also difficult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fisher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 of slag fine aggregate to dur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were assessed to derive a proper mix ratio of fine aggregate.

  • PDF

혼화재료 혼입 콘크리트 강도 차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프 특성 평가 (Evaluation of Drying Shrinkage and Creep Characteristics by Strength Differences of Concrete Mixed with Admixture)

  • 박동천;송화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9-200
    • /
    • 2021
  • In the study, creep and dry shrinkag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material properties necessary for structural analysis such as column shortening and differential drying shrinkage. All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The mechanical properties as well as the specific creep and ultimate dry shrinkage value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value of the high-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were considered.

  • PDF

한파로 인한 초기 동해를 입은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Frost Concrete according to the water-cement ratio, during the Cold Wave)

  • 박동천;이준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5-166
    • /
    • 2020
  • The climat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warmed recently,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heat waves, cold waves, and tropical nights have been detected frequently. Precisely, the number of days with cold waves in the winter has increased, and rapid changes of temperature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have occurred frequently in the 2000s. Due to the previous phenomenons, this research is focused on evaluating the concrete's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the difference of th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W/C.

  • PDF

콘크리트에 도포된 도막의 투기계수 측정을 통한 장기 중성화 깊이 예측 (Prediction of Long-Term Carbonation Depth by Measurement of the Air Permeability Coefficient of Coating on Concrete)

  • 박동천;남민석;김용로;고효진;류동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3-114
    • /
    • 2023
  • This study measured the thickness and speculation coefficient of the coating for existing buildings and calculated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the coating to predict the depth of carbonation through numerical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external finish and local environment.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short-term and long-term carbonation depth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coated with coating film with considerable reliability.

  • PDF

고강도 콘크리트 강도별 염분확산계수 및 편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lt Diffusion Coefficient and Deviation by 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 박동천;석원균;전현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7-118
    • /
    • 2022
  • High-strength concrete is used for building durability on the coast. It is common to order and produce the concrete from several ready mixed concrete companies. The concrete in Busan was also commissioned by 12 ready mixed concrete companies.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alt diffusion coefficient were measured. The average value and deviation were analyzed.

  • PDF

콘크리트 내부 온습도 추정 및 탄산화 깊이 예측 (Estimation of Thermal Humidity Inside Concrete and Prediction of Carbonation Depth)

  • 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7-198
    • /
    • 2021
  •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concrete affects the depth of carbonation.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concrete were predicted by the numerical method under the boundary conditions of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wind. Using the results of the thermal humidity analysis, diffusion of carbon dioxide and the reaction of cement hydration products were calculated for carbonation depth.

  • PDF

제강슬래그 골재의 소파블록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Steel Slag Aggregate for Artificial Armor Unit)

  • 양은익;이광교;한상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591-596
    • /
    • 2004
  • 제강슬래그 골재의 소파블록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적 재료로서의 콘크리트 물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강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해양 콘크리트의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행된 콘크리트의 물성 실험은 슬럼프, 공기량,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탄성계수, 탄산화 저항성, 수화열, 동결융해, 황산염 침지, 건조수축 실험 등이다. 또한, 해양 저서생물과 해조류의 번식 및 증식에 대한 조사를 위해 생물학적 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제강슬래그 골재의 함유는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그리고 탄성계수에 대하여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내구성 측면에서도 제강슬래그 골재의 함유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았다. 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제강슬래그 골재는 해양 저서생물과 해조류의 증식과 번식에 이상적인 재료로서 평가되었다.

해양환경 콘크리트 교각의 염소이온 침투해석 (Analysis of chloride penetration in the marine concrete pier)

  • 김기현;차수원;장승엽;박병선;장승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549-552
    • /
    • 2008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공극수는 알칼리성이므로 철근의 부식이 방지된다. 그러나 염소이온이 침투하면 철근부식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해양환경 콘크리트에서 염소이온의 공급이 활발하여 철근부식이 내구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염소이온의 확산에 의한 이동을 고려하여, 해양환경에 노출된 사각형 콘크리트 교각에 대한 염소이온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사각형 교각의 측면에 위치한 철근에 비하여 구석에 위치한 철근에 염소이온이 훨씬 빨리 축적됨을 확인하였다. 또 부식개시 임계농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구석 철근의 위치가 측면 철근 보다 짧았다. 해석결과 임계 염소이온 농도에 걸리는 시간은 측면 철근에 비하여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사각형 교각의 염소이온에 대한 내구수명은 구석에 위치한 철근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이차원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항만 상치 콘크리트 품질 관리를 위한 비파괴 스캐닝 기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NDT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Concrete Quality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 송호민;민지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177-184
    • /
    • 2024
  • 부두 안벽의 주요 재료인 콘크리트는 염해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상치 콘크리트는 선박 계선 및 상·하역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 상 품질 저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 콘크리트 품질은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에 의해 점 단위 샘플링을 통해 평가되며, 샘플링 위치에서의 결과값이 점검단위를 대표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면적에 해당하는 상치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다양한 비파괴 스캐닝 기법을 적용하여 면적 단위 품질 관리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계선 작업 구간에서 열화가 집중적으로 발생함을 초음파 어레이 이미징 및 GPR 스캐닝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샘플링 기반 초음파 속도(UPV), 반발경도 값을 통해서는 품질 저하와 관련한 정확한 판단이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