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저질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2초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영일만 해역표사의 조사 (The Determination of the Sand Drift Movement Using Radioactive Tracer at Young Il Bay)

  • 양경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6
    • /
    • 1969
  • 금번 국내최대의 포항종합제철공장의 건립에 즈으하여 국내최대의 새로운 항만이 영일만내에 건설되고 있다. 항만의 건설의 외곽시설인 방파제 방사제 및 항입구의 배치계획에 기초자료가 된느 여러 조사업무중의 하나로 당 해역의 표사의 이동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다. 항만건설해역은 형산강과 냉천 사이의 해역으로써 이들 하천으로 부터의 유사가 표사이동에 미치는 영양도 아울러 조사되었으며, 표사의 공급원, 표사의 이동방향을 알기 위하여 광범위한 해역에 걸쳐 조사가 진행되었다. 표사는 해안을 따라 어떤 폭을 갖은 해변에서 발생하는 저질의 이동현상을 말하며, 하천의 유사와 마찬가지로 유체에 의한 물질의 운반작용이지만 그 운반기구는 하천의 유사에 비하여 대단히 복잡하여서 그의 정확한 선택파악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최근 이와 같은 조사에 방사성물질이 추적자로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 사용되던 간접적인 방법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히 그리고 직접적으로 표사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으미 확인되고 있다. 금번 조사에서는 방사성 추적자로서 Co-60을 사용하였다.

  • PDF

해저의 초음파 산란 특성에 관한 연구 ( I )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ea Bottom ( 1 ))

  • 이대재;신형일;박중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1호
    • /
    • pp.51-56
    • /
    • 1990
  • 해저의 초음파산란층특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선체의 동요로 인한 해저 Echo 신호의 파형과 진폭의 변동특성에 관하여 검토를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저 Echo 신호의 진폭은 1차 산란신호의 경우가 2차 산란신호보다 매우 불규칙하게 변동하였으나, 신호파형의 등가 Pulse 폭은 2차 산란신호가 1차 산란신호보다 약 2.4배 신장되어 수신되었다. (2) 해저산란파의 Echo Energy 변동은 Peak 진폭의 변동보다 매우 완만하고, 또 선체가 일정 경사각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동요하는 경우, 선체동요에 기인하는 해저 Echo 진폭의 변동성분은 선체경사가 없는 경우에 대한 진폭성분과 서로 분리되어 나타났다. (3) 저질이 모래펄(MS)인 해저의 평균 Energy 산란강도는 -13.4 dB로서 평균 Peak 산란강도 -14.6 dB보다 1.2 dB 큰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선박 기관의 경제적 운전에 관한 연구 - 실습선 새누리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conomical Operation of a Ship's Main Engine - The case of Training Ship SAENURI -)

  • 김홍렬;김부기;임긍수;김득봉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8
    • /
    • 2013
  • 선박의 운항에 소요되는 운항비는 선박의 종류, 크기, 속력, 항행구역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50~60 %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제 유가의 상승으로 인한 선박 운용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중소형 선박에서도 저질연료유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 나아가 해운선사들은 연료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감속운항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선을 이용하여 해상에서의 선속대비 주기관의 연료소모량을 계측하고, 부하에 따른 전진계수 대비 속력과 연료소모량의 관계를 통해 상용연속출력보다 낮은 주기관 부하의 70 % 영역이 최적의 운항조건이라고 제안하였다.

마산만의 Tributyltin 거동 및 물질수지 산정 (Estimation of Transport and Mass balance of Tributyltin in Masan Bay)

  • 김동명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8-56
    • /
    • 2002
  • 마산만에 대하여 stella 프로그램을 이용한 Tributyltin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및 물질수지를 산정하여 수질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수층과 유기 입자내 Tributyltin의 경우는 침강속도와 분배계수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플랑크톤 체내의 Tributyltin의 경우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농축계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의 Tributyltin에 대한 모델 적용 시에는 이들 계수에 대한 정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해역의 Tributyltin 현존량은 수층의 Tributyltin량이 3.29×10⁴g, 플랑크톤 체내의 Tributyltin량이 1.16×10²g, 입자상 유기물내의 Tributyltin량이 3.17×10³g로 나타났다 상간의 전환경로는 입자상 유기물로 분배되는 경로가 1.64×10³g/day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저질로의 침전으로 1.52×10³/g/4ay이었으며 외해로의 유출이 1.32×10³g/4ay로 나타났다.

  • PDF

울산항 E 집단정박지 묘박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choring Safety Assessment of E-Group Anchorage in Ulsan Port)

  • 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2-1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 E 집단정박지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8척의 선박에 대한 단묘박 상태에서의 묘박안전성을 앵커와 앵커체인의 파주력과 바람, 파랑 및 조류에 따른 외력으로 상호 비교하여 평가하고, 주묘 발생이 가능한 최소 한계 외력을 분석하고자한다. 파주력은 해저저질과 실제 앵커 의장수를 반영했고, 선체에 작용하는 외력은 만재와 경하상태별로 풍압면적과 수면하부 침하면적을 조사하여 각 상태별로 선체에 작용하는 풍압력, 유압력 및 파랑 표류력을 산출하였다. 단묘박 상태에서의 주묘 한계 외력에 대한 분석 결과 선박의 종류, 규모 및 적재 상태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조류 2 knots 조건 하에서 일반화물선은 풍속 15 m/s 이상, 유류운반선은 풍속 13 m/s 이상이면 주묘가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학동 해빈의 침식에 관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Study on the Erosion at Hak-Dong Gravel Beach)

  • 함계운;김진홍;장대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5
    • /
    • 2002
  • 해안의 침식, 하구 및 항로, 항내매몰 등에 관한 저질이동에 기인한 해저지형 변동현상은 해안재해라는 측면에서 오래전부터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되어 그 문제점이 지적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해안환경의 보전이라는 관점에서 환경영향평가의 중요 항목으로 인식되어 문제의 재현 및 예측과 대책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학동해빈은 1996년 기존 돌제형식의 선착장을 연장한 이후 해안선 부근에서 침식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학동 자갈해빈의 침식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관측을 통한 단면측량 결과 및 One-line 모델을 사용하여 침식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Sonu와 Beek(1971)가 제시한 해수면상 저류표사량 산정모델이 자연해빈뿐만이 아니라 해안 구조물이 설치된 학동 자갈해빈에도 유용한 모델임을 입증하였다.

진해.마산만의 환경관리를 위한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ing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hinhae.Masan Bay)

  • 조흥연;채장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9
    • /
    • 1999
  • 진해·마산만의 장기 수질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평면 2차원 수질계산 모형을 구성하였다. 유역내 22개 하천의 오염부하량 및 해역내 16개 정점의 수질을 월별, 계절별로 관측 (1995.5~1996.4)하여 모형의 보정·검증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저면퇴적물로부터의 오염물질 용출률을 측정하여 저층에서의 지역적 오염편차를 반영하였다. 구성된 모형을 적용하여 하계의 농도분포를 모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천을 통한 오염물질 유입지점의 오염도가 매우 높으며, 외해방향으로 급격하게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마산만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오염물질은 해역의 정체성으로 대부분이 침전되어 저질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방류수역에서는 질소 및 인이 미처리상태로 방류되기 때문에, 해역의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메조코즘 실험에 의한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 평가 (Assessment in Habitat Stability of Halophyte by using Mesocosm Experiment)

  • 류성훈;이인철;김경회;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9-6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갯벌토 및 준설토를 기질로 이용한 Mesocosm 실험을 통하여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였다. Mesocosm 실험구는 기질 및 식생의 식재 여부에 따라 Mesocosm A(갯벌토+퉁퉁마디 식재), Mesocosm B(준설토), Mesocosm C(준설토+퉁퉁마디 식재)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Mesocosm 실험구 내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COD, T-N, T-P, 수온, 염분), 저질(COD, T-N, T-P), 식생성장률의 서식환경 인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서식안정성지수(HSI)를 산정하였다. Mesocosm C에서의 HSI는 0.87~0.95로서 Mesocosm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HSI가 높게 산정되어, 준설토를 이용한 해안염습지의 복원/조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회귀분석을 이용한 주묘 위험성 평가 입력요소 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ing Input Values for Dragging Anchor Assessments Using Regression Analysis)

  • 강병선;정창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22-831
    • /
    • 2021
  • 선박의 주묘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지만 선박의 제원에 해당되는 다양한 입력요소들을 직접 찾아서 입력해야 하므로 VTS 관제사가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들로부터 이러한 입력요소들을 모두 확인하여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TS 관제사 입장에서 선박으로부터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총톤수(GT)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프로그램 입력요소들을 종속변수로 하여 선형 및 비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항식 모델(선형)과 멱급수 모델(비선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경우에는 모든 입력요소에서 멱수급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탱커선의 경우에는 수선간장, 선폭, 흘수는 멱수급 모델이 적합하고, 정면풍압면적, 앵커의 무게, 의장수, 묘쇄공으로부터 선저까지의 높이는 다항식 모델이 더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탱커선의 정면풍압면적 요소를 제외한 다른 나머지 종속변수들은 모두 결정계수가 0.7 이상으로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따라서 주묘 위험성 평가 프로그램의 입력요소 중 외력 요소, 해저 저질, 수심 및 앵커 체인의 신출량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요소들은 선박의 총톤수만 입력하면 회귀분석 모델식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됨으로써 주묘 위험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AF Slag의 해양복토제 활용을 위한$PO_4{^-}-P$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osphate Removal Characteristic of EAF Slag for Submarine Cover Material)

  • 김재원;서종범;강민경;김인득;오광중
    • 청정기술
    • /
    • 제16권4호
    • /
    • pp.258-26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제강전기로 슬래그를 해양복토제로 활용하기 위한 인제거 특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제강전기로 슬래그의 $PO_4{^-}-P$ 제거 특성에 관한 시험 결과, 슬래그 내의 CaO는 $Ca^{2+}$$OH^-$로 이온화됨에 따라 $PO_4{^-}-P$와 반응하여 HAP를 형성함으로써 용액 중에 존재하는 $PO_4{^-}-P$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반응기를 통한 해수 내 $PO_4{^-}-P$의 지속적인 유업에 대한 제거특성을 확인한 결과, 칼럼 내 $PO_4{^-}-P$ 농도는 반응 3일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10일 이후에는 0.5 ppm 이하로 나타났다. 실제 연안해역의 저질을 이용한 제강전기로 해양복토제 적용실험 결과, 반응 25일 후 $PO_4{^-}-P$ 발생량을 93~98%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강전기로 슬래그를 해양복토제로 활용할 경우 $PO_4{^-}-P$ 제거 및 억제효과가 있으며, 파쇄선별 등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 적은 량으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