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안전지수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Safe Rou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nsity of the Gill Netters in the West Sea (자망어선 밀도 분석을 통한 서해안 안전항로에 관한 연구)

  • Yoo, Sang-Lok;Jeong, Jong-Chul;Jeong, Jae-Yong;Yim, Jeo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5
    • /
    • pp.389-401
    • /
    • 2016
  •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monthly distribution of the inshore gill netters for the prevention of propeller failure caused by the damage of fishing gear by the merchant vessels in the West Sea.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transmitting device of fishing location (V-Pass) data for 1 year in 2014. The grid intervals are $30minute{\times}30minute$ ($latitude{\times}longitude$) based on the section of the sea. A total of 56 sections were analyzed by constructing a gri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ection no. 194 with the highest density index showed no fishing gear damage accident. But the section no. 193 with a relatively lower density index showed more frequent fishing gear damage accident. It is because the section no. 193 is included in the main route of the merchant vessels.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fishing gears are not damaged in proportion to density index but risk of damage exists according to the main routes of merchant vessels. Therefore, for the safe navigation of the merchant vessels, notifying the waters of $34.5^{\circ}{\sim}35.5^{\circ}$ at latitude and $125.67^{\circ}{\sim}126^{\circ}$ at longitude, as a navigational warning area from May through September, will prevent marine accident, such as propeller failure and fishing gear damage. Accordingly, when the merchant vessels navigate in the section no. 193 and 203, the area of $34.5^{\circ}{\sim}35.5^{\circ}$ at latitude and $125.5^{\circ}{\sim}125.67^{\circ}$ at longitude is recommended for the safe navig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Safety Index of Seakeeping Performance (내항성 안전지수별 위기대응가이던스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Serng-Bae;Jeong, Eun-Suk;Jeong, Woo-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48-49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safety index of seakeeping performance which is based on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in the ship through HAZID. These emergency response guidances will contribute to respond ship's abnormal conditions related to seakeeping performanc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o reduce marine accidents.

  • PDF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Index based on characteristic of indicators (세부지표 특성을 고려한 수자원통합지수 개발)

  • Choi, Si-Jung;Lee, Dong-Ryul;Moon, Jang-Won;Kang, Seong-Kyu;Yang, So-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6-456
    • /
    • 2011
  • 국내에서는 1999년부터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구축 및 운영을 통해 물관리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초정보분석 중심에서 수자원 계획 수립과 정책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대하여 대국민 수자원 정보 제공과 홍보를 활성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상수도보급율, 하천개수율 등을 이용하여 수자원의 단편적인 분야만을 평가하여 왔으며 이들 개별지표들만으로 국내 수자원 상황에 대해 국민들이 체감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사업의 성과를 지수화하여 수자원 정책과 사업의 효과를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수자원 각 분야별 수자원계획수립 업무지원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수자원 현황 평가를 위해 분야별 평가지수를 개발하고 수자원 통합지수를 선정하여 중권역별로 산정한 바 있다(건설교통부, 2007; 국토해양부, 2008, 2009). 보다 합리적인 수자원 평가를 위해서는 분야별(물이용, 치수, 하천환경) 평가 지수의 공간적 범위 확대 및 세부지표를 추가 고려함으로써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분야별 변화 패턴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통해 수자원 관련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구축된 기초자료 및 분석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분야별 평가지수 산정 결과와 분야별 현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지수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함으로써 기 개발된 지표의 취약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보다 합리적이고 타당한 분야별 평가를 위해 세부지표를 추가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분야별 세부지표를 PSR 구성체계에 맞추어 구성하였다. 또한 분야별 현황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분야별 평가지수를 개발하였으며 물이용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물이용안전성지수', 치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홍수안전성지수', 하천환경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하천환경건강성지수'라 명명하였다. 또한 분야별 평가지수를 통합하여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자원 통합지수인 '물만족지수'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분야별 평가지수를 구성하는 각 세부지표의 특성을 파악하여 지표 산정 범위를 점, 선, 면으로 확대하여 제시하였으며 세분화된 공간단위별로 기초자료를 조사, 수집하여 시계열 DB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분야별 평가지수 및 물만족지수를 연도별 표준유역별로 구축된 DB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비교 분석하였으며 상대적인 분야별 안전성 및 건강성을 평가하여 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지표 관련 기초자료 및 분석을 통해 생성된 정보자료는 수자원정책 수립과정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책결정을 지원할 수 있고, 일반인과 관련 전문가들에게 수자원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Framework for Drought Information System (가뭄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Shim, Kee-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13-213
    • /
    • 2012
  • 인류의 문명과 함께한 재난 중에서 가뭄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국가의 존폐 위기를 가늠할 정도의 큰 재앙이었다. 우리나라의 가뭄상황을 파악하고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 외의 가뭄관련 기관인 국토해양부, 기상청,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뿐만아니라, 미국 네브라스카주 링컨대학교내에 설립되어 있는 국립가뭄경감센터(NDMC)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전담기관인 소방방재청에서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실용적으로 유용한 시스템이 되기 위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물 관련 기관들이 구축해놓은 다양한 실시간 관측시스템을 연계 활용하기 위하여 가뭄관련 부처인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기상청,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및 소방방재청 등에서 물 관련 현황을 파악하여 실시간 관측정보들을 파악하였다. 소방방재청에서는 국가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 각 부처에서 구축한 가뭄관련 시스템들의 조사를 통해 생활 공업 농업용수 분야별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사점들을 살펴보았다. 가뭄정보시스템의 구축방향 제시에 있어서는 동시접속으로 인한 인터넷 과부하를 예방하면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좀 더 정확한 현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활성화를 기하고자 하였다.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내부 계산부문과 외부 표출부문으로 나누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부 계산 부문에서는 여러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자료를 행정안전부 국립방재연구원 분석 평가 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버에 집적하여 가뭄관련 정보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부문이다. 여기서는 강우자료를 토대로 하여 가뭄지수의 산정과 생활 공업 농업용수 분야별로 지역별 수요량과 공급량의 상태를 파악하여 실시간 가뭄지수(RDI)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 가뭄지수(RDI)는 지역 주민들이 가뭄으로 인한 용수량 현황을 알 수 있는 가뭄지수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가뭄지수의 산정제시에 있어서는 가뭄지수에 따른 재해피해 상황을 제시하여 피해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며, 농어촌공사 관할 저수지의 실시간 저수율을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고 가뭄발생에 대한 간이상수도 및 마을상수도 등의 지역별 용수공급 가능성에 대한 전조정보를 파악하여 가뭄발생 이전에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축하고자 한다. 외부 표출 부문은 내부에서 계산된 결과 값을 인터넷의 부하를 줄이면서 자치단체 담당자들이 쉽고 빠르게 관할지역의 궁금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가뭄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Indicator Prediction Model for the Korean Peninsula Sea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해역의 수질평가지수 예측모델 개발)

  • Seong-Su Kim;Kyuhee Son;Doyoun Kim;Jang-Mu Heo;Seonge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1
    • /
    • pp.24-35
    • /
    • 2023
  •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led to severe marine pollution. A Water Quality Index (WQI) has been developed to allow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arine pollution. However, the WQI suffers from problems with loss of information due to the complex calculations involved, changes in standards, calculation errors by practitioners, and statistical errors. Consequently, research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to predict the marine and coastal WQI is being conducted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study, six techniques (RF, XGBoost, KNN, Ext, SVM, and LR) were studied using marine environmental measurement data (2000-2020)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to estimate the WOI of five ecoregions in the Korean seas. Our results show that the random forest method offers the best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other methods studied. The residual analysis of the WQI predicted score and actual score using the random forest method shows that the temporal and spatial prediction performance was exceptional for all ecoregions. In conclusion, the RF model of WQI predi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Korean seas with high accuracy.

Water Quality Assessment at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of Korea (한국 동해연안의 수질 평가)

  • Kim, Young-Sug;Lee, Yong-Hwa;Choi, Hee-G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1
    • /
    • pp.15-24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actors by using survey results of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rom 2004 to 2010 at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of Korea. In this study, we chose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characteristics of each water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is, we evaluated each water's pollution level based on eutrophication standard of OECD, Eutrophication Index(EI), and Organic Pollution Index(OPI). Major factors were chlorophyll a and salt according to the analysis at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The sea was divided into the south and the central part by Jukbyeon. Also, Jukbye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East Sea and Gampo in the southern sea coastal waters have been classified separately. The nutritional status of coastal area of East Sea presented Mesotrophic to Oligotrophic level and EI showed less than 1. OPI in all of the coastal area at the East Sea represented that the water quality condition was favorable.

Load & Resistance Factors Calibration for Front Covered Caisson Breakwater (소파블록 피복제 제체의 한계상태설계를 위한 하중저항계수 보정)

  • Kim, Dong Hyawn;Huh, Ju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3 no.6
    • /
    • pp.293-297
    • /
    • 2021
  • Calibration of load-resistance factors for the limit state design of front covered caisson breakwaters were presente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breakwaters which are constructed in Korean coast was conducted. Then, partial safety factors and load-resistance factors were sequentially calculated according to target reliability index. Load resistance factors were optimized to give one set of factor for limit state design of breakwater. The breakwaters were redesigned by using the optimal load resistance factor and verified whether reliability indices larger than the target value. Finally, load-resistance factors were compared with foreign country's code for verification.

Basic Study on the Reliability Analysis of Structural Systems (시스템 신뢰성 해석에 관한 기초연구)

  • Lee, Joo-Sung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2
    • /
    • pp.145-157
    • /
    • 1989
  • 본 논문의 주목적은 불연속 또는 연속계 구조물의 시스템 신뢰성해석(system reliability analysis)을 위한 보다 일반적인 방법을 소개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대하중증분법(extended incremental load method)이라고 불리우는데, 지금까지의 신뢰성 해석법 중 종래의 하중증분법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고, 여러 형태의 하중이 작용하는 구조물에 대해, 부재의 파괴후 거동(post-ultimate behaviour)을 다른 방법보다 더 실제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갖도록 개발한 것이다. 본 방법의 또 하나의 장점은 구조설계시 사용하는 강도공식(strength formula) 을 시스템 신뢰성 해석에서 직접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방법은 부유식 해양구조물 같은 연속계 구조물의 시스템 신뢰성 해석을 위해 개발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실제 구조물은 다루지 않고, 방법의 정당성과 아울러 수정된 안전여유식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의 부유식 해양구조물들에 적용한 결과는 후일 발표할 예정이다.

  • PDF

Collision Risk Assessment by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and Real-time Data (계층 클러스터링과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충돌위험평가)

  • Vu, Dang-Thai;Jeong,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4
    • /
    • pp.483-491
    • /
    • 2021
  •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collision risks in water areas is significant for the safety of navigation.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ethod of collision risk assessment that incorporates a clustering method based on the distance factor - hierarchical clustering - and uses real-time data in case of several surrounding vessels, group methodology and preliminary assessment to classify vessels and evaluate the basis of collision risk evaluation (called HCAAP processing). The vessels are clustered using the hierarchical program to obtain clusters of encounter vessels and are combined with the preliminary assessment to filter relatively safe vessels. Subsequently, the distance at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 (DCPA) and time to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 (TCPA) between encounter vessels within each cluster are calculated to obtain the rel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collision risk index (CRI).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of CRI for each cluster of encounter vessels with DCPA and TCPA is constructed using a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Operators can easily evaluate the safety of all vessels navigating in the defined area using the calculated CRI. Therefore, this framework can improve the safety and security of vessel traffic transportation and reduce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To illu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work proposed, an experimental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in the coastal waters of Mokpo, Kore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ramework was effective and efficient in detecting and ranking collision risk indexes between encounter vessels within each cluster, which allowed an automatic risk prioritization of encounter vessels for further investigation by oper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