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 도로

Search Result 73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 related to climate in Cheju island (기후 특성과 관련된 제주도의 민가 경관)

  • Kim, Ki-Deog;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3
    • /
    • pp.29-43
    • /
    • 2001
  • This paper examined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s related to climate in Cheju island using climate data, documents and field survey data. Precipitation and humidity affect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s in the southern parts of the island during summer while in winter, northern parts are mainly affected by wind. Chuck-gub has been shown through all over Cheju isl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Jaechangmoon exists in southern parts of the island and these parts are experienced high humidity in summer The double-row room houses, the low eaves, gentle slop roof and stone wall are distributed through Cheju island and is related to wind. The double door is common in the northern parts because of strong winter monsoon, and Yimoonkan exists in the coastal area of the northern parts. Outer wall, Pung-Che and Gorangche are affected by winter monsoon and abundant precipitation. Gorangche has shown through both the northern parts and southeastern parts. Folk houses in the southern parts are more open than in northern parts. Folk houses in the northern parts are divided into the coastal type and the piedmont type. In the southern parts, they are subdivided the eastern type and the western type by the appearance of Gorangche.

  • PDF

Effect of Nonlinear Terms on the Generation of $M_2$ Tide Residual Elevation and $M_4$ Tide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황해ㆍ동중국해의 $M_2$ 조석 잔차위 및 $M_4$ 조석 생성에 대한 비선형항의 영향)

  • 이종찬;정경태;최병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8 no.2
    • /
    • pp.137-145
    • /
    • 1996
  • Effects of nonlinear terms on the generation of M$_2$ tide residual elevation and M$_4$ tide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are investigated using a depth-integrated two-dimensional nonlinear M$_2$tidal model. The model domain (117$^{\circ}$E-130$^{\circ}$E, 24$^{\circ}$N-41$^{\circ}$N) covers the whole region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with grid resolution of 1/6$^{\circ}$ in longitude and 1/8$^{\circ}$in latitude. A radiational boundary condition is used along the open boundaries. Calculations show that advection terms yield negative residual elevation, while shallow-water terms in continuity equation yield positive residual elevation. The contribution of both advection terms and shallow-water terms to tile generation of the M$_4$ constituent is more than 90 percents, but that of quadratic bottom friction terms to the M$_4$ constituent is comparatively small.

  • PDF

Regional and Seasonal Distribution Properties of Airborne Chlorides in Jeju Island, South Korea (제주도 해안가 대기중 염분량의 지역적/계절적 분포 특성)

  • Jung, Jahe;Lee, J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10 no.3
    • /
    • pp.300-306
    • /
    • 2022
  • The distribution properties of airborne chlorides at the coasts of Jeju island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For this, Jeju island was divided into four regions-east, west, south, and north, and the airborne chlorides were investigated in those regions. And the regional and seasonal distribution properties of airborne chlorides were analyzed. Jeju island, which has a subtropical climate and is surrounded by ocean, has a great regional variation in the distribution properties of airborne chlorides, with a difference of more than 6 times between the eastern region, the highest region, and the southern region, the lowest region. In terms of seasonal properties, the airborne chlorides in eastern and western region were high in summer and fall, and in summer mainly due to typhoon. The airborne chlorides in northern region were high in winter due to the northwest wind, and the that of southern region were high in summer. Meanwhile, the airborne chlorides of Jeju island tends to be high compared to the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South Korea.

Recent changes in springtime discharge and nutrient fluxes to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2012-2021) (봄철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유출량 변화량 (2012-2021))

  • Ye Na Kim;Jong Hun K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5-145
    • /
    • 2023
  • 육지의 영양염류는 강수를 통해 강을 따라 바다로 흐른다. 연안 수질과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계를 통해 연안으로 배출되는 육상 영양염류 유출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적인 수량과 수질 동시 관측자료로 인해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내륙에서 주변 연안 지역으로 유출되는 영양염류의 유출량과 그 변화량을 추정 및 분석하고 유출량에 대한 수량과 수질 변화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2012-2021년 봄철(3-5월)에 한반도 연안 주변의 75개의 하천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 농도 및 유량 관측 데이터와 한반도 연안 375지점에서 측정된 해양 수질 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22개의 해안지역 하천 유량 관측소와 근접한 수질 관측자료를 통해, 총 질소(TN), 총 인(TP), 클로로필a의 봄철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추정하고 그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량을 모델 수식으로 분해하여 유출 총량 변화량에 대한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농도 변화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간 봄철 TN, TP, 클로로필a 유출 총량의 변화율이 영양염류의 농도 (각각 19%, 48%, 5%)보다는 하천 유량 (각각 84%, 51%, 91%)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연안을 서해, 남해, 동해로 나누어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전체 유출량에서 서해의 가장 큰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반도 내륙에서 유출된 영양염류 총량이 연안의 수질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내륙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하천과 연안 수질 환경에서 수문학적인 연결고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가 해안에 서식하는 생태계와 양식산업 생산성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강조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a Dynamic Factor Prediction Module for Risk Assessment in Coastal Activity Sites (연안활동장소 위험도 평가를 위한 동적요소 예측 모듈 구축)

  • Young Jae Yoo;Dong Soo Jeon;Won Kyung Par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5 no.5
    • /
    • pp.95-101
    • /
    • 2023
  • Recent persistent coastal developments have expanded recreational areas and enhanced accessibility. However, this growth has also led to a rise in safety incidents. These accident factors can be divided into human-made and natural types. The latter is comprised of dynamic factors like waves, tides, sea fogs, and winds. While institutions lik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already offer data on these dynamic factors, the resolution is often insufficient for a precise assessment of localized risks.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utilized the dynamic information from existing open systems to construct a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Through this, we developed an automated module to predict dynamic factors in localized coastal activity areas. Particularly during the module's construction, we compared and reviewed the numerical prediction results for waves with observed wave heights.

GPS와 VLBI 관측소의 해수하중에 의한 수직방향 지각변위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 박관동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30-30
    • /
    • 2003
  • GPS와 VLBI와 같은 우주측지 기술을 이용한 정밀 측위는 수 mn 정밀도의 관측소 좌표결정과 1 mm/year 정도의 고정밀 속도결정에 이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오차 요인들과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대한 모델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의 하나가 해수 하중(ocean loading)에 의한 수직방향의 지각변위이다. 특히 한반도의 서해안은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현존하는 모델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KVN(Korean VLBI Network)사업에서 추진하는 3기의 VLBI 중 2기가 서울과 제주도에 설치될 계획이므로, 해수하중에 의한 지각변위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 GPS상시관측소의 많은 수가 서해안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지역의 해수하중에 의한 수직방향의 지각변위를 GPS로 관측하고 이를 서해안 해수조류 모델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서해안의 4개 GPS 관측소 위치에서의 해수하중에 의한 지각변위를 계산해본 결과 인천 지역에는 3 cm에 육박하는 지각변위가 수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같은 크기와 위상의 지각변위 진폭을 GPS로 검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오차 보정과 GIPSY를 이용한 고정밀 키네마틱 GPS 자료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한다.

  • PDF

제주도 지하수 문제에서 물리탐사의 역할

  • 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4.07a
    • /
    • pp.75-91
    • /
    • 1994
  • 제주도의 지하수는 상위지하수, 기저지하수, 연안용출수, 심부지하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또 보존, 관리하기 위하여는 탐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구성물질의 물성대비를 탐사의 원리로 하는 물리탐사는 간접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조사단계에서 흔히 간과되어 왔으나, 지표 상부에서 지하 심부까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탐사방법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재인식되어야 한다. 물리탐사는 비파괴적인 탐사방법일 뿐 아니라 날은 탐사범위를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탐사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조사단계에서 소요되는 총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여기서, 제주도의 지하수문제에 대하여 물리탐사가 담당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하여 최근의 탐사실례들을 통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이들 중에는 '복합 물리탐사방법에 의한 지하수탐사', '항공원격탐사에 의한 해안 용출수탐사', '물리탐사에 의한 해수침입영역 조사' 그리고 지하수 부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질구조선 탐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 후속의 지질조사와 시추조사에서 얻은 직접적 정보들이 물리탐사에 의한 해석에 feedback 될 수 있는 조사체계를 갖춘다면 향후 제주도의 지하수와 관련한 문제에 물리탐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한다.

  • PDF

Prediction of the Land-surface Environment Changes in the Anmyeon-do Using Fuzzy Logic Operation (퍼지논리연산을 이용한 안면도 지표환경 변화 예측)

  • 장동호;지광훈;이현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4
    • /
    • pp.371-384
    • /
    • 2002
  •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nd-surface as a way of prevention of sustainable na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data of Anmyeon-do from 1981 to 2000 through a fuzzy logic operation using multi-spectral image. According to literature survey, maps, and ground truth data, the types of land-use have changed due primarily to shore reclamation or wild land and grassland fostering before the eighties. After the mid-eighties, however, a number of private residents and commercial stores quickly have spreaded throughout beach resorts and quasi-agricultural and forest areas. Moreover, shore and community regions were severely damaged in the nineties with increased farml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tour places and expansion of city area. The predicted resul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nd-surface using the fuzzy logic operation was almost similar to the state of Anmyeon-do obtained through the satellite image. Particularly, the flat lands near the shore was predicted to change slightly. This area is largely under development, thereby raising concerns on the shore environment. Thus, this method is applicable to conducting research on the change in the land-surface.

Study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Quaternary Monogenetic Volcanoes in Jeju Island, Korea (제주도에 분포하는 제4기 단성화산체의 형태적 분류 및 분포 특성 연구)

  • Lee, Jeong-Hyun;Yun, Sung-Hyo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85-396
    • /
    • 2012
  • Jeju island is the biggest volcanic island in Korea and there are over 455 Quaternary monogenetic volcanoes, of which approximately 373 volcanoes(82.0%) are cinder cones. Other volcanic forms in the island include sharp-pointed lava cone without crater(9 volcanoes; 2.0%), shield volcanoes(27 volcanoes; 5.9%), tuff rings(17 volcanoes; 3.7%), tuff cones(3 volcanoes; 0.7%), a maar(1 volcano; 0.2%) and lava domes(25 volcanoes; 5.5%). The monogenetic volcanoes include 15 small nested cinder cones(aloreum). The monogenetic volcanoes are more abunda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than in the western part. If the main cause of the weathering such as precipitation affected the shape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more monogenetic volcanoes(BC, CC, DC, etc.) are supposed to be present in the southern part that have more precipitation than in the northern part. But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show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parts. So we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the climatic conditions did not affect the distribution or the shape of cinder cones. Tuff rings, tuff cones and a maar are distributed beneath the island or in the low-altitude areas along the shore although cinder cones are distributed in the interior of the island. This means that the volcanic activity which formed the monogenetic volcanoes resulted from either phreatomagmatic eruption or magmatic (hawaiian or strombolian) eruptions depending on the reaction with water (underground water or shallow waters).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according to the altitude shows that 253(55.6%) volcanoes occur in low-lying coastal areas at an altitude below 300 m, 110(24.2%) in a middle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between 300~600 m and 92(20.2%) in a high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above 600 m. So more than half of monogenetic volcanoes are distributed in low-lying coastal areas.

Weatherability of Geotextiles for Silt Protector (오탁방지막 용 지오텍스타일의 내후성)

  • 전한용;이수남;이준석;변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62-363
    • /
    • 2003
  • 직포매트(Woven Ggeotextiles)는 연약지반 보강, 도로포장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간척지 지반 공사 및 해안지역 LNG 저장고 공사 둥에도 보강용 및 오탁방지막의 막체로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장기간 시공의 경우 현장에서 대부분 커버를 씌운 상태로 야적, 보관되거나 일차 포설된 채로 한달 이상 경과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일광이나 자외선 등에 노출된 채로 있기 때문에 설계 인장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열수축에 의한 치수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