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부학적 특징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영건의궤 기록을 활용한 조선후기 국용목재의 주요 수종 조사 및 해부학적 특징 (Major Species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 Used for National Use Specified in Yeonggeon-Uigw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 LEE, Hyun Mi;BAE, Jae 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462-470
    • /
    • 2021
  • 조선후기 국용목재에 사용된 수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건의궤 조선후기 11종의 영건에 명시된 수종을 분석하였다. 주요 용도로는 궁궐, 제실, 사묘, 성곽의 수리와 보수 공사에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17세기~20세기 영건의궤에 명시된 수종 중 활엽수재로는 가래나무,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박달나무, 오동나무, 참나무류(갈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가 확인되었으며, 침엽수재로는 소나무와 잣나무가 확인되었다. 문화재를 수리할 때에는 동일 수종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수종 조사는 중요한 부분이다. 각 수종에 대한 목재해부학적 이미지는 실제 사용된 목부재를 대신해서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표본실에 소장 되어있는 같은 수종 재감을 활용하였다. 조선후기 영건의궤 편역본을 통하여 목조문화재 건축물에 사용된 주요 수종을 알 수 있었으며, 수리·보수 시 사용될 목재 수종을 판정하는 데 필요한 목재해부학적 이미지를 마련하였다.

양식산 터봇, Scophthalmus maximus에서의 irido-like virus 감염 (The infection of irido-like virus in cultured turbot)

  • 김위식;김기홍;김춘섭;김영진;정성주;정태성;키타무라 신이치;요시미즈 마모루;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3-159
    • /
    • 2003
  • 본 연구는 병리조직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통해 양식산 turbot에서 발생하는 Irido-like virus의 감염증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2003년 6월 전북 고창 소재 육상수조에서 양식중인 turbot 치어에서 50-70%의 대량폐사가 발생하였다. 병어는 사료섭취가 저하되고 힘없이 유영하다 폐사되었으며, 죽기 직전의 어류는 복부가 팽만되고 안구가 돌출되며 체색이 옅어지는 증상을 보였다. 해부학적 조사 결과, 아가미 빈혈과 간이 퇴색되어 있었으며, 특히 비장조직이 심하게 비대되어 있었다. 병어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비대 세포를 특징으로 하는 특이 병변이 주로 신장과 비장의 조혈조직에서 관찰되었으며, 아가미, 심장, 위, 장, 간, 췌장, 지방 조직에서도 관찰되었다. 그리고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비대 세포의 세포질내에서 육각형의 지름이 136-159 nm인 Irido-like virus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국산 향유속(Elsholtzia Willd., 꿀풀과)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Elsholtzia Willd. (Lamiaceae) in Korea)

  • 전윤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9-333
    • /
    • 2006
  • 한국산 향유속 분류군의 분류학적 개정을 위해 영양기관과 생식기관 형질 [외부형태학, 미세형태학, 해부학(엽신, 엽병, 줄기), 화분, 소견과]의 상세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산 향유속의 화서는 원통형으로 배열되는 분류군도 있으나 대개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열하고, 길이는 0.5-10 cm이다. 잎은 난형 혹은 선형으로 길이는 0.2-10 cm이고, 너비는 0.2-6 cm이다. 화서와 잎의 종마다 다른 크기와 모양 등은 종간 구별에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다. 식물체의 잎과 포에는 불규칙형(anomocytic)과 교차형(diacytic)의 기공복합체가 관찰되었으며, 소견과의 형태는 난형으로 표면무늬는 다공형이고, 과피는 모두 점액성과피(myxocarpy)의 특징을 가졌다. 화분의 크기는 대부분 중립, 모양은 아장구형, 발아구는 6구형이고, 표면무늬는 전형적인 이중 망상형(bireticulate)이었다. 한국산 향유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개정을 하였다. 4개의 종이 구별되었고, 각 분류군의 기재문과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신원불상자의 개인식별에서의 치아의 역할 (The Role of Teeth in Determination of Unidentified Human Body)

  • 안용우;전희선;허기영;태일호;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77-186
    • /
    • 2008
  • 법치의학은 많은 방법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더 정밀한 정의 중 하나는 정말 법치의학은 치과전문의와 법 전문가 사이에 일부분이 겹치게 표현되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역할은 역시 개인식별을 통한 신원 확인일 것이다. 치아의 해부학적 특징과 수복물의 독창성으로 인해 비교대상에 대한 개인식별능력이 탁월한 것이다. 우리는 2007년 한 해 동안 부산지역의 신원불상으로 밝혀진 7구의 시체에 대해 법치의학적 개인식별을 시행하여 5구의 시체에 대해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육 모델 기반 3D 얼굴 표정 생성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Facial Expressions Production System based on Muscle Model)

  • 이혜정;정석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32-938
    • /
    • 2012
  • 얼굴 표정은 상호간 의사소통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인간이 사용하는 다양한 언어보다도 수많은 인간 내면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쉽고 자연스러운 얼굴 표정 생성을 위한 근육 모델 기반 3D 얼굴 표정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3D 얼굴 모델의 표정 생성을 위하여 Waters의 근육 모델을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얼굴 표정 생성에 필요한 근육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표정 생성의 핵심적 요소인 눈썹, 눈, 코, 입, 볼 등의 특징요소들을 중심으로 얼굴 근육과 근육벡터를 이용하여 해부학적으로 서로 연결된 얼굴 근육 움직임의 그룹화를 통해 얼굴 표정 변화의 기본 단위인 AU를 단순화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쉽고 자연스러운 얼굴 표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아름'의 Gibberellin 처리에 따른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the Fruit Developmental Stage as Affected by Gibberellins Treatments in Pyrus pyrifolia Nakai cv. Hanareum)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33-40
    • /
    • 2014
  • 본 연구는 조생종 '한아름'의 기본적인 해부학적 과실 구조 및 과실 품질과 GA 처리 시의 변화를 구명하여 '한아름'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아름'의 생육기별 과실 발달을 조사한 결과 만개기의 과실 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종류의 유관속 조직이 관찰되었다. 코르크층은 무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70일, GA 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60일경에 형성되었다. '한아름' 품종의 세포분열 기간은 만개 후 40일까지이며 이후에는 세포비대에 의해 과실이 발달하였다. GA 처리에 따른 과실 비대와 조직 발달을 관찰한 결과, GA 처리는 '한아름'의 세포분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세포비대를 촉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과경부는 세포분열 정지기인 만개 후 40일부터 처리구의 유관속 조직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큰 것으로 관찰되어 '한아름' 과실은 GA를 처리할 시 유관속 조직의 발달을 촉진하여 상대적으로 과실로의 양분 공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확기에 무처리구와 처리구의 평균적인 품질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에서 과중이 높았으나 경도는 낮게 조사되어 '한아름' 과실에 GA를 처리할 경우 수확 후 과실의 저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의사소통식 영어 발음지도

  • 김정렬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45-60
    • /
    • 1997
  • 의사소통식 영어교수법은 Widdowson (1978)이래, 과거 20여 년간의 여러 외국어 교수 방법들을 (침묵식 교수법, Gattegno; 자연적 교수법, Terrell & Krashen; 전신반웅 교수법, Asher; 집단언어 학습법, Curran; 암시적 교수법, Lozanov) 거치면 서, 이들 중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방법을 총괄하여, 명실공히 외국어 교육 방법의 중심으로 그 자리를 갈수록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우선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 언어적 행위로 본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목적을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기능의 숙달에 두는 것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보면 발화내용의 문법적 정확성은 그 상황에 대한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비하면, 부수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를 하는 의사소통기능을 공부하면서, 사과하는 표현으로 Sorry라는 말을 썼다고 하자. 이때, 영어는 주어 생략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Sorry 대신에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인 I'm sorry 로 표현해야 한다는 문법적인 문제보다는 사과하는 표현이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인 것인지를 묻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 16 종 영어 교과서도 의사소통 기농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의 정신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에서만큼은 아직도 의사소통식 교수방법을 무시하고, 정확한 발음의 명시적인 설명이나, 예시에 그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제6차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해설서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발음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흐르는 의사 소통식 영어교육의 맥을 완전히 끊고, 단지 정확한 발음의 해부학적 예시와 기술에 그 치고 있다 (임영재 외 1995). 이러한 발음기관의 단면도를 이용한 해부학적 발음의 예시는 특정 자음의 정확한 혀의 위치를 알려 줄 수는 있지만, 발음훈련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의 페달을 밟았을 때, 그 동력전달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 책자를 읽었다고 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시, 자전거를 타고자 하면, 실제로 타고 넘어지면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음훈련의 경우 교재의 내용이나 의사소통 기능은 의사소통식으로 가르치면서도 발음만큼은 아직도 원어민의 입모양을 활용한 듣고 따라하기 식의 전통적인 방법의 발음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발음훈련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장에서 제시되겠지만, 초등학교에서 듣고 따라하기나 듣고 골라내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음훈련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쉽게 지루해 하고, 아마 영어시간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간이 발음연습 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이 있다. 현재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을 모태로 한 교과서에서도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새로이 시작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핵심은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은 지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어서, 호기심이 많고, 모방성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하여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쉽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신체적으로 움직이고 싶어한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정 을 반영하여 발음을 지도하는 길은 역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른 영역들처럼, 학생들은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고, 교사는 이들 활동을 통해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쪽으로 맞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발음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적인 발음지도 방법을 일별해 보고,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 PDF

인도네시아산 주요 조림 및 유망 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Properties of Major Planted and Promising Species Growing in Indonesia)

  • 김종호;장재혁;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44-2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의 목재자원 중 새로운 유망 목재자원을 개발하고 최근 주요 조림 수종들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산 10수종의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수종은 산공재로써 고립관공, 방사복합관공이 관찰되었는데, Mangium에서는 위의 특성과 더불어 접선복합관공이 관찰되었다. 접선방향의 관공 직경은 Jeunjing과 Nangka를 제외한 전 수종에서 방사방향보다 큰 값을 보였다. 특히 Nangka는 공시수종 중 가장 큰 접선방향의 관공 직경을 보였다. 단위면적($mm^2$)당 관공의 수는 Mangium, Gandaria와 Kupa가 다른 수종보다 많았으며, 특히 Kupa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유세포의 접선방향 폭은 Gmelina, Mangium, Kupa와 Mangga가 목섬유의 접선방향 폭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그 중 Mangium이 가장 큰 폭을 보였다. 이 밖의 6수종은 반대로 목섬유의 접선방향 폭이 유세포의 접선방향 폭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Durian과 Nangka는 그 차이가 타 수종에 비해 미미했다. Gmelina, Jeunjing과 Rambutan은 평복세포로 이루어진 동성방사조직이, Gandaria는 평복세포와 단열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이성방사조직이, Mangium, Durian, Jengkol, Kupa, Mangga와 Nangka는 평복세포와 약 1~2열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형태의 이성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Durian, Gandaria, Jengkol, Jeunjing, Mangga, Rambutan은 결정을, Jeunjing과 Mangga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허리의 척수신경위치와 실리콘을 이용한 척추사이구멍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 (Spinal Nerve Posit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with Silicon Molds in the Cadaveric Lumbar Intervertebral Foramen)

  • 권순욱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31권4호
    • /
    • pp.151-158
    • /
    • 2018
  • 척추사이구멍은 인접한 두 척추뼈와 그 사이의 척추사이원반으로 구성된다. 이전의 척추사이구멍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이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리콘 주형을 이용해서 척추사이구멍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시신18구를 해부하여 허리의 척추사이구멍을 해부하였다. 첫째로는 척수신경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둘째로는 척추사이구멍을 덮고있는 모든 조직을 제거하여 척추사이구멍 단면의 가장 좁은 부위를 측정하였다. 조직이 제거된 척추사이구멍은 실리콘주형으로 채워졌다. 실리콘주형이 굳어진 다음에는 구멍에서 분리되었다. 단면으로 잘린 실리콘주형을 종이 위에 도장처럼 찍고, 그것을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척추사이구멍의 주형의 면적, 둘레, 높이, 폭이 컴퓨터에서 분석되었다. 허리의 다섯 개 척추사이구멍에서 면적과 둘레는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둘째에서 다섯째 허리뼈에 걸쳐서 높이는 낮아지는 경향, 폭은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높이와 폭은 다섯째 구멍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높이는 다른 구멍들 중에서 가장 낮았고, 폭은 가장 넓었다. 척수신경은 첫째에서 넷째허리뼈에서는 척추사이원반 근처를 지나갔고, 다섯째허리뼈에서는 척추사이원반 아래쪽으로 지나갔다. 이번 연구는 척추사이구멍의 3차원적 입체 구조를 실리콘주형으로 확인하였다. 기존의 평면적 연구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다른 성질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허리척추뼈에서 척추사이구멍의 면적과 둘레는 일정하였으나 높이와 폭은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산 아옥목 식물 줄기에서 이기목부인 비교해부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Stem of Malvales Plants in Korea)

  • 임동옥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67-75
    • /
    • 1991
  • 한국산 아욱목 식물 4과, 5속 10종의 목부 해부학적 형질을 비교 관찰하여 과 및 속간의 목부의 특수화 정도를 검토하였다. 담팔수과 담팔수속의 목부는 산공재로서 각상 도관이 주로 방사배열(2-14 세포폭)이고 이관 및 반관유조직이 드물게 나타난다. 산공재로서 단독분포도관과 유조직이 계단상 1열대를 보이는 피나무과 식물 중 피나무속은 도관이 각상이고, 방사조직이 절화와 타일세포가 존재하며 장구밥나무속은 원형도관을 보인다. 아욱과 무궁화속은 환공재로 도관은 원형 단독분포이며 유조직이 2열로 나타난다. 그리고 벽오동과 벽오동속은 환공재로 원형 단독분포이며, 반관연합익상 및 이관 다열 유조직이 나타난다. 그리고 유조직에는 전분과립이 많이 나타난다. 도관요소의 배열, 모양, 길이, 직경 및 청공판 각도와 주축유조직의 분포 등의 특징에 의한 이들 과간의 계통순서는 담팔수과(담팔수속) 피나무과(피나무속 장구밥나무속) 아욱과(무궁화속) 벽오동과(벽오동속) 순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