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변관광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해변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 동해안을 중심으로 (Development Plan of Beach Management: Cases of East Coast of Gangwon Province)

  • 김진동
    • 산학경영연구
    • /
    • 제23권1호
    • /
    • pp.107-128
    • /
    • 2010
  • 강원동해안은 자연적인 아름다움과 수많은 경승지, 다양한 관광매력물을 보유한 국내 최고의 관광지로서 알려져 왔다. 그중에서도 동해안와 해변은 여름철 가장 즐겨찾는 국민관광지이자 가장 핵심적인 해양관광지로서 오랫동안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타지역에 비해 뛰어난 자연경관미와 청정성 등의 해양관광환경을 자랑하는 곳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그러나 그동안 강원 동해안 해변은 환경훼손 및 쓰레기 문제, 입장료나 주차료 등 해변운영과 관련된 요금징수 문제, 편의시설의 부족, 알뜰피서 행위나 소비수준의 저하와 같은 소비행태의 문제, 혼잡도 증가로 인한 만족도 저하, 체험프로그램의 미흡, 호객행위나 바가지 요금, 서비스 품질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최근에는 여름철 저온현상과 같은 기상이변으로 인한 피서객 감소와 지역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쟁점들을 중심으로 강원 동해안의 해변운영과 관련된 주요 현안들에 대해 심도있게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해변운영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 PDF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방문밀집도 및 중점관리지역 규명: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Identification of Visitation Density and Critical Management Area Regarding Marine Spatial Planning: Applying Social Big Data)

  • 김윤정;김충기;김강선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2호
    • /
    • pp.122-131
    • /
    • 2020
  • 해양공간계획은 생태계서비스 개념에 기초하며 최근 연안 및 해양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책개발자는 해양공간계획 개념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을 위해 각 해역별 자원의 이용현황과 그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해변관광은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자원 이용활동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활동이며 다수의 문화서비스 수혜를 유도하여 중요하다. 그러나 해변관광의 규모와 방문현황의 공간적 특성을 광역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부재하며, 현장조사의 경우 높은 비용과 노동력이 요구되어 적용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신규 대안으로 소셜 빅데이터의 해양공간계획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트위터, 플리커 정보에 기초한 중점관리지역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남해 연안육역 일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소셜미디어에서 추출한 플리커, 트위터 정보를 대상으로 과다추정 방지 전처리, 적합 격자단위 규명 과정을 통해 광역단위 방문밀집도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공간통계분석 및 밀도분석을 통해 남해 일대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연안육역 구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점관리구역, 보전구역 지정 등 해양공간계획의 수립과정에서 해변관광 및 문화서비스 규모의 고려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해운대 해저지형에 대한 이안류 거동 수치모의 (Numerical study on the behavior of rip current using different bathymetry at Haeundae Beach)

  • 하태민;윤재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8-328
    • /
    • 2017
  • 해운대 해변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변 중 하나로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져 매년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부산의 대표 관광지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근래 들어 해운대에서 이안류가 자주 발생하며 관광객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해운대 해변에서 해수욕을 즐기던 관광객들이 이안류에 휩쓸려 구조된 사례가 2013년에만 500명을 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행히 아직까지 이 지역에서 이안류로 인한 인명사고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매년 발생하는 이안류에 대한 공포로 사회적인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운대 이안류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안류 사고에 대비한 경보체계 구축 등의 연구도 병행되고 있다. 해운대 이안류의 발생원인을 공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면 향후 해운대 해변의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핵심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타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안류의 원인분석 및 대책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발표된 해운대 이안류 발생원인에 대한 고찰을 기초로 해저지형으로 인한 해운대 이안류 거동의 변화를 수치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널리 알려진 Boussinesq 방정식 모델인 FUNWAVE-TVD를 사용하였으며, 병렬 연산을 활용하여 수치모의 시간을 단축하였다. 해운대 이안류는 해저지형의 변화에 따라 이안류 발달 장소가 달라지긴 하였으나 전체적인 양상은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안리 도시공간의 해양문화공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5-197
    • /
    • 2014
  • 부산 광안리 일대는 해수욕장과 광안대교 그리고 불꽃축제와 해양레저센터 등을 두루 갖춘 국제적인 관광명소이다. 특히 김해국제공항으로부터 부산에 진입하는 경우 공항에서 연결된 자동차 전용도로가 광안대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지에서 볼 때, 가장먼저 부산의 바다를 보게 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광안리 도시공간은 바다와 내륙의 관광명소가 어우러진다는 부산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장소로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그러나 광안리 도시공간이 국제적인 명소로 확고하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완해야 할 공공디자인적 요소들이 있다. 그것은 도시공간의 결절점과 확장성, 광안리를 향한 보행자의 접근로, 해변공간의 구조, 건축물들의 파사드와 같은 것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광안리 도시공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광안리와 그 일대의 도시공간이 향후 세계적인 규모의 행사 수용은 물론 장기적인 발전이 가능해지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친수 네트워크를 활용한 부산 바다뱃길 수상관광 구축에 관한 연구

  • 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1-283
    • /
    • 2018
  • 국제 무역항과 어패류 공동어시장 등이 관광지와 어울려 국제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는 해양도시 부산은 낙동강과 바다가 만나는 도심 속에서 수상관광을 하기에 매우 좋은 자연환경과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해양 인프라를 기반으로 친수 네크워크 개념을 도입한다면 40여개의 무인도서와 더불어 육상 해변 해상 해중공간을 입체적으로 연계해주는 바다뱃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비무장지대 평화생명벨트 인접해안에서의 레저관광활동 가이드라인을 위한 자외선 반사량 원격측정 (Remote Measurement of Ultraviolet Reflections for the Guidelines for Leisure Tourism Activities on the Adjacent Coast of the Demilitarized Zone Peace Life Belt)

  • 어재선;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99-506
    • /
    • 2022
  • 2021년 동해북부선 착공으로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DMZ)의 평화적 활용의 기대치가 높아지고있다. 이에 따라 비무장지대를 안보생태관광으로 활용한 인근 해변에서의 레저관광 활동에 대비해야 한다. 그러나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지표면 자외선(Ultravilolet:UV) 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자외선 노출 위험가이드라인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탐사를 이용한 비무장지대 인접 해안에서의 자외선 반사량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제시된 결과가 인근지역 레저관광 활동에서의 자외선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CT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방역을 통한 해수욕장 운영 방안 (A Plan to Operate a Beach through Safety Management Prevention Using ICT Technology)

  • 안태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29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확산한 코로나19로 국내 관광업계와 서비스업 등 지역 경제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감염병 관련 안전방역 수칙 등 규칙화 되면서 삶의 질까지도 위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목적은 여름 휴양지인 해남 송호 해변 여름축제의 이용객들에 대한 안전 방역에 미치는 영향 관점에서 분석해본다. 그리고 코로나19 시대에 변화된 이용객들의 관리에 대한 빅 데이터 조사와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기술분석을 통해 돌출 해본다. 차후에 이용객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ICT기술을 활용한 방역관리로 여름 해변축제를 이용한 관광객에 안전과 만족에 재검토되었다는 의의와 향후 본 연구에 관해서 좋은 지침과 사례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미국 연안관광과 레크레이션 정책 (U.S. Coastal Tourism and Recreation Policy: A Federal, State, and Local Perspective)

  • 오치옥
    • 수산경영론집
    • /
    • 제37권3호
    • /
    • pp.131-155
    • /
    • 2006
  • 연안관광여행과 레크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스노클링, 다이빙, 레포츠피싱, 해변방문, 보우팅, 크루져 등의 연안근처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레크레이션 활동을 포함한다. 2000년에 바다와 관련된 산업은 미국에 1,170억 달러를 기여했고, 200만개의 직업을 창출하였다. 그 중 직업의 75%와 경제적 가치의 50%는 해양관련 관광과 레크레이션에 의해 생산되었으므로 연안관광과 레크레이션은 미국경제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연안관광과 레크레이션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연안관광여행에 대해 현재 사용 및 적용되고 있는 미국의 정책구조를 정리하고, 이와 관련된 기관들과 그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안 레크리에이션 관리가 미국내의 연방, 주, 지역정부차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레크리에이션 자원 관리의 개념으로부터의 연방 및 주의 연안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상황과 관광 여행 개발을 위해 사유지 부분 접근문제해결에 대하여 연방 및 지방 정부의 대응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미래 연안관광자원의 이용을 위한 이론적 기본틀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관광매력물시스템모형과 관광목적지역디자인모형을 응용한 동부산권관광단지개발계획안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Tourist Attraction System Model and the Tourism Destination Region Design Model to Analyzing the Eastern Pusan Resort Master Plan)

  • 양위주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9-29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a spatial structure of a tourism destination master plan by the two types of the tourism development models: Tourist attraction System Model and Tourism Destination Region Design Model. The resort development plan is introduced as a planning tool for regenerating the eastern Pusan regions, but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the sociocultural dilemma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should be fully considered before launching the business. The development plan announced currently is traced and 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e upper-leveled and related plans. The Tourist Attraction System Model based on the systems theory is applied to the designated regions. The Tourism Destination Region Design Model then is applied for analyzing the components of each region on the master plan. The results of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ourism destination plan is basically different from a general master plan on the physical comprehensive plan, the destination is recognized as a subsystem of the whole tourism system, and thus tourism destination plan is considered as a spatial arrangement of tourism facilities and the inter- and intra-circulation.

  • PDF

여름철 해변지역의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해변 - (Human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of Beach Areas in Summer - Woljeong-ri Beach, Gujwa-eup,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박수국;신지환;조상만;현철지;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00-108
    • /
    • 2016
  • 최근에 관광기후지수가 생리등가온도(PET)와 범용열기후지수(UTCI)와 같은 완전한 인간 에너지 균형 모델들을 포함함으로써 발전되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해변에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해, 2015년 봄과 여름에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월정리해변에서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을 조사하였다. 미기후 측정과 국제표준화기구 10551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성인 869명이 참가하였다. 그 결과, 생리적인 요소만 고려된 '열환경 지각'과 '열환경 선호도'가 선형 회귀 분석에서 생리등가온도와 92.8과 87.6%의 높은 결정계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생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 둘 다 고려된 '열환경 평가', '열환경 수용도'와 '열환경 부담도'에서는 60.0, 21.1, 46.4%로 낮은 결정계수를 보였다. 그렇지만, 생리등가온도와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모두 0.01 레벨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열환경 지수를 나타내는 '열환경 지각'에서 덥지도 춥지도 않는 '중간'의 생리등가온도의 범위는 $25{\sim}27^{\circ}C$로 나타났으나, 미국의 냉온난방협회 표준 55에서 추천한 20% 이하의 불만족성 범위는 없었다. 다만, '열환경 평가'와 '열환경 부담도'에서 $21{\sim}32^{\circ}C$$17{\sim}37^{\circ}C$의 생리등가온도 범위들이 그 추천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21{\sim}32^{\circ}C$의 생리등가온도를 해변지역의 조경계획 및 디자인뿐만 아니라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계획을 위한 인간 열쾌적성 범위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변에서의 열 스트레스 레벨들은 한국의 내륙들보다 $2{\sim}5^{\circ}C$ 높게 나타났으며, 대만과 나이지리아와 같은 열대지역과 유사한 높은 결과들을 보였고, 서 중유럽과 이스라엘의 텔아비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