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체 역가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1초

Balb/c 마우스에서 Keyhole limpet hemocyanine (KLH)의 항원성에 대한 PAMAM dendrimer 의 면역증강 효과 (Adjuvant Effect of PAMAM Dendrimer on the Antigenicity of Keyhole Limpet Hemocyanin in Balb/c Mice)

  • 이가영;김민지;김소연;이경복;오동현;조영호;유영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05-91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Keyhole limpet hemocyanin (KLH)에 대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 유도에 대한 PAMAM dendrimer G4 (PAMAM)의 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PAMAM을 KLH와 2주 간격으로 2회 피하주사로 면역한 후, KLH에 대한 특이항체를 측정한 결과, KLH+PAMAM 면역 그룹은 KLH만을 단독으로 면역한 그룹에 약 30배이상 높은 유의한 항체가(IgG+IgA+IgM) 상승을 나타냈다. ELISA 분석에 의해 KLH 특이적인 면역글로부린의 isotype을 측정한 결과, PAMAM를 혼합하여 면역함으로서 IgG1, IgG2a, IgG2b, IgG3 및 IgM 항체의 역가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면역 개시 7주째에 면역동물에 KLH 항원을 피하주사하고 swelling reaction을 통해 세포성 면역반응인 지연형 과민반응(DTH)을 측정한 결과, KLH+PAMAM으로 면역한 그룹에서 KLH만을 단독으로 면역한 그룹에 비해 높은 DTH 유도활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면역동물의 비장세포를 취하여 in vitro에서 KLH로 재자극한 후 림프구 증식반응과 사이토카인 유도활성을 측정한 결과, PAMAM을 혼합하여 면역한 그룹에서 KLH 단독 면역 그룹에 비해 림프구의 증식반응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h1 type (IFN-γ)과 Th2 type (IL-4) 사이토카인의 생성도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AMAM dendrimer는 함께 투여된 항원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을 상승시키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PAMAM dendrimer가 면역 adjuvant로서 응용 가능한 소재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조기발병형 치주염환자의 표현형에 따른 IgG subclass에 따른 면역 유전학적 연구 (Immunogenetic Study on the IgG Subclass Responses in the Phenotypic Subsets of the Early-Onset Periodontitis)

  • 최점일;김준홍;하미혜;김성조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655-664
    • /
    • 1999
  • 본 논문은 조기발병형 치주염에 이환된 환자의 immunoglobulin allotype markers(Gm)에 대한 연구를 한 것이다. 원래 이전의 논문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Pg)에 대한 항체 역가를 측정하기위해 선택되었던 환자로 이는 subform I(distinctive localized juvenile periodontitis(LIP) pattern)으로부터 3명, subtype II(post-LJP pattern)으로부터 19명, subform III(localized but rapidly progressing pattern)으로부터 15명 그리고 subform Ⅳ(distinctive rapidly pregressing periodontitis(RPP)으로부터 24명을 추출하여 구성하였고, 각각 인종과 나이에 맞게 50명의 대조군을 구성했다. Gm type은 hemagglutination inhibition assay; b0b1b3b5, G3m(s), G3m(t)를 포함한 G1m(a), G1m(x), G1m(f), G2m(n), G3m(g), G3m(b)로 확인했었다. 관찰되어진 Gm haplotypes의 도수는 각각의 EOP subform에 따라 계산되었고 Gm phenotype은 각 환자에서 발견된 증가된 IgG subclass responses의 다양성에 따라 구분했다. 환자들 중에서 관찰된 9개의 Gm phenotype 은 4개의 Gm haplotype으로 나타났다. subform Ⅳ에서 관찰되어진 모든 4개의 Gm haplotype의 도수는 대조군과 유의성있는 차이가 났다. 특히 haplotype afnb(Gm(n))의 그것이 유의성있게 높았다. 더욱이 G2m(n)은 IgG4와 IgG1의 level뿐만 아니라 IgG2 level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Gm phenotype을 검사 할 때 IgG1+2와 IgG1+2+4모두에서 antibody level이 증가한 모든 환자가 일관되게 Gm phenotype agfnb나 axfnb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IgG subclass response는 개인의 immunogenetic marker에 의해 조절되었고 genetic predisposition의 가능성은 EOP subform IV환자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더욱이 G2m(n)과 Gm phenotype agfnb나 axfnb 모두 IgG1+2 나 IgG1+2+4 antibody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Arabinoxylane과 PSP의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 효과 검증 (The Effects of the Arabinoxylane and the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the Antiallergy, Anticancer)

  • 배만종;이성태;채수연;신성해;권상호;박미현;송미경;황성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69-474
    • /
    • 2004
  • 본 연구에 사용한 아라비녹실란화합물은 미강에서 추출한 헤미셀룰로즈에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에서 분리한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식물성다당류이며, PSP(polysaccharide peptide)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Coliolus versicocor Sov-1의 균사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얻은 단백다당체 성분이다. 이들에 대한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등에 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장세포의 B cell과 T cell에 arabinoxylane과 PSP의 항체생성과 세포활성능을 조사한 결과 PFC형 성은 10 ∼ 15%, RFC검출은 10 ∼ 30% 증가하였다 복강침출세포로부터 대식세포의 탐식능 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PSP는 약 18%, arabinoxylane은 22% 정도 증가하였다. S-180 고형암에 의한 항암실험에서 arabinoxylane은 66.2%(p<0.01), PSP는 49.0%(p<0.05)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효과는 PSP, arabinoxylane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다.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군은 40, ara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경감되었으며, arabinoxylane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혈중 histamine 함량도 PCA와 유사한 결과로 arabinoxylane군과 PSP군이 히스타민 함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B형 간염백신 접종시행 이후 혈청 Anti-HBs 양성율에 관한 조사 (The Positive Rate for Serum Anti-HBs in Korean since the Universal Carrying Out of HB Vaccination)

  • 이헌주;정문관;김종설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75-80
    • /
    • 1987
  • 저자들은 국내에서 B형 간염백신이 사용된 이래 일반주민의 혈청 anti-HBs양성율과 접종이후 장시간이 경과된 후의 접종자들의 혈청 anti-HBs 양성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6년 1월 부터 1987년 3월까지 영남의료원 건강진단센터를 방문한 2,459명을 대상으로 한 문진과 검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B형 간염백신 접종군과 비접종군에서의 혈청 HBsAg 양성율은 각각 0.7%와 9.6%였으며 전체검사자중에서는 8.0%로 나타났다. 2. B형 간염백신 접종군과 비접종군에서의 혈청 anti-HBs 양성율은 각각 66.3%와 47.9%였으며 전체검사자중 51.0%였다. 3. 1회나 2회의 기본접종만 받은 군에서의 혈청 anti-HBs 양성율은 각각 51.4%와 68.6%였고 3회의 기본접종을 받은 군에서는 67.6%의 양성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현재 일반주민의 혈청 anti-HBs 양성율은 과거보다 높아져 있으나 특히 백신접종으로 항체를 획득한 후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역가가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접종후는 혈청 anti-HBs의 출현을 확인한 후에 필요시는 더욱 정밀한 방법으로의 검사와 각자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시기의 추가 접종이 요구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마렉백신의 In-Ovo 접종에 따른 육계에서의 효능 평가 (Efficacy of In-Ovo Vaccination against Marek's Disease in Commercial Broiler)

  • 엄현정;원미영;이동우;고도욱;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95-301
    • /
    • 2006
  • 본 실험은 육계에서의 Marek's disease(MD) 백신에 대한 안전성과 효용성을 국내에 기 도입된 18일령 계란에서의 백신 접종 방법(In-Ovo vaccination)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육계에서의 MD 오염율은 nested PCR을 이용하였으며 백신 접종군과 비접종군간의 생산성 차이를 출하 일령, 평균출하체중, 출하율, 사료 효율을 기본으로 하는 생산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백신에 의한 면역 억제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접종 농장에서 채취한 혈청에서의 항체 역가수준과 F낭의 무게 변화를 검사하였다. 국내 육계에서의 MD 발생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nested PCR을 실시한 결과 조사 대상 농장 중 26.09%가 오염되었으며, 백신 접종 농장과 비접종 농장간의 생산 지수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MDV 오염군에서의 MD 백신 접종 농장의 생산 지수가 비접종 농장보다 높아 간접적으로 효과가 있음이 인정되었다. 면역 억제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에서는 두 그룹 간 B/B ratio 차이는 없었으나 두 계군 모두 출하 시 심한 위축을 보여주어 혈청 검사 성적과 연계하여 볼 때 국내 육계 농장에서의 IBD 감염이 만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육계에서의 MDV 오염율이 파악되었으며, In-Ovo 백신 접종에 의한 MD 백신 접종은 안전성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효능면에 있어서는 MD 야외감염율이 낮고 IBD와 같은 면역 억제 질병의 감염이 만연되어 있어 정확한 평가가 되지 않아 앞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느타리버섯 세균성갈반병균 Pseudomonas tolaasii의 효소면역검출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of Pseudomonas tolaasii, a Bacterial Brown Blotch Pathogen of Oyster Mushroom.)

  • 이향범;전낙범;손동화;유승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8-243
    • /
    • 1998
  • 느타리버섯의 세균성갈반병균인 P. tolaasii(PT)를 신속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소면역측정법 (ELISA)을 개발하였다. 특이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PT($5{\times}10^7$ cfu)를 Freund's adjuvant와 함께 토끼에 수차례 면역하였으며, 가장 높은 역가를 나타낸 항혈청을 이용하여 비경합 ELISA 및 경합 ELISA를 각각 확립하였다. 표준곡선으로부터 PT의 그 검출한계는 각각 $2{\times}10^2$cfu/ml 및 $3{\times}10^2$cfu/ml가량으로 나타났다. 교차반응은 비경합 ELISA의 경우 P. agarici, P. reactans 및 비병원성 Pseudomonas속 균주와 1/$10^3$이하의 매우 미약한 반응을 보였으나 P. solanacearum, Erwinia chrysanthemi, Streptococcus mutans, Xanthomonas citri 및 곰팡이인 Fusarium oxysporum등 다른 균주와의 반응성이 거의 없었으며, 경합 ELISA의 경우 PT이외에는 같은 속 균주에 대하여도 반응성이 거의 없었다. ELISA를 이용하여 버섯으로부터 분리된 18균주에 대하여 PT의 여부를 조사하였을 때 병원성과 white line 반응성을 동시에 나타내었던 11균주에 대하여만 명확한 양성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확립한 ELISA는 간편하고 정확한 PT검출법 임이 확인되었다.

  • PDF

토천궁(土川芎) 노두(蘆頭)와 근경(根莖)의 재식시기(栽植時期) 및 수확연차(收穫年次)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ing and Harvesting Time of Vegetative Nodes and Rhizomes on Yield of Ligusticum chuanxiong Hort)

  • 김충국;이승택;임대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1-186
    • /
    • 1994
  • 산천궁(山川芎)의 노두(蘆頭)와 근경(根莖)을 봄과 가을에 식재(植栽)하여 1년(年) 또는 2년간(年間)을 재배(栽培)하였을 때의 지상부(地上部)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초장(草長), 주당엽수(株當葉數) 및 경수(莖數)는 근경(根莖) 춘식(春植) 2년생(年生) > 근경(根莖) 추식(秋植) 1년생(年生) > 노두(蘆頭) 추식(秋植) 1년생(年生) > 노두(蘆頭) 춘식(春植) 1년생(年生)의 순(順)이었으며 근경(根莖) 춘식(春植) 2년생(年生)의 경우는 생육기간(生育後期)에 경수(莖數)가 급속히 감소(減少)되었다. 2. 노두(蘿頭) 춘식(春種) 1년생(年生)의 경우 건엽중(乾葉重)과 엽면적(葉面積), 엽면적(葉面積) 지수(指數)는 8월(月) 16일(日)에 최고에 달하였으며 건경중(乾莖重)과 건근경중(乾根莖重)은 수확시(收穫時)까지 계속 증가(增加)되었다. 3. 수권적기(收權適期)는 근경(根莖) 춘식(春植) 2년생(年生)의 경우 10월(月) 17일(日), 근경(根莖) 춘식(秋植) 1년생(年生)과 노두(蘆頭) 춘식(秋植) 1년생(年生)은 11월(月) 9일(日), 노두(蘆頭) 춘식(春植) 1년생(年生)은 11월(月) 13일(日)로 추정(推定)되었다. 4. 근경(根莖) 식재(植栽) 2년생(年生)의 수량(收量)은 443kg/10a으로 근경(根莖) 식재(植栽) 1년생(年生)의 수량(收量) 194kg /10a에 비해 2.8배(倍)가 증가(增加)되었다. 5. 식재시기(植栽時期)는 가을식재(植栽)가 봄식재(植栽)보다 증가(增收)되었으며, 종구(種球)는 근경(根莖) 식재(植栽)가 노두(蘆頭) 식재(植栽)보다 수량(收量)은 17% 증가(增加)되었지만 종구비(種球費)가 많이 소요(所要)되므로 경제적(經濟的)으로는 노두(蘆頭) 식재(植栽)가 유용(有利)할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별(部位別)로 비교(比較)했을 때 thymol, ${\gamma}-terpinene$은 잎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나 f-cymene은 잎보다는 꽃에서 특징적(特徵的) 으로 많이 검출(檢出)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beta}-gurjun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등의 함량비가 높아 생강의 부위에 따른 항기 성분 조성 pattern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백신 접종후 부작용 발생률이 피내주사군에서 31.6%로서 근육주사군의 14.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육주사군에서는 피로감, 발열 등의 전신부작용과 주사부위의 동통이 흔히 나타났으며, 피내주사군에서는 색소침착 등의 국소부작용이 흔하게 나타났다. 결 론 : 유전자재조합 B형간염백신은 항체양전율이나 항체역가면에서 0, 1, 2개월 방법보다는 0, 1, 6개월 방법 이 효과적이며, 소량 피내접종에 의한 면역효과는 기존의 근육주사법과 동등한 것으로 사료된다.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72시간에도 역시 남자($2.16{\pm}0.56L$)가 여자($1.

  • PDF

세신(細辛)의 근경삽(根莖揷)번식에 있어서 오옥신의 이용과 차광재배(遮光栽培) (Use of Auxins for Rhizome Propagation and Shading Effect on Growth of Asarum sieboldii Mio.)

  • 김순곤;박충헌;최동근;황창주;진성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8-204
    • /
    • 1994
  • 세신(細辛)(족도리풀:Asiasarum sieboldii)의 근경삽에 미치는 생장조정물질의 효과와 차광정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세신의 근경에 auxin을 침지하여 삽목한 결과 IAA, IBA, NAA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지하부 생육이 현저하게 양호하여 뿌리발생수는 IAA 침지에서 13.6개, 근장과 측근 수는 IBA처리에서 8.9cm와 39.8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2. 근경의 auxin 처리가 지상부 생육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IAA 침지에서 분아수 2.8개, 엽수 1.3매로 처리중 양호하였으며, 특히 식물 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3.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세신의 생육은 양호하여 초장과 엽장은 평야부인 이리에서 75+50% 차광에서 15.3cm와 9.6매였고, 산간부인 진안에서는 75% 차광에서 15.3cm와 10.5매로 조사되었다. 근장과 근수는 이리에서 75% 차광시 12.5cm와 18.9개였고 진안에서는 50% 차광처리에서 14.0cm와 20.1개로 나타났다. 4. 엽 고사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평야지보다 산간부에서 늦게 나타났고, 노지 재배의 경우 이리는 7월 20일, 진안은 8월 10일이었다. 그리고 차광재매로 이리는 75+50% 차광에서 9.12일경 까지, 진안은 50% 차광에서 9.16일경까지 세신의 생육을 연장할 수 있었다. 5. 세신의 수량성은 재배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노지재배의 경우 10a당 수량은 평야지에서 70.1 kg, 산간지에서 85.0kg이었다. 차광재배에 의한 수량은 현저히 높아져 이리에서 75+50%차광에서 99.5kg, 진안에서는 50% 차광처리에서 118.2kg의 수량을 얻어 세신의 재배에는 $75%{\sim}50%$차광이 유리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향(百里香)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섬백리향(百里香)을 부위별(部位別)로 비교(比較)했을 때 thymol, ${\gamma}-terpinene$은 잎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나 f-cymene은 잎보다는 꽃에서 특징적(特徵的) 으로 많이 검출(檢出)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beta}-gurjun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등의 함량비가 높아 생강의 부위에 따른 항기 성분 조성 pattern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백신 접종후 부작용 발생률이 피내주사군에서 31.6%로서 근육주사군의 14.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육주사군에서는 피로감, 발열 등의 전신부작용과 주사부위의 동통이 흔히 나타났으며, 피내주사군에서는 색소침착 등의 국소부작용이 흔하게 나타났다. 결 론 : 유전자재조합 B형간염백신은 항체양전율이나 항체역가면에서 0, 1, 2개월 방법보다는 0, 1, 6개월 방법 이 효과적이며, 소량 피내접종에 의한 면역효과는 기존의 근육주사법과 동등한 것으로 사료된다.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 PDF

한국산 겨우살이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독성 및 면역증강 효과 (In vivo Toxicity and Immunoadjuvant Activity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 윤택준;양웅석;박성민;정회윤;이안나;정진혁;강태봉;유영춘;김종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60-565
    • /
    • 2009
  • Lactobacillus casei KCTC 2180 및 Lact. plantarum KCTC 3103으로 발효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인 FKM-110의 렉틴 성분의 함량 변화, 독성 및 면역증강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가지 유산균을 이용하여 KM-110을 1-3일간 발효시킨 결과, 렉틴 성분은 발효 전에 비하여 53-71% 정도의 함량을 나타냄으로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마우스에 대한 시료의 독성시험을 위하여 각 시료를 피하 주사하고 $LD_{50}$ 값을 측정한 결과, KM-110은 50-100 mg/kg인 반면 유산균으로 발효된 겨우살이 추출물인 FKM-110은 150-200 mg/kg인 결과를 보임으로 발효에 의하여 in vivo 독성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시료를 macrphage에 직접 자극하여 염증성 cytokine인 IL-$1{\beta}$ 및 TNF-${\alpha}$의 생산능력을 조사한 결과, FKM-110이 KM-110에 비하여 낮은 cytokine의 생산양식을 나타냈다. 그러나 FKM-110의 항원 KLH에 대한 면역증가 효과를 항체 생산능으로 조사한 결과, KM-110과 차이 없이 항원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높은 역가의 항체가 생산되었다. 따라서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결과, in vivo 독성은 감소하였으나 면역증강 활성은 KM-110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겨우살이의 면역증강 활성에 관여하는 성분으로 렉틴 이외에 물질이 관여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사료 내 식물추출물 복합제(Coxynil®, Growell®, Respowell®) 첨가가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lant Extracts (Coxynil®, Growell®, Respowell®) in Broilers)

  • 조상범;권승현;이준형;이윤정;강창원;백현동;장병준;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47-1552
    • /
    • 2009
  • 본 연구는 육계 사료에 식물추출물($Coxynil^{(R)}$, $Growell^{(R)}$ 그리고 $Respowell^{(R)}$)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혈액 성상 그리고 조직 내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또한 항생제 대체효과가 가능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40,000수의 Ross 종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34일 동안 사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CON)으로 salinomycin-6, clopidol-25, enramycin-1 그리고 BMD-2.5를 포함하는 항생제 첨가사료를 20,000수에게 급여하였으며, 식물추출물 급여군(NP)은 항생 제대체제로 Growell India사에서 판매되는 $Coxynil^{(R)}$, $Growell^{(R)}$ 그리고 $Respowell^{(R)}$을 각각 0.03%, 0.035% 그리고 0.03%씩 첨가하여 20,000수에게 급여하였다. 종료시 체중, 증체량 그리고 사료섭취량에 있어서 CON과 NP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NP군의 사료섭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시험기간 동안 CON군은 총 1,693 수가 폐사하였으나 NP 군은 1,008수가 폐사하여 식물추출물의 급여가 육계를 보다 건강하게 생육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항체 생성 반응에 있어서는 NP군이 CON군에 비하여 낮은 IBDV와 NDV 항체역가를 나타내었다. 혈액 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globulin 및 IgG 함량에서도 NP군과 CON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 종료후, 각 장기의 조직을 적출한 후에 조직 상태를 조사한 결과 CON군과 NP군 간의 큰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Salinomycin-6, clopidol-25, enramycin-1 및 BMD-2.5 등의 항생제를 각각 Cinnamomum camphora, Zingiber officinale 그리고 Operculina turpethum을 주성분으로하는 $Coxynil^{(R)}$, $Growell^{(R)}$$Respowell^{(R)}$으로 대체하여 육계 사양실험을 실시한 결과, 상호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기 3종류의 식물 추출물들의 복합첨가는 육계 사양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