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원제시세포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인공 항원제시세포의 표면 분자의 특성 및 상호작용이 T 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perties and interactions of surface molecules in antigen presenting cells on T cell activation)

  • 민영실;강윤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64-176
    • /
    • 2020
  • 인체 적응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항원 특이적 T 세포를 활용한 면역 세포 치료에서 T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고 클론 확장시키는 과정은 매우 섬세하고 복잡하여 조절하기가 쉽지 않아 T 세포의 활성화와 클론 확장을 유도하면서도 조절 및 취급이 용이한 인공 항원제시세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 항원제시세포는 인체의 항원제시세포의 세포 표면 분자와 작용을 모방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신호 분자인 MHC-항원 복합체, 공동 자극 분자, 그리고 용해성 면역 조절 분자를 필수적으로 발현하여야 한다. 또한 T 세포가 항원과 접촉할 때, 이들 분자들이 잘 조직화되어 작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에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인공 항원제시세포 제작 방법과 세포 표면 분자들의 결합 방법과 물리적인 특성이 T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중요함을 고찰하였으며,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며 면역세포치료에 적용 가능한 인공항원제세세포의 제작 방법을 살펴보았다.

생쥐에서 녹용약침액이 자가항원제시형 Cathepsin S 활성의 저해와 류마티스 관절염 억제에 미치는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eer Antler Aqua-acupunture (DAA) on Cathepsin S Activity and Rheumatoid Arthritis in Rats)

  • 안형준;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04-116
    • /
    • 2003
  • 목적 : 시스테인 단백분해 효소인 cathepsin는 인간과 생쥐의 항원제시세포에서 II형 주적합항원 불변사슬(MHC class II invariant chain)의 분해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녹용 약침액이 류마티스 관절염 생쥐 모델의 골조직(연골과 활액) 유래 cathepsin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방법 : 관절염 동물모델은 BALb/c계 생쥐를 생후 3일에 흉선 적출(3d-Tx)을 하여 만들었다. 동물모델의 골조직, 임파절세포, 비장 등을 녹용처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cathepsin의 활성도 및 자가항원 특이(C-II-specific) T-세포의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각 장기에서 cathepsin S의 활성은 녹용약침 처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고, T-세포 특이 자가항원반응은 녹용약침 처치군의 임파절 세포에서 유의성있게 억제되었다. 그리고 T-세포 특이 자가항원 반응의 불활성화에는 녹용 10~20ug/ml의 용량으로 충분하였다. 결론 : 이러한 실험결과는 녹용 약침액이 cathepsin S를 선택적으로 억제시켜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 유효한 치료약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장관면역에 있어서 레티노인산의 역할 (Role of Retinoic Acid in the Gut Mucosal Immunity)

  • 손동화
    • 식품기술
    • /
    • 제23권4호
    • /
    • pp.535-543
    • /
    • 2010
  • 장관은 우리 몸에서 가장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이물에 대항하여 면역세포의 배치가 필수적이다. 항원과 만난 적이 없는 naive lymphocyte는 임파절 등 2차 임파기관의 수지세포(dendritic cell)가 임파구에 항원을 제시할 때 레티노인산(retinoic acid)을 생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소장 조직에 특이적으로 임파구가 호밍(homing)하는 능력을 부여한다. 한편, 장에 있어서는 식품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데, RA는 T세포의 기능분화를 억제하여 면역관용의 성립에도 관여함이 밝혀졌다.

  • PDF

T 임파구와 세포성면역

  • 최철순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5권10호
    • /
    • pp.595-606
    • /
    • 1989
  • 항원제시세포(APC)와 보조T세포 간의 협력작용에 의하여 활성화된 작동세포(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 과립구 등)의 종양세포, 이식장기 및 세포내기생세균에 감염된 각종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작용은 생체방어를 위한 중요한 세포성면역기전이다. 지난 몇 년간 세포성면역기전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T림파구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의 면역생물학적기전은 확실히 밝혀있지 않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요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독성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세포로는 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단핵구 및 과립구가 있다. 2. T세포의 세포표면항원분자군(CD)으로는 $CD_{2},\;CD_{3},\;CD_{4}[Ly_{3}T_{4}],\;CD_{5}[=Ly_{1}],\;CD_{7},\;CD_{8}[Ly_{2,3}]$가 있으며 $CD_{4}$는 보조Ttpvhdml 특이마커이고 $CD_{8}$는 세포독성 T세포 및 억압T세포의 특이마커이다. 주요 T세포수용체(TCR)는 $CD_{4}$ 또는 $CD_{8}$ 분자와 가까이 연합된 이향체($TCR-{\alpha}{\beta}/TCR-{\gamma}{\delta}$이며 보조 T세포 $CD_{4}$(마우스 $L_{3}T_{4}$)는 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는반면 억압 T세포 $CD_{8}(Ly+_{2,3})$는 항원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다. 3. T세포는 Ti-$CD_{3}$(항원/MHC) 복합체를 통한 '항원가교'에 의한 자극(항원인식)과 $CD_{2}$를 통한 비특이경로에 의하여 활성화(분화증식)된다. 비특이경로를 통한 활성경로에서 T세포($CD_{4}$$CD_{8}$)가 활성화되기 위하여는 보조T세포가 생산하는 IL-2을 요구하며 IL-2의 자극으로 분화증식된 $CD_{8}$는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만 $CD_{4}^{+}$는 여전히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 못한다. 4. 보조T세포는 class II MHC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하는 반면 세포독성T세포는 class I MHC 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한다. 5. 림파구 매개성 세포독성은 접촉(conjugati-on), 탈분극(depolarization), 용해계획(progra-mming), 용해(lysis) 및 재순환(recycling)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6. 표적세포살해매체로는 perforin / PFP / cy-tolysin, lymphopores, lymphotoxins, protone, cytolytic enzymes가 알려졌으며 세포독성작용은 이들 이외에도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으로 추정된다. 7. CTL 매개성 표적세포의 주요 대사변화는 actomyocin ATPase의 증가, phosphocreatine과 ATPase의 소모, ATP 의존성 $Na^{+}/K^{+}$ 펌프작용의 중지, ATP 의존성 $Ca^{2+}$ 유출감소 및 세포내 축적이 관찰된다. 8. $Ca^{2+}$의 축적으로 세포막 교질 침투손상을 주어 수분의 유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포형성, 핵붕괴, 사립체팽화 및 정상세포 구조상실(Zeiosis)이 있다. 결론적으로 CTL 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은 PFP, LT, TNF, 유사 TNF / LT 및 기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이며 세포살해기전은 지속적 대사소모와 정형적 세포구조(핵 및 세포질)의 파괴에 의한 것이다.

  • PDF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간암 세포주와 T 림프구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The Interaction between HCV-Infected huh7.5 Cells and HCV-Specific T Cells)

  • 강효정;조효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9-172
    • /
    • 2014
  • 최근 인간 간암세포주(human hepatoma cells)를 이용하여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의 복제가 가능한 세포배양모델(cell culture system)이 확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간암세포주 중 huh7.5 cell (human hepatoma 7.5 cells)과 C형 간염 바이러스인 J6/JFH1 clone (2a 유전자형)를 이용하여 감염 가능한 세포배양모델을 확립하였다. 또한, HCV 감염 간암세포주의 HCV 특이 T 림프구에 대한 항원제시(antigen presentation)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외부에서 전달된 HCV 항원일 경우 간암세포주의 HCV 특이 T 림프구에 대한 항원제시로 T 림프구의 활성이 가능하였으나, HCV 감염 간암세포주의 경우 T 림프구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HCV 특이 T 림프구의 활성억제와 HCV 감염 간암세포주 항원제시능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HCV 감염 간암세포주의 주조직적합성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발현변화를 측정하였으나 HCV 감염은 간암세포주의 MHC 발현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림프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효율적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 (Fibroblastic Reticular Cell Derived from Lymph Node Is Involved in the Assistance of Antigen Process)

  • 김민환;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7-1032
    • /
    • 2016
  • 항원은 병원체로부터 유래한 질병인자다. 생명체는 항원에 대항하는 방어계인 면역계를 가지고 있다. 항원은 식세포작용, 항체, 보체 활성화, NK세포 혹은 MHC 분자를 통한 세포독성 T세포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처리된다. 림프절은 스트로마세포와 3차원 네트워크를 통해서 구성되어 있다.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는 림프절 T zone에서 T세포와 상호작용한다. FRC는 세포외 기질 생산과 homing 케모카인을 생산하여 감염에 대비한다. 하지만, FRC가 항원처리과정에 관련되어있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는 FRC의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FRC는 대식세포, T세포, LPS, 그리고 TNFα와 같은 다양한 감염상황에 노출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FRC가 대식세포 및 T세포와 공배양 했을 때 FRC가 형태적 변화와 FRC간 빈 공간 형성이 관찰 되었다. MMP 활성은 Y27632와 T세포에 의해 조절 되었다. 더욱이, 염증물질인 TNFα를 FRC에 처리 후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한 결과에서 부착분자와 MHC I antigen transporter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C 단일층에 LPS와 대식 세포를 공배양 했을 때 NO 생성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GFP antigen을 FRC와 대식세포 공배양군에 처리 했을 때 항원 흡수율이 증가되었다. 이러 결과는 FRC가 항원처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림프절이 항원처리과정에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보중익기탕의 T세포 증식 유도 효과 (Effect of Bu-Zhong-Yi-Qi-Tang on Proliferation of T Cells)

  • 채수연;신성해;하미혜;조성기;김성호;변명우;이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085-1091
    • /
    • 2004
  • 먼저 OVA항원에 대해 특이적으로 증식반응을 나타내는 T세포주를 수립하였고, 수림된 세포주는 세포 표면 단백질이 CD4$^{+}$CD8$^{-}$이며 IL-2와 IFN-${\gamma}$를 분비하는 Type I에 속하는 보조 T세포(Thl)인 것을 확인하였다. 보중익기탕의 total 분획은 OVA항원에 대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Thl세포의 증식반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고농도에서 오히려 증식반응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보중익기탕의 polysaccharide 분획은 전반적 인 농도에서 T세포의 증식반응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중익기탕의 polysaccharide 분획을 첨가하였을 때 T세포의 IL-2 분비량은 대조군보다 약간 적었지만, IFN-${\gamma}$ 분비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그리고, 분비된 IL-2와 결합하는 T세포의 IL-3 수용체 발현양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원제시세포의 MHC class II의 발현양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보중익기탕의 polysaccharide분획은 T세포의 IL-2수용체 발현양을 증가시키고, 항원제시세포의 MHC classs II의 발현양을 증가시켜서 T세포의 증식반응을 증가시키는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보중익기탕이 생체 면역반응에 미치는 보다 정확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직접 살아있는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in vivo 실험이 필요하다.

항원제시세포를 이용한 암 치료제 개발전망 (The Prospective of Antigen-presenting Cells in Cancer Immunotherapy)

  • 심두희;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15-420
    • /
    • 2004
  • 전 세계적으로 암의 발병률의 증가하고 있고 또한 그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실정이다. 암은 성장양상에 따라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으로 나뉘는데 암으로 구분되는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법들이 시행되고 또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서 dendritic cells (DCs)는 인체 내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적응면역에 관여하는 cytotoxic T cell (CTL)에 항원을 제시하여 CTL로 하여금 종양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artificial antigen-presenting cell (aAPC)을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다. 가용성의 human leukocyte antigen-immunoglobulin fusion protein (HLA-Ig)를 기초한 aAPC은 DCs의 단점을 보완한 항원제시세포로써 DCs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CTL반응을 유도해 낼 것으로 기대한다. 본 총설에서는 이 DCs의 역할과 이들을 이용한 암 치료법에 대해서 논하고 그 개발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BCG 예방접종을 받은 개체에서 유도되어 있는 결핵균 균체항원에 특정한 CD8+T 세포의 보호 면역반응 (M. tuberculosis Somatic Antigen Specific CD8+T cell Responses in BCG-Vaccinated Subjects)

  • 조장은;조상래;이경화;박승규;조성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72-278
    • /
    • 2005
  • 배 경 : 결핵의 보호면역 반응에서 CD8+T 세포에 의한 여러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최근에 보고되고 있다. $IFN-{\gamma}$ 분비 외에도 결핵균으로 감염된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어 직접 결핵균으로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독성능 또한 그 역할이 중요하다고 알려지고 있는데, BCG 예방접종을 받은 개체에서도 이러한 균체항원에 특정한 CD8+T 세포의 독성능이 유도되어 있어서 보호면역 반응에서의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HLA-A*0201 과 A*0206를 표현하며 BCG 예방접종을 한 개체들의 혈액에서 백혈구를 분리하고 균체항원의 항원결정기 ($ThyA_{30-38}$) 에 대한 독성능과 ex vivo $IFN-{\gamma}$ 분비능을 유도하였다. 결 과 : 이들 대상에게서 $IFN-{\gamma}$ 분비능과 독성능이 유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또한 HLA-A*0201에 결합하여 CD8+T 세포의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ThyA_{30-38}$ 펩티드들은 HLA-A*0206인 개체에서도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 균체 항원에 특정한 CD8+T 세포들의 $IFN-{\gamma}$ 분비 능과 독성능이 BCG 백신주사를 맞은 개체에서 유도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균체항원에 특정한 CD8+T 세포들이 보호면역 반응에 관여한다는 것을 제시하며, 또한 HLA-A*0201 개체들과 HLA-A*0206 개체들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이나 치료제로써 $ThyA_{30-38}$ 펩티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