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염증작용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6초

수종 생약의 항염증 작용

  • 정다운;강애라;심광효;성충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40-240
    • /
    • 1994
  • 1. 천연 항염증 물질의 분리 천연 항염증 약물 개발을 목표로 하여 한방과 민간에서 소염, 진통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식물들을 대상으로 Carrageenin에 의해 유도된 백서 후족 부종의 억제를 지표로 Screening을 행한 결과, 2종의 식물의 부탄을 엑스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호랑가시나무(flex cornuta L. ) 잎 및 쑥부쟁이 (Aster yomena Makinc)의 부탄을 엑스가 Aspirin(300mg/kg)에 필적하는 항염증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식물들의 부탄을 엑스로 부터 각각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호랑가시나무로 부터는 01eanane type의 monodesmoside와 Pomolic acid bisdesmoside가, 쑥부쟁이로 부터는 Hederagenin bisdesmoside및 구조 미확정의 물질이 각각 분리되었다. 2.천연 항염증 물질의 구조 변환 항염증 약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유효성분인 Saikosaponin-a의 용해도 개선을 위하여 그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Saikosaponin-a hemisuccinate의 K염은, 용해도 시험 결과 현저한 용해도 증가를 보였다.

  • PDF

뽕나무 오디추출물의 항염증(抗炎症).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에 대한 생리활성(生理活性) 검색(檢索)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 김선여;박광준;이완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4-209
    • /
    • 1998
  • 오디의 기능성(機能性)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의 일환으로 뽕나무 품종에 따라 9종의 오디를 채취(採取)하여 냉동건조(冷凍乾燥)한 후 각각에 대하여 항염증 및 항산화효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작용을 검색하기 위하여 cyclooxygenase II의 활성억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4배성 휘카스 > 2배성 휘카스 >검설뽕 등의 순으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현재 항염증제의 표준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nabumetone 10ppm에서 활성억제도(活性抑制度)를 1이라 했을 때,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낸 신광뽕 오디의 경우는 0.55의 활성도를 나타냈다. 2. 최근에 천연물(天然物)로부터 항암작용과 더불어 소염작용을 갖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phosphlipase $A_2$의 활성억제도법을 이용한다. 오디 9품종의 MeOH 추출물 $100{\mu}g/ml$의 농도에서 phospholipase에 대한 억제활성은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북산2호의 순으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3. 항염증 작용과 항산화 작용은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DPPH법을 이용하여 radical scavengingrate를 측정했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청일뽕의 순으로 항산화작용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9종의 오디품종중 항염증제로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은 검설뽕, 휘카스 및 신광뽕이었고, 북산2호와 대도상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는 전혀 없었다.

  • PDF

수용성 EPCR에 의한 활성화된 단백질 C의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 (Effect of Soluble EPCR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ctivated Protein C)

  • 배종섭;박문기;박상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501-50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혈관내피세포에서 활성화된 단백질 C(Activated Protein C, APC)의 항염증 작용에서 수용성 EPCR(Soluble Endothelial Protein C Receptor, sEPCR)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sEPCR은 APC가 매개하는 항염증 작용에 있어 내피세포막의 보호효과를 저해하고,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백혈구의 부착저해 효과를 억제하며, 혈관내피세포를 관통하는 백혈구의 이동을 저해하는 효과를 억제한다. 그리고 흥미롭게도 sEPCR은 내피세포에서 TNF-alpha에 의한 세포부착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APC의 기전을 저해함으로써 APC가 가지는 항염증 효과를 억제한다. 이것은 APC의 Gla 도메인이 내피세포의 수용체인 EPCR에 결합할 수 있는 부위에 sEPCR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더 이상 APC이 세포막에 존재하는 EPCR과 결합을 못함으로써 APC의 항염증 작용은 억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향후 중증 패혈증 및 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약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고 내피세포에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APC의 항염증 작용의 기전을 밝히는 데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spalatone의 항염증작용

  • 한병훈;서대연;양현옥;이송진;김현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35-235
    • /
    • 1994
  • NSAID의 대표적인 유도체인 acetylsalicylic acid(aspirin)은 항혈전 작용이 있다고 밝혀졌고, 주기적인 aspirin의 투여는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위궤양등 부작용의 발현이 심각하여 위의 목적에 입각한 aspirin의 장기적인 사용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에 더욱 안전한 유도체인 aspalatone을 합성하였고, 이 물질은 낮은 궤양 유발능을 보이는 유망한 유도체로 개발중에 있다. 본 연구는 aspalatone의 in vivo 항염증 활성을 밝히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 PDF

화장품 성분으로서의 Coumari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marin as a Cosmetic Ingredient)

  • 윤미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373-1380
    • /
    • 2023
  • 본 연구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물질로써 항바이러스, 항암, 항균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coumarin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써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coumarin은 실험에 적용한 모든 농도에서 이렇다 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적용된 농도 범위 내에서는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안전한 물질이라 사료된다. coumarin 물질 자체의 항산화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을 나타내었지만 농도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hydrogen peroxide을 DCF-DA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ROS를 측정한 결과 silica에 의해 생성된 ROS의 억제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coumarin의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Nitric oxide 생성억제와 histamine release를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oumarin이 화장품 소재개발에 있어서 항산화와 항염증에 관련된 천연물로써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야생 복숭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 차배천;이은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9-294
    • /
    • 2004
  • 인류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생식물의 하나인 야생복숭아 가지에 대하여 그들의 MeOH 엑스를 필두로 한 분획물 엑스를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DPPH 법을 사용하여 야생복숭아 가지의 분획물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n-BuOH 엑스와 EtOAc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야생복숭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Ferric-Thiocyanate 법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 시험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EtOAc 엑스가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Rancimat법에 의한 지질 산패 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또한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tocopherol보다 우수하고 BHA보다는 약간 우수한 강력한 지질 산패 억제 효과를 보였다. Hyaluronidase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 시험에서는 항산화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인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ketoprofen보다는 약하나 ibuprofen과 indomethacin보다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야생복숭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의 활성 주성분 분획은 EtOAc 엑스임을 시사하였다.

한국산 식용식물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Ⅵ) - 참죽나무 잎, 미나리, 쑥의 항염증 및 진통효과 -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in Korea(Ⅵ) - Anti-inflammatory and Anlagesic Effects of Cedrela sinensis, Oenanthe javanica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

  • 박종철;유영법;이종호;김남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6-119
    • /
    • 1994
  • 식품으로 사용하면서 약용식물인 참죽나무 잎, 미나리 및 쑥의 methanol엑스를 실험재료로 하여, 생쥐를 이용한 항염증 및 진통작용을 관찰하였다. 쑥은 부종 및 혈관투과성항진모델에 대해 유의한 항염증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진통작용에서는 3종류 식물들의 유의한 진통활성이 관찰되었다.

  • PDF

순창산 초석잠과 돼지감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and Helianthus tuberosus L. of Cultivated in Sunchang-gun)

  • 이세원;신미나;장태후;태현진;김대근;정경옥;이정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4-84
    • /
    • 2020
  • 염증 (Inflammation)은 병원체, 손상된 세포, 자극물질 등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작용하여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을 재생하는 작용으로써 신체 방어 기전들 가운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이 과다할 경우 각종 염증성 질환 혹은 암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발전할 수 있어 항염증제의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선천적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는 lipopolysaccharide(LPS), 활성산소 (ROS) 등에 의해 자극되어 염증인자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소재 개발을 목표로 하며, 국내 천연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항염증 소재로 전북 순창군에서 재배된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과 돼지감자 (Helianthus tuberosus L.)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대식세포주를 활용한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북 순창 지역에서 재배 된 초석잠과 돼지감자를 사용하여 각 조건의 추출 용매, 온도, 시간별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함량 평가를 통한 최적 추출조건 선정을 진행하고, 선정된 추출조건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분석 및 Total flavonoids 함량 분석을 통해 항산화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항염증 소재로의 활용을 위해 대식세포인 Raw 264.7을 사용하여 농도별 MTT assay를 진행하여 세포독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Nitric oxide (NO) 생성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 분석을 통해 최적 추출조건이 선정된 초석잠 (25℃, 주정 60%, 3 h), 돼지감자 (25℃, 주정 40%, 1 h)은 최적 조건에서 약 58 mg GAE/g 및 158 mg GAE/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Total flavonoids 함량 분석한 결과, 초석잠이 돼지감자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 실험에서의 추출물 처리군의 세포독성 측정 결과, 100 ug/mL 이내의 농도에서 독성활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활성 측정을 통해 LPS 처리군 대비 접종량 100 ug/mL 기준 각각 초석잠 약 47%, 돼지감자 약 49% 수준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 PDF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벨루가 렌틸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beluga lentil extract in RAW 264.7 macrophages)

  • 송현지;이승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62-473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벨루가 렌틸 추출물(BLE)의 항염증 효능을 NO 생성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와 관련된 분자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LPS, LTA 및 지방세포 공동배양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BLE는 독성이 없는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NO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이와 함께 BLE 처리에 따라 iNOS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저해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BLE에 의한 NO 생성 억제 효과가 전사 수준에서의 iNOS 발현을 억제함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BLE는 NO 외에도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증가하는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COX-2, IL-1β 및 IL-6)의 mRNA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LE의 항염증 효과와 관련된 분자 기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항염증 관련 대표 기전인 NF-κB/MAP kinases 신호 경로와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BLE 처리에 따라 Nrf2 단백질 발현의 증가 및 활성화가 유도되고 HO-1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Nrf2가 HO-1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사 인자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식용원료 유래의 잠재적인 항염증 소재로서 BLE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항염증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