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암효과

검색결과 1,585건 처리시간 0.039초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발효특성과 in vitro 항암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Young Radish Kimchi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 공창숙;김도경;이숙희;노치웅;황해준;최경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11-316
    • /
    • 2005
  • 5℃의 저장 온도에서 열무김치와 열무물김치의 발효 특성 및 항암효과를 검토하였다. 열무김치는 발효 2-3주일 째에 김치 적숙기의 pH에 도달하였으며, 이 때 산도는 1.04-1.27%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열무물김치의 발효는 빠르게 진행되어 발효 9일째에 적숙기 pH 4.3까지 감소하였으며, 이때의 pH와의 관계에서 산도는 0.20%로 낮은 값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열무김치와 열무물김치의 젖산균수의 성장변화는 발효기간 중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발효기간 중 열무물김치에 비해 열무김치의 젖산균수가 pH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열무물김 치는 발효기간 중의 발효초기 pH범위에서부터 높은 Lactobacillus sp.균수를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열무와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AGS인체 위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는 모든 즙액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첨가 농도 20μL/assay에서 는 열무 및 열무김치즙액 시료는 5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성 장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열무물김치 즙액은 낮은 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열무김치와 배추김치의 AGS 인체 위암 세포와 HT-29 결장암 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는 전체적으로 열무김치 배추김치는 서로 비슷한 정도의 항암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도라지 추출물의 안전성 및 항암 효과 (Safety and Anticancer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 김수현;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16-523
    • /
    • 2015
  •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의 발암물질 N-nitrosodimethylamine(NDMA)과 유전독성에 대항하는 안전성,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를 연구하였다.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은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의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하는 Ames test로 수행하였다.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은 복귀변이 집락수를 유의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았고,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과 4-nitroquinoline 1-oxide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있었다.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 중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라지 7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인간 자궁경부암세포(HeLa), 인간 간암세포(HepG2), 인간 유방암세포(MCF-7) 및 인간 폐암세포(A549)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는 암세포보다 억제 효과가 낮았다. 더하여 in vivo에서 도라지 7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키면서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의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DMA 생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가 있었고 현재 실험 조건에서 안전한 새로운 항암 소재 후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의 항암효과

  • 배형석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년도 창립 1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행사집
    • /
    • pp.15-17
    • /
    • 1997
  • 암 발생의 원인 중 80% 이상이 식사습관과 환경오염에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음식물, 담배, 술, 대기오염, 스트레스, 자외선이 그 대표적인 원인물질로 꼽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이 가장 중요한 발암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에 대한 Wynder 등의 역학조사에서도 식사습관이 암 발생에 중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다량 섭취가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 시키고 섬유질이 풍부한 곡류와 야채의 섭취는 대장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가 늘 섭취하는 음식물 자체는 대장암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기능이 거의 없다. 섭취된 음식물이 암을 일으키려면 장내 부패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발암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발암물질들이 장관으로 흡수 자극함으로써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일부장내 미생물들은 장내 발암물질들을 무독화 하거나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 시킴으로써 암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itsuoka는 장내 미생물이 암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Veer 등은 유산균 발효유를 많이 섭취하면 유방암 발생이 억제됨을, 국제암연구위원회는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핀란드 쿠피오의 거주자들에게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대장암 발생율이 1/4에 불과하고 분변내 유산간균수는 100배 높은 사실을 역학조사에서 밝혔다. 이 외에 유산균과 발효유제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유산균의 항암효과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련 자료들을 요약,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 PDF

Pediococcus pentosaceus 및 Lactobacillus spp. 종의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 항균 peptide들(Safelac and Lactopad)이 인간 결장암 세포주(HT-29, SW 480 and Caco-2)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 (Inhibition of Proliferation by Anti-microbial Peptide Isolated from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spp. i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SW 480 and Caco-2))

  • 박소희;김윤아;정명준;강병용;하남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1호
    • /
    • pp.65-71
    • /
    • 2007
  •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과 같은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면역 증강효과를 나타내는 등 인체내에서 건강에 이로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Pediococcus pentosaseus와 몇몇 Lactobacillus 종으로부터 분리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ptide들인 safelac과 lactopad는 몇몇 암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T-29, SW 480 및 Caco-2와 같은 3종류의 인간의 결장암 세포주에 safelac과 lactopad를 투여하여 이들이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XTT assay는 safelaf과 lactopad가 HT-29, SW 480 및 Caco-2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들 peptide들을 72시간동안 처리했을 때 나타나는 항암효과는 $3.1{\sim}100mg/mL$의 농도범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분석한 농도 범위에서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주는 cytokine인 tumor-necrosis factor(TNF-${\alpha}$)의 생성에 미치는 이들 peptide들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대식세포의 모델로써 이용되었다. RAW 264.7 세포주에서 TNF-${\alpha}$의 생성은 이들 peptide들에 의해 48시간 배양시 용량에 의존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발견은 safelac과 lactopad와 같은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 항균 peptide들이 결장암 세포에 대한 화학적 예방제로서의 잠재성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주목된다.

표적항암치료를 위한 겸형적혈구의 응용 및 치료 효과 (Application and therapeutic effects of sickle red blood cells for targeted cancer therapy)

  • 최세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395-2400
    • /
    • 2016
  •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항암치료법은 나노입자, 폴리머 중합체, 지질, 리포솜 등을 치료 전달체로 이용하여 항암치료를 진행하는 방법들이 주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달체는 항암 치료제를 직접 암세포로 정확하게 표적 운반하는 정확성, 정확하게 운반한 후 선택적으로 항암치료제를 방출해야하는 유출제어, 다른 일반 세포들을 약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 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대부분 항암약물의 독성에 기인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겸형적혈구는 암세포주변 혈관세포와 멤브레인 표면에 존재하는 리셉터 사이에의 점착성이 존재하며 추가적 생화학처리 없이 암세포 주변에 표적화가 가능함을 보인다. 또한, 암세포 주변의 혈관의 구조적 변화특성은 겸형적혈구의 중합화 반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겸형적혈구를 이용한 새로운 항암치료법의 효과를 정량적 혈관분석 방법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Rhanella aquatilis 유래 당단백질과 항암제 혼합물에 의한 인체 대장암 HT29세포에 대한 항암상승효과 (Synergistic Anticancer Activity of a Mixture of Anticancer Agent with Proteoglycan from Rhanella aquatilis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 HT29)

  • 박혜지;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9-382
    • /
    • 2013
  • Rhanella aquatilis AY2000 균주가 생산하는 일종의 당단백질인 항효모성 물질 (AYS)에 대한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in vitro에서 암세포에 대한 AYS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YS는 인체의 Jurkat T 세포와 마우스의 sarcoma 180 세포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인체 대장암세포인 colon cancer TH20 세포에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AYS는 62.5에서 500 ${\mu}g/ml$까지 농도의존적으로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 AYS와 시판 항암제를 혼합하여 처리한 결과 시판 항암제를 단독으로 처리한 것 보다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가 더욱 상승되었다.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第)35보(報)) -애기졸각버섯의 항암(抗癌) 성분(成分)-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XXXV) -Antitumor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Carpophores and Cultured Mycelia of Laccaria laccata-)

  • 김숙희;우명식;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5-163
    • /
    • 1982
  • 보다 항암력이 강하고 독성이 적은 항암물질을 얻기 위해, 경기도 수원에서 채집한 애기졸각버섯 Laccaria laccate의 자실체 및 배양균사체로 부터 다당체를 분리하여 그 화학적 조성 및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를 검토하였다. 이 물질의 구성 성분은 다당류와 단백질이었으며 다당류는 한 종류의 미확인 물질을 포함한 7종의 단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백질은 14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우스에 sarcoma 180을 이식한 후 자실체의 단백질-다당류를 1일 20mg과 50mg/kg씩을 각각 투여했을 때 75%와 65%의 높은 저지율을 나타내었으며, 배양균사체에서 추출한 단백질-다당체는 1일 20mg/kg씩 투여시 58%의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호흡기계암세포주에서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이 항암제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NF-$\alpha$ Gene Transfer to Respiratory Cancer Cell Lines on Sensitivity to Anticancer drugs)

  • 모은경;이재호;이계영;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최형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302-313
    • /
    • 1995
  • 연구배경: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는 다양한 생물학적인 작용을 가지며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그 대표적인 기능중의 하나이다. TNF-$\alpha$는 생체외에서(in vitro) 몇몇 종양 세포주에 대하여 항암제, 특히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agent의 세포 독성 효과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암세포에 대한 cytokine 유전자 요법에서 TNF는 중요한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유전자 이입에 의해 암조직이 TNF를 생성하게 될 경우 암 증식 억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연구자는 암세포에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하여 자신이 TNF-$\alpha$를 생성하도록 형질을 변환시킨 암세포는 topoisomerase II 억제 항암제에 대한 김수성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고 이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외로(in vitro)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하여 TNF-$\alpha$를 생성하는 암세포주에서 topoisomerase II targeted drug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 효과가 모세포주에 비하여 증대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하였다. 방법: TNF-$\alpha$에 감수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인체 중피종 세포주인 NCI-H2058 세포주 및 생쥐의 섬유육종 세포주인 WEHI164 세포주와 인체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주를 배양하여, 먼저 임상에서 흔히 폐암의 항암 화학 요법 치료에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drug인 etoposide(VP-16)와 doxorubicin(adriamycin)을 가하였을 때 관찰된 세포 독성을 MTT assay로 측정하고, 각 모세포주(parenta1 cell line)에 TNF-$\alpha$의 유전자를 이입시켜서 형절 변환한 세포주(transformed cell line)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 관찰된 세포 독성의 정도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모세포주에 외부에서 TNF를 가하여 전처치한 후 동일한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의 세포독성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H2058 세포주에서는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한 세포주 topoisomerase II targeted drug을 가하였을 때, 항암제 감수성이 모세포주에 같은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에 비하여 의미있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p<0.05), WEHI 세포주와 A549 세포주에 있어서는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한 세포주에서 모세포주에 비하여 항암제 감수성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결론: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이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drug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적어도 선택된 특정 종류의 호흡기계 암세포에 있어서는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으로 항암제 감수성(chemosensitivity)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추 및 무의 Glucosinolate 분석과 가공처리중 항암물질의 형성

  • 강갑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93년도 정기총회 및 제3차 학술발표회
    • /
    • pp.12-13
    • /
    • 1993
  • 십자화과 채소에는 여러종류의 glucosinolate가 존재하며 이들 중 특히 indolw형 glucosinolate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분해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들을 생성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다라 우리나라 농가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는 십자화과 채소인 배추 및 무에서 항암전구물질인 indole glucosinolate를 포함한 glucosinolate를 분석 및 동정하고 가공처리조건에 따라 항암물질인 indoleacetonitrile과 indolemethanol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1.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배추, 무의 품종별 ; 이들 씨에서 4-8종류의 glucosinolate를 동정하였다. 2. Thymol에 의한 총 glucosinolate의 함량은 배추 및 무에서는 복돌이 배추와 왕관무가 3.21, 2.0$\nu$mole/g으로 가장 많았고 배추씨, 무씨에서는 각각 6.38, 4.07$\nu$mole/g이었다. 3. 배추 및 무의 저장중 총 glucosinolate함량은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였다. 4. 열처리 시간에 따른 배추와 무의 indoleacetonitrile함량은 열처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며 40분 열처리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5. indolemethanol이 생성될때 방출되는 배추, 무, 배추씨 및 무씨의 Thiocyanate ion의 함량은 열처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며 40분 열처리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자가분해에 따른 함량도 분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며 30분경과시는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이는 40분 열처리시보다 많은 함량이였다.함량이였다.

  • PDF

Lactobacillus casei의 배양물에서 분리한 물질의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Peptides Purified from Culture Supernatant of Lactobacillus casei)

  • 김정화;김동명;백홍;이승훈;정명준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5-10
    • /
    • 2008
  • 최근 유산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그와 관련된 수많은 제품들이 제조되고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의 기능으로는 가장 먼저 정장 작용을 들 수 있고, 그 외 항암 효과, 유당 단백질의 흡수 증진, 혈청 콜레스테롤의 저하 등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산균의 한 종류인 Lactobacillus casei의 배양물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한 것으로 Ultrafiltration membrane (3, 10, 30, 100 KDa)으로 분리 농축한 단백질 물질인 단백질성분 A(protein components A)와 단백질 성분 B(protein components B)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이 물질을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분리를 위해 FPLC(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sephadex 75, Amersham)를 이용하여 분석된 peak를 이용하여 3번부터 9번까지 분획물을 얻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에서 얻은 단백질 물질들을 이용하여 정상 세포와 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및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백질 성분 A(protein components A)와 단백질 성분 B(protein components B)의 물질에서 최적 농도인 $100{\mu}g/mL$의 농도에서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20% 정도로 낮은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내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5가지 암세포주(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에 대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에서는 70% 정도의 높은 암세포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FPLC를 이용하여 분리한 분획물에서는 3, 8, 9번 분획물에서는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50%를 나타내 독성 효과를 나타냈고, 그 외의 분획물에서는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 7번 분획물에서 암세포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결과, 70% 정도의 높은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내 항암활성을 지닌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의 분획물에서는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Lactobacillus casei의 배양물에서 분리한 성분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