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 효과

검색결과 4,249건 처리시간 0.044초

DCFH-DA를 이용한 항산화제의 세포내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The anti-oxidative stress effect of antioxidants in the cell using DCFH-DA)

  • 유영근;신미희;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2-57
    • /
    • 2002
  • 본 연구는 널리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들의 세포 수준에서의 anti-oxidative stress 효과 및 그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한 항산화제로는 지용성인 retinol, $\alpha$-tocopherol, propyl gallate(PG) 및 butylated hydroxy toluene(BHT)과 수용성인 ascorbic acid, $\alpha$-glucosyl rutin 및 green tea extract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항산화제들의 시간별 세포 생존율을 NR assay 로 측정한 후 적정 농도에서 DCFH-DA(2', 7'-dichlorofluorescin-diacetate) 를 이용하여 항산화제들의 anti-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항산화제의 항산화 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NBT(Nitro-blue-tetrazolium) 및 DPPH(Diphenyl-picry-hydrazl)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Anti-oxidative stress 실험에서 지용성 항산화제들은 전반적으로 수용성 항산화제에 비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retinol 의 경우에는 0.01%에서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관할할 수 있었으며 1 시간경과 후 측정시 53.1%의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PG 의 경우에는 0.1%에서 2 시간 경과 후 측정시 50%의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수용성 항산화제인 green tea extract 및 $\alpha$-glucosyl rutin의 경우에는 1%에서 1시간 경과 후 측정시 각 각 51.6% 및 69.7%의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처리 후 자외선 조사시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의 경우 수용성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alpha$-glucosyl rutin 및 green tea extract 와 지용성 항산화제 중에서는 $\delta$-tocopherol 에서만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자외선을 조사 하지 않았을 때 보다 약 20%-40%까지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PG 및 retinol 의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시 독성이 증가하여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측정할 수 없었다. NBT실험에서 $\alpha$-glucosyl rutin, $\alpha$-tocopherol 및 PG 1%에서 70%이상의 superoxide anion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DPPH 실험에서는 ascorbic acid 와 PG 1%에서 98%의 hydroxyl radical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BHT 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세포 수준에서의 oxidative stress 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수용성 항산화제들에서 두드러진 효과를 보여 주었다.

국산 대두의 항산화 효과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 배은아;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3-208
    • /
    • 1997
  • 국산 대두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 그 원인 물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란콩, 밤콩, 검정콩, 소립검정콩을 각각 콩전체, 콩껍질과 속으로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콩전체의 경우 노란콩 보다 밤콩, 검정콩, 소립검정콩 등의 색이 짙은 콩의 항산화 효과가 높았고 이들을 껍질과 속으로 분리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콩 속의 항산화 효과는 네종류의 콩에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껍질의 경우 노란콩 보다 밤콩, 검정콩, 소립 검정콩 등의 색이 짙은 콩껍질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서 콩의 항산화 효과에는 콩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짙은 색의 주요 색소성분인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소립검정콩과 검정콩의 anthocyanin 함량이 높았고 밤콩과 노란콩은 적게 나다났다. 콩의 항산화효과의 주요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핵산, 메타놀 및 물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80% 메타놀추출물에서 네종류의 콩 모두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콩의 항산화 원인 물질인 total 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노란콩 보다 밤콩, 검정콩, 소립검정콩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용매별 추출물 중에서는 메타놀추출물에서 그 함량이 높아서 콩의 항산화 효과와 total phenol 함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색도를 동일하게 조정한 Model Melanoidin들의 항산화효과 및 특성 (Antioxidative Effect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odel Melanoidins with Same Color Intensity)

  • 임원용;김정상;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45-1051
    • /
    • 1997
  • Model melanoidin으로서 glucose-glycine, glucose-lysine, xylose-arginine melanoidin을 색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제하여 항산화효과 및 항산화효과와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melanoidin들은 대조군에 비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idin들의 갈색도의 정도를 동일하게 하여도 당과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도 실험에 사용한 세 model melanoidin중 가장 커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성과 전자공여성이 관계있음을 알 수 있었다.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 관련 물질의 특성을 알기위하여 melanoidin을 Sephadex G-50에서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melanoidin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분리 패턴을 나타내었다. 분획별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 xylose-arginine melanoidin이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이 glucose-lysine melanoidin이었으며 glucose-glycine melanoidin이 가장 낮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어 당의 경우 glucose보다 xylose에서, 아미노산의 경우 glysine보다 lysine에서 항산화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분획물의 특성 중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큰 물질은 갈색도가 높으면서 ninhydrin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환원성이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50에서 65사이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glucose-lys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5에서, glucose-glyc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0에서 각각 강한 항산화 효과물질이 검출되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광범위한 갈색물질의 용출범위에서 환원작용을 나타내어 앞에서 model melanoidin 중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 및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을 나타낸 성질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지의 산화에 대한 Methionine과 Lysine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Methionine and Lysine on Oil Rancidity)

  • 박성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7-62
    • /
    • 1994
  • 대두유와 라아드의 항온저장 및 가열시 methionine과 lysine의 첨가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 및 기존 항산화제들의 항산화력에 대한 상승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유지의 항온(60$\pm$2$^{\circ}C$) 저장시 methionine과 lysine을 각 농도별로 첨가한 경우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methionine을 1%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좋았고 그 정도는 TBHQ를 첨가한 경우와 유사하였으며 tocopherol 보다 월등히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농도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농도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즉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TBHQ>methionine 1%>methione 0.1%> methionine 0.02%> lysine 1%>ly-sine 0.1%>Lysine 0.02%>tocopherol 순이었다. 또한 아미노산, TBHQ, tocopherol 모두 식물성유 보다 동물성유지에서 더 큰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유지 가열(180$\pm$2$^{\circ}C$)시 methionine과 lysine을 각 농도별로 첨가한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고 TBHQ는 자동사놔시와는 달리 항산화 효과가 크게 떨어졌으며 이들의 항산화 효과의 크기 순서는 methione 1%>methionine 0.1%>methionine 0.02%> lysine 1%>lysine 0.1%>lysine 0.02%>tocopherol, TBHQ 순이었다. Methionine 및 lysine을 tocopherol, ascorbic acid, cit-ric acid와 혼합하여 대두유에 첨가하였을 때 tocoperol 과의 혼합물이 가장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 및 citric acid와의 혼합물도 약하지만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methionine과 lysine은 유지에 대하여 항온저장 또는 가열시 모두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가열 시와 동물성 유지에 대하여 그 효과가 우수하고 식품 항산화제에 대한 상승효과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Melanoidin과 시판 항산화제의 항산화작용 비교 및 그 상승효과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lanoidin with Commercial Antioxidants and Their Synergistic Effects)

  • 이문조;김현대;박진우;김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86-692
    • /
    • 1992
  • 아미노산의 전하 특성에 따른 Maillard 반응생성물이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amino-carbonyl 반응 화합물과 시판 항산화제의 항산화작용을 비교하고 이들간의 상승작용을 검토하였다. 즉 fructose-amino acid(glycine, histidine, aspartic acid) 모델계를 사용하여 비분획성 melanoidin과 비투석성 melanoidin을 조제하여 이들 모델계의 melanoidin과 항산화제인 BHT, TBHQ, 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lecithin을 각각 linoleic acid에 소정량 첨가하고 $50^{\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linoleic acid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또한 이들을 혼합 사용하였을 경우의 상승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Melanoidin의 항산화성은 비분획성보다 고분자 melanoidin인 비투석성의 경우가 전반적으로 항산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른 항산화작용에 있어 비분획성의 경우는 glycine과 histidine이 산성아미노산인 aspartic acid를 사용한 경우보다 항산화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녀, 비투석성의 경우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elanoidin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는 크게 나타났다. Melanoidin과 항산화제의 항산화성의 비교에 있어서는 비분획성 melanoidin계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TBHQ, ascorbic acid보다는 항산화성이 떨어졌으나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lecithin보다는 항산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투석성 melanoidin계에 있어서는 합성 항산화제의 항산화성과 거의 동일하게 인정되었으며, 천연 항산화제 보다는 항산화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제와의 상승효과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lecithin에 melanoidin 모델계 6종류를 각각 병용하여 사용한 결과 fructose-aspartic acid계 및 fructose-glycine계 비분획성 melanoidin을 제외한 4종류는 그 상승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합성 항산화제인 BHT, TBHQ, ascorbic acid와 melanoidin을 병용사용한 경우는 상승효과를 측정하기가 곤란하였는데, 이것은 합성 항산화제만으로도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 PDF

Lactobacillus spp.의 항산화 효과 및 Ferrous Ion 흡착능

  • 정석근;김현수;함준상;채현석;안종남;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70-273
    • /
    • 2004
  • Lactobacillus spp.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L. bulgaricus LB 207의 cell lysate와 intact cell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가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이들 균주들은 높은 ferrous iron 흡착능을 나타내었으나 항산화 효과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하기는 어려웠다. 유산균의항산화 메커니즘과 in vivo 실험을 통한 더욱 구체적인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며, 다양한 항산화 메커니즘을 통하여 항산화 유산균 인간의 활성산소 축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서실의 항산화, 항균효과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hondria crassicaulis)

  • 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1-416
    • /
    • 2004
  • 홍조류의 하나인 서실을 추출, 분획하여 각 용매별 항산화와 항균효과를 관찰하였다. 서실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 $O^{2-}$$.$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함으로서 $.$ $O^{2-}$ 제거능을 실험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메탄을 분획층인 CCMM층이 대조군으로 사용한 일반적 항산화제인 BHT와 vitC와 유사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O^{2-}$ 제거능은 CCMM층과 CCMA층에서 활성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CCMM층에서 항산화 효과가 제일 좋았고 CCMA층에서도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활성 효과 실험 결과, 홍조 해조류인 서실의 Bacillus subtilis를 제외하고는 CCMB층에서의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 군주 4종 모두 CCMH층에서는 미약하나마 효과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 홍조 해조류인 서실의 항산화 효과 검색에서 Methanol층인 CCMM층이 항산화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항균효과 검색에서는 CCMB층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실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물질에 대찬 단계적인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CCMM층과 CCMB층의 생리활성물질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

야생 복숭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 차배천;이은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9-294
    • /
    • 2004
  • 인류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생식물의 하나인 야생복숭아 가지에 대하여 그들의 MeOH 엑스를 필두로 한 분획물 엑스를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DPPH 법을 사용하여 야생복숭아 가지의 분획물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n-BuOH 엑스와 EtOAc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야생복숭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Ferric-Thiocyanate 법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 시험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EtOAc 엑스가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Rancimat법에 의한 지질 산패 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또한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tocopherol보다 우수하고 BHA보다는 약간 우수한 강력한 지질 산패 억제 효과를 보였다. Hyaluronidase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 시험에서는 항산화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인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ketoprofen보다는 약하나 ibuprofen과 indomethacin보다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야생복숭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의 활성 주성분 분획은 EtOAc 엑스임을 시사하였다.

황련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Extract from Coptis chinensis Franch)

  • 김용주;이문조;박진우;김준기;최달영;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1-246
    • /
    • 2000
  • 상용되는 한약재의 하나인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를 열수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유지에 대 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즉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인 BHT, ascorbic acid 및 $\alpha$-tocopherol을 각 각 linoleic acid에 소정량 첨가하고 5$0^{\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linoleic acid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 검 토하였으며, 또한 유지 자동산화의 촉진인자인 금속이온(Fe3+, Zn2+)을 첨가하여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 온 봉쇄효과를 조사하였다. 황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는 전 농도별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 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농도(5mg 및 10mg)에서 유도기의 연장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와의 비교 에 있어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및 ascorbic acid와 거의 같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 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온 봉쇄효과에 있어서 는 linoleic acid에 황련 추출물과 Fe3+ 및 Zn2+을 첨가한구가 황백 추출물의 무첨가구보다 항산화 효과 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속이온 봉쇄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축육 소시지에 첨가한 키토산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Chitosan Meat Sausage)

  • 윤선경;김연주;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7-481
    • /
    • 2001
  • 키토산은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oil emulsion 중에서 분자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토산을 다량의 지방이 포함된 축유 소시지에 첨가하여 $10^{\circ}C$ 저장하면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키토산을 분자량별로 0.20% 첨가하고 아질산염을 150 ppm 첨가하였을 경우와 아질산염을 15 ppm 첨가하였을 경우 모두 키토산의 분자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분자량의 키토산에 있어서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는 크게 나타났다. 키토산의 전자공여능은 분자량이 크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키토산의 항산화 효과는 분자량이 클수록 첨가량이 많을수록 우수하며, 특히 가열 처리시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키토산의 항산화 효과는 단독으로 항산화제로 사용하기에는 미흡하여 소시지와 같은 지방이 포함된 식품에 있어 다른 항산화제와 더불어 키토산을 첨가하면 어느 정도 보존성 및 산화방지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